22.03.2018 Views

주간연예 vol.1125_032218

주간연예 vol.1125_032218

주간연예 vol.1125_032218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e-mail: enews4989@gmail.com<br />

건강<br />

99<br />

93회 158회<br />

예방 가능한 치매?<br />

최근까지 매우 건강하던 60<br />

대 초반의 여자 환자가 얼마<br />

전 부터 갑자기 머리가 멍하다는 이<br />

유로 필자를 찾아왔다. 환자의 애기<br />

를 들어보니 최근들어 자신의 기억<br />

력이 매우 떨어진다고 하였다. 환자<br />

의 가족 가운데 본인의 어머니가 지<br />

금 자신과 같은 또래의 나이에 치매<br />

(Dementia)가 시작하였다고 한다.<br />

환자는 자기 또한 그 같은 문제가 시<br />

작되는 것이 아니냐는 두려움이 있<br />

었다. 환자의 인지기능 저하는 수개<br />

월 전 다른 증상과 더불어서 시작되<br />

었는데, 환자는 어느 날 갑자기 말하<br />

는 것이 조금씩 어눌해지기 시작하<br />

였다고 하였다.<br />

환자는 뇌자기공명 사진 (MRI,<br />

Magnetic Resonance Imaging) 촬<br />

영을 받았고, 사진상에서는 여러군<br />

데에서 뇌졸중(Stroke)의 흔적을 발<br />

견할 수 있었다. 그런데 문제는 뇌졸<br />

중이 발생한 뇌의 부위가 인지능력<br />

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부<br />

위라는 점이었다.<br />

뇌의 특정 부위, 신경학적으로 이를<br />

‘전략적 부위’라고 말하는데 이 부<br />

위에 발생한 뇌경색을 ‘전략적 경색<br />

(Strategic Infarct)’이라고 한다. 정<br />

확히 전략적 경색이란 뇌졸중에 의<br />

해 발생하는 혈관성 치매의 한 종류<br />

로, 일반적으로 뇌의 특정부위, 지금<br />

까지 뇌기저핵의 일부를 포함하여,<br />

네 부위가 알려져있다. 이 곳에 문제<br />

가 생길 때 심각한 인지기능 (Cognitive<br />

function) 및 행동 (Behavior)<br />

의 이상 변화를 초래되는 것으로 알<br />

려져 있다.<br />

의학적으로 치매란 기억력 감퇴를<br />

포함한 여러종류의 인지 장애라 할<br />

수 있다. 또한 치매는 하나의 질병이<br />

아니고, 증상들의 모임 즉 증후군으<br />

로, 치매는 일으키는 원인 질병은 약<br />

80여 가지, 많게는 250여가지가 알<br />

려져 있다. 우리가 많이 들어본 알츠<br />

하이머 병 (Alzheimer’s disease, 노<br />

인성 치매 Senile dementia)과 위 환<br />

자와 같은 뇌혈관 질환 (혈관성 치매,<br />

Vascular dementia)에 의한 치매가<br />

대표적인 치매의 종류이며, 이 두 질<br />

환이 치매 원인의 80%를 차지한다.<br />

반드시 알아야할 사실은 혈관성 치<br />

매는 예방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또<br />

한 초기에 발견만 하면 더 진행하는<br />

것을 막을 수 있고 치료도 가능하게<br />

된다. 필자를 찾아온 이 여자 환자는<br />

다행이도 본인의 상태에 대한 정확<br />

한 조기 진단과 더불어 질병의 관리,<br />

예방에 대해 향후 어떻게 해야할 것<br />

인지를 필자를 통해 자세히 교육 받<br />

았음은 물론이다.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