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1.2014 Views

Rules of Origin in the Korea-China FTA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Rules of Origin in the Korea-China FTA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Rules of Origin in the Korea-China FTA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 표 3-1. 한국 <strong>FTA</strong>에서의 원산지규정 비교 ❚<br />

구분<br />

한ㆍ칠레<br />

<strong>FTA</strong><br />

(제4장)<br />

한ㆍ싱가포르<br />

<strong>FTA</strong><br />

(제4장)<br />

한ㆍE<strong>FTA</strong><br />

<strong>FTA</strong><br />

(부속서 I)<br />

한ㆍASEAN<br />

<strong>FTA</strong><br />

(부속서 3)<br />

원산지상품<br />

-완전생산기준<br />

O O O O<br />

-실질변형기준<br />

품목별원산지기준 O O O O<br />

누적기준 O O O O<br />

직접운송(환적) O O O O<br />

중간재 O O X X<br />

중립재(간접재료) O O O O<br />

미소기준 O O O O<br />

불인정공정 O O O O<br />

대체가능한 상품과 재료 O O O O<br />

부속품, 예비부품 및 공구 O O O O<br />

소매판매를 위한 포장재료와<br />

용기<br />

O O O X<br />

수송을 위한 포장재료와 용기 O O O X<br />

미조립 및 분해된 상품 X O X X<br />

세트 X X O X<br />

개성공단원산지특례조항 X O O O<br />

주: 품목별원산지결정기준(Product Specific Criteria)은 각 협정문 부속서에 규정되어 있음.<br />

자료: <strong>FTA</strong> 협정문 참고하여 저자 작성.<br />

완전생산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물품은 실질변형기준에 의하여 원산지가<br />

결정되는데, 품목별로 다시 단일기준(부가가치기준 혹은 세번변경기준 중 하<br />

나의 기준 적용), 선택기준(부가가치기준 혹은 세번변경기준 중 하나를 선택<br />

하여 적용), 조합기준(부가가치기준과 세번변경기준 혹은 주요공정기준과 세<br />

번변경기준을 동시에 충족)으로 나뉘어 원산지가 결정된다. 한ㆍASEAN<br />

<strong>FTA</strong>를 제외하고 우리나라가 기존에 체결한 3개 <strong>FTA</strong>에서는 모든 품목에<br />

23) 김석오(2006), KIEP 간담회 자료.<br />

제3장 한국과 중국의 원산지규정 │ 25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