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1.2014 Views

Rules of Origin in the Korea-China FTA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Rules of Origin in the Korea-China FTA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Rules of Origin in the Korea-China FTA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세계일류제품, 첨단제품을 탄생시키는 데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경<br />

쟁력 강화 전략의 일환으로 해외생산을 적극 확대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에<br />

대한 생산이전이 두드러지고 있다. 중국의 전자산업은 현재 가공 조립단계에<br />

머물러 있으며 경쟁제품의 구성으로 볼 때 한중의 주력 경쟁우위제품이 뚜<br />

렷하게 구분되어 확실한 격차를 보이고 있으나, 해를 거듭할수록 양국간 수<br />

출경쟁이 커져만 가고 있는 실정이다. 36)<br />

한국과 중국의 전자산업의 무역구조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br />

2004년을 기준으로 전자산업(85류) 관련 한국의 대중 수입 품목은 HS 6단<br />

위 기준으로 총 269개 품목이고 대중 수입액은 약 76.7억 달러, 대중 수출<br />

품목은 HS 6단위로 총 254개 품목으로 대중수출액은 약 119.6억 달러이다.<br />

이들 품목에 적용되는 MFN 관세율을 단순평균하면 한국의 관세율은<br />

5.97%, 중국의 관세율은 9.54%이다. HS 4단위 기준으로 총 47개 품목의<br />

관세율과 무역규모는 [표 4-4]와 같다.<br />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한국의 대중 수출은 반도체 관련 품목(HS 코<br />

드 8541, 8542), 무선기기 부분품(HS 8529), 열전자관(HS 8540), 무선전화<br />

관련 품목 (HS 8525) 등, 대중 수입은 반도체 관련품목(HS 8541, 8542),<br />

변압기(HS 8504), 전기식 음향기기(HS 8531), 무선기기 부분품(HS 8529),<br />

기타 전기기기(HS 8543) 등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br />

전자산업 관련 품목에 있어 반도체 관련 품목, 디스크 등 기억장치(HS<br />

8523), 인쇄회로(HS 8534), 축전기(HS 8532), 전화기기(HS 8517), 전기저<br />

항기(HS 8533) 등에는 무관세가 적용되나, 평균적으로 중국의 관세율이 한<br />

국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가전 관련품목인 헤드폰(HS<br />

8518), 카세트플레이어(HS 8519), 기타 음성기록기(HS 8520), 기타 음성기<br />

록기 및 재생용기기의 부분품(HS 8522), 텔레비전수신용기기(HS 8528) 등<br />

36) 주대영(2006).<br />

제4장 주요 산업별 한국과 중국 <strong>FTA</strong>의 원산지규정 비교 │ 45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