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3.2024 Views

718호 2024년 3월 22일 B면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MAR 22 2024 • KOREA TOWN NEWS COLUMN | 43<br />

알아두면 유용한 식품상식<br />

‘ 김밥 ’<br />

안녕하세요 구독자 여러분.<br />

오늘은 최근들어 외국인들에게 각광받고 있는<br />

음식. 김밥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br />

불과 몇 년전까지만 해서 김밥은 주로 한국인들<br />

에게만 인기있는 음식이었습니다.<br />

호불호가 거의 없고, 가격은 싸지만 고른 영양<br />

소를 담고 있어서 든든하게 한끼를 책임질 수 있<br />

는 소박한 음식이었죠. 그러나 작년 Trader joe’s<br />

의 냉동김밥이 몰고온 김밥의 인기는 지금도 외국<br />

인들의 사랑을 듬뿍받는 음식이 되었습니다.<br />

사실 냉동 김밥의 인기는 비단 Trader joe’s 때<br />

문만은 아니었다고 생각됩니다.<br />

이미 마트에서 팔고 있던 떡볶이나 핫도그, 라<br />

면이 K-Food의 기폭제 역할을 했다고 할수 있습<br />

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폭박적인 인기<br />

를 갖게된 이유로 몇 가지로 추론할 수 있습니다.<br />

첫째로 건강식입니다. 미 대도시를 중심으로 유<br />

행하고 있는 웰빙 식품에 대한 외국인들의 관심<br />

이 컸습니다.<br />

잎채소와 뿌리채소, 밥, 김으로 구성된 김밥은<br />

월남쌈이나 캘리포니아 롤과 비슷하지만 식물성<br />

재료가 다양하게 들어가 있고 동물성 재료를 일<br />

체 배제했다는 점이 건강을 생각하는 외국인에게<br />

매력적으로 다가왔을 것입니다. 이를 먹어본 사람<br />

들이 자연스럽게 SNS를 통해 냉동김밥을 소개하<br />

면서 입소문을 냈습니다.<br />

다른 이유로는 코로나 이후 치솟은 물가로 인해<br />

한끼 해결에 어려움을 겪는 고객들의 니즈를 충족<br />

시켰다고 볼 수 있습니다.<br />

팁을 포함한 기존 푸드트럭의 음식들은 최소<br />

$15 이상 지불을 해야했던 반면 냉동 김밥은 $4<br />

정도로 해결할 수 있는 매력적인 상품이었던 것<br />

입니다.<br />

Trader joe’s가 보유하고 있는 매니아층도 냉<br />

동 김밥의 인기에 한몫 했다고 이야기들을 합니<br />

다. 값싸고 질 좋은 자사 브랜드만을 고집하는<br />

Trader joe’s에서 판매되는 아시아의 건강식이라<br />

는 컨셉이 매니아층의 입소문을 탔다고도 볼 수<br />

있습니다.<br />

오렌지 치킨이 Trader joe’s의 베스트 셀러였던<br />

까닭도 이와 비슷한 맥락이 아닐까 합니다. 이렇<br />

듯 한국의 식문화를 대표하는 또 하나의 자랑스러<br />

운 식품이 된 김밥은 어떻게 탄생했을까요.<br />

보통 일본의 노리마끼스시 (김쌈밥)에서 기원<br />

했다고 알고 있는 분이 많을테지만 흥미롭게도 한<br />

국 기원설도 존재합니다.<br />

이 주장의 근거는 김에 있습니다. 일본이 김을<br />

먹는 시점은 우리보다 훨씬 늦은 18세기 초 중반<br />

부터 먹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br />

이미 ‘삼국유사(1281)’에 김을 먹었다는 기록이<br />

있으며, ‘본초강목(1596)’에도 신라인들이 허리에<br />

새끼줄을 묶고 깊은 바다에서 김을 채취했다는<br />

이야기가 실려 있다고 하며 최초 양식은 1650년<br />

경 전남 광양의 김여익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태<br />

인도에서 소나무와 밤나무 가지를 활용하는 방법<br />

이었다고 합니다.<br />

김이 이처럼 일찍부터 존재한 가운데 우리에게<br />

는 고유의 쌈 문화가 있었으니 김을 밥에 싸먹<br />

는 문화가 자연스레 존재했을 거라 추론하는 것<br />

입니다.<br />

실제로 정월대보름에 복과 풍년을 기원하는 의<br />

미로 먹은 복쌈이라는 음식이 있는데, 이는 배춧<br />

잎과 김, 밥을 싸먹는 음식이었다고 하니 한국 기<br />

원설에 힘을 주는 대목입니다.<br />

김밥의 감초. 충무식 김밥에 대한 이야기도 빼<br />

놓을 수 없는데요.<br />

여름철 배타는 남편을 위해 아내가 더위에 쉬이<br />

상하지 않는 반찬을 만들기 위해 반쯤 식힌 꼴뚜<br />

기 무침과 무김치를 따로 싸주면서 시작되었다는<br />

충무 김밥은 맛으로 보나 유래로 보나 정감이 가<br />

지 않을 수 없는 음식입니다.<br />

조사를 하다보니 김밥이 어느 나라로 부터 유<br />

래된 것인지에 대한 많은 이야기들이 인터넷상<br />

에 올라와 있어서, 어느 것이 진실인지는 개인적<br />

으로는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한 가지<br />

제가 알고 있는 사실은 이제 김밥이 미국에서 코<br />

리안 스시로 불리기 보다는 KIMBAP이라고 불린<br />

다는 점입니다.<br />

김밥이 가진 다양성과 건강함이라는 무기로<br />

미국만이 아닌 전 세계의 모든 나라사람들에게<br />

KIMBAP이라는 고유명사로 불릴 날을 기대하면<br />

서 글 마치겠습니다.<br />

감사합니다.<br />

Hmart 이주용 차장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