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8.2015 Views

무리행동과 지각된 유용성이 이러닝 컨텐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무리행동과 지각된 유용성이 이러닝 컨텐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무리행동과 지각된 유용성이 이러닝 컨텐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strong>무리행동과</strong> <strong>지각된</strong> <strong>유용성이</strong> <strong>이러닝</strong> <strong>컨텐츠</strong> <strong>구매의도에</strong> <strong>미치는</strong> <strong>영향</strong><br />

이 무리없이 쉽게 <strong>이러닝</strong> 사이트와 상호작용할<br />

수 있는 지에 촛점을 둔다. TAM에 관한 대부분<br />

의 연구들은 사용용이성이 기술의 종류나 경험<br />

에 상관없이 <strong>지각된</strong> 유용성에 <strong>영향</strong>을 미친다고<br />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구매자그<br />

룹의 상관없이 사용성이 <strong>지각된</strong> 유용성에 <strong>영향</strong>을<br />

미칠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br />

H6 : 사용성은 <strong>지각된</strong>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br />

향을 미친다.<br />

H6a : 사용성이 <strong>지각된</strong> 유용성에 <strong>미치는</strong> 영<br />

향은 잠재적 구매자 그룹과 기존 구매<br />

자 그룹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br />

지 않는다.<br />

3.3 측정방법<br />

과 같이 제안된 연구모형의 가설들을<br />

검정하기 위하여 설문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br />

기로 하였다. 또한 타당한 설문문항을 작성하기<br />

위하여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strong>무리행동과</strong> 정보<br />

캐스케이드, 구전효과의 설문은 양광민 등[2005],<br />

Huang and Chen[2006], Klepper[2002]의 연구를<br />

바탕으로 본 연구에 맞게 작성하였으며 인지된 유<br />

용성과 사용성 관련 변수들은 Davis[1989], Palmer<br />

[2002]의 연구를 통해 작성되었다.<br />

Ⅳ. 결과분석<br />

4.1 기술 통계 및 분석 도구 설정<br />

본 연구모델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2007년 4월<br />

에 총 629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이중에 547부<br />

를 회수하였다. 이 중 무응답과 부적절한 응답을<br />

제외한 528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br />

다. 각 설문문항은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설문<br />

대상으로는 <strong>이러닝</strong> 사이트 방문 경험자를 대상<br />

으로 하였으며 대상으로 하는 <strong>이러닝</strong> <strong>컨텐츠</strong>는<br />

주로 외국어 교육과 대학 입시교육이다. 설문을<br />

시작할 때, 응답자에게 사용 경험이 있는 <strong>이러닝</strong><br />

사이트 하나를 설정하게 하였으며, 그 사이트의<br />

사용 경험을 토대로 설문에 응답하게 하였다. 응<br />

답자 중 <strong>이러닝</strong> <strong>컨텐츠</strong>를 실제 구매한 경험이 있<br />

는 ‘구매경험자 그룹’은 395명(74.8%)으로 구매경<br />

표본의 인구통계적 특성<br />

구 분<br />

성 별<br />

연 령<br />

학 력<br />

구매경험<br />

분 류<br />

빈도<br />

(n = 528)<br />

비율(%)<br />

빈도<br />

(n = 133)<br />

비율(%)<br />

빈도<br />

(n = 395)<br />

비율(%)<br />

남 335 63.4% 76 57.1% 259 65.6%<br />

여 193 36.6% 57 42.9% 136 34.4%<br />

10대 202 38.3% 55 41.4% 147 37.2%<br />

20대 316 59.8% 74 55.6% 242 61.3%<br />

30대 10 1.9% 4 3.0% 6 15.5%<br />

고등학교 202 38.3% 55 41.4% 147 37.2%<br />

대학교 314 59.5% 73 54.9% 241 61.0%<br />

대학원 12 2.3% 5 3.7% 7 1.8%<br />

경험무 133 25.2% 잠재구매자 그룹 N/A<br />

1회~5회 267 50.6%<br />

6회~10회 52 9.8%<br />

N/A<br />

구매경험자 그룹<br />

11회 이상 76 14.4%<br />

116 경영정보학연구 제18권 제4호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