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8.2015 Views

무리행동과 지각된 유용성이 이러닝 컨텐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무리행동과 지각된 유용성이 이러닝 컨텐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무리행동과 지각된 유용성이 이러닝 컨텐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strong>무리행동과</strong> <strong>지각된</strong> <strong>유용성이</strong> <strong>이러닝</strong> <strong>컨텐츠</strong> <strong>구매의도에</strong> <strong>미치는</strong> <strong>영향</strong><br />

요인적재값과 신뢰성 분석 결과<br />

변 수<br />

명성<br />

클러<br />

스터링<br />

구전효과<br />

사용성<br />

무리행동<br />

<strong>지각된</strong><br />

유용성<br />

구매의도<br />

전 체 잠재구매자 집단 구매경험자 집단<br />

요인적재량 Alpha 요인적재량 Alpha 요인적재량 Alpha<br />

0.791<br />

0.655<br />

0.825<br />

0.913 0.836<br />

0.915 0.806<br />

0.907<br />

0.868<br />

0.887 0.883 0.878<br />

0.901<br />

0.979<br />

0.865<br />

0.916 0.912<br />

0.972 0.945<br />

0.897<br />

0.902<br />

0.923 0.971 0.905<br />

0.943<br />

0.987<br />

0.924<br />

0.950 0.943<br />

0.971 0.984<br />

0.938<br />

0.917<br />

0.948 0.982 0.930<br />

0.773<br />

0.722<br />

0.779<br />

0.757 0.842 0.709<br />

0.758 0.832 0.713<br />

0.758 0.780 0.730<br />

0.786 0.792 0.769<br />

0.855<br />

0.811<br />

0.826 0.835 0.806<br />

0.927<br />

0.802 0.836 0.767<br />

0.726 0.693 0.722<br />

0.768 0.793 0.744<br />

0.730 0.735 0.706<br />

0.886<br />

0.881<br />

0.878<br />

0.892 0.845<br />

0.855 0.843<br />

0.896<br />

0.842<br />

0.861 0.873 0.841<br />

0.964<br />

0.957<br />

0.963<br />

0.961 0.954<br />

0.957 0.937<br />

0.959<br />

0.957<br />

0.946 0.914 0.958<br />

0.965<br />

0.981<br />

0.956<br />

0.965 0.961<br />

0.976 0.974<br />

0.959<br />

0.952<br />

0.959 0.968 0.952<br />

197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연<br />

구의 측정 도구는 모두 0.7이상의 구성 신뢰도를<br />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잠재 변수<br />

의 AVE 값을 조사하였다. 모든 잠재 변수들의<br />

AVE 값의 범위가 0.680에서 0.961사이로 기준점<br />

인 0.5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적절한 수렴 타당<br />

성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Gefen et al.,<br />

2000].<br />

AVE 분석은 각 잠재변수의 AVE의 제곱근의<br />

값과 각 잠재 변수들 간의 상관계수를 비교하는<br />

것이다. 잠재변수의 AVE 제곱근 값이 그 잠재변<br />

수와 다른 잠재변수간의 모든 상관계수보다 클<br />

118 경영정보학연구 제18권 제4호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