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8.2015 Views

무리행동과 지각된 유용성이 이러닝 컨텐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무리행동과 지각된 유용성이 이러닝 컨텐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무리행동과 지각된 유용성이 이러닝 컨텐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strong>무리행동과</strong> <strong>지각된</strong> <strong>유용성이</strong> <strong>이러닝</strong> <strong>컨텐츠</strong> <strong>구매의도에</strong> <strong>미치는</strong> <strong>영향</strong><br />

<br />

<br />

<br />

(1)<br />

<br />

<br />

<br />

(bi: 그룹 i의 비표준화 계수, si: 그룹 i의 표준<br />

오차, df: m + n-2)<br />

두 집단의 경로 계수를 t-test를 통해 분석한<br />

결과, 가설 H2a를 제외한 모든 가설이 채택되었<br />

다. 먼저 무리행동이 <strong>구매의도에</strong> <strong>미치는</strong> <strong>영향</strong>이<br />

비경험자의 경우가 경험자의 경우보다 0.01 신뢰<br />

수준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실제로 이<br />

러닝 <strong>컨텐츠</strong> 잠재구매자들이 구매경험자보다 무<br />

리행동의 <strong>영향</strong>을 더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각<br />

된 유용성의 경우에는 구매경험자의 경우 구매<br />

의도에 더 큰 <strong>영향</strong>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리<br />

행동과 유용성에 <strong>영향</strong>을 <strong>미치는</strong> 요인들을 살펴<br />

보면, 클러스터링과 구전효과는 잠재구매자의 경<br />

우 더 큰 <strong>영향</strong>을 <strong>미치는</strong>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br />

결과는 구매 경험이 없는 불확실성 속에서 잠재<br />

구매자들이 다른 사람들의 사용이나 구전을 통<br />

해 의사결정을 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명성의 경<br />

우에는 가설과 반대로 구매경험자의 경우 무리<br />

행동에 더 큰 <strong>영향</strong>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br />

것은 <strong>이러닝</strong> <strong>컨텐츠</strong> 구매를 경험할수록 구매에<br />

대한 정보도 많아지고 의사결정의 질도 높아지<br />

기 때문에 특정 <strong>컨텐츠</strong>를 구매하는 사람의 양적<br />

인 측면보다 질적인 측면을 고려하게 됨을 보여<br />

준다. 사용성의 경우는 유의미한 <strong>영향</strong>을 보이지<br />

않음으로 기존의 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br />

여준다[Karahanna et al., 1999].<br />

4.2.5 구매경험 횟수의 조절효과 분석<br />

본 연구의 결과는 <strong>이러닝</strong> <strong>컨텐츠</strong> 구매경험의<br />

유무가 위에서 제안한 모형에 조절효과를 가지<br />

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좀더 구<br />

체적으로 보기 위해서 경험의 크기, 즉 구매경험<br />

횟수가 어떠한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추가<br />

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최종 종속변수<br />

인 <strong>구매의도에</strong> 대한 구매경험 횟수, 무리행동, 지<br />

각된 유용성 간의 상호작용(interaction) 효과를<br />

검정하였다. 상호작용 항은 조절변수인 구매경험<br />

횟수와 독립변수인 무리행동/<strong>지각된</strong> 유용성의<br />

각 측정지표들간 곱(product-indicator)을 통해서<br />

생성하였다. 이 방법은 Chin (2003)이 제안하였<br />

으며. 유효성은 Goodhue et al.(2007)에 의하여<br />

검증되었다.<br />

분석한 결과, 에 따르면 구매경험 횟수<br />

의 <strong>무리행동과</strong> <strong>지각된</strong> 유용성에 대한 상호작용<br />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구매경<br />

험의 유무에 따라 잠재구매자와 구매경험자간의<br />

무리행동, <strong>지각된</strong> <strong>유용성이</strong> <strong>구매의도에</strong> <strong>미치는</strong><br />

<strong>영향</strong>의 차이는 나타나지만, 구매 횟수가 증가한<br />

다고 하더라도 <strong>무리행동과</strong> <strong>지각된</strong> <strong>유용성이</strong> 구<br />

매의도에 <strong>미치는</strong> <strong>영향</strong>을 계속해서 변화시키는<br />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님을 보여준다.<br />

구매경험과 독립변수간의 상호작용이 통계학적<br />

으로 유의하지 않은 경우 의 전체모형<br />

이 받아들여진다.<br />

경험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br />

종속<br />

변수<br />

구매<br />

의도<br />

주) ** p < 0.01.<br />

독립 변수 R 2 경로<br />

계수<br />

t 값<br />

무리행동<br />

0.344 ** 4.44<br />

0.505<br />

<strong>지각된</strong> 유용성 0.433 ** 5.68<br />

경험 0.162 0.56<br />

무리행동X경험 -0.161 0.43<br />

<strong>지각된</strong> 유용성X경험 0.010 0.02<br />

Ⅴ. 토의 및 결론<br />

본 연구는 <strong>이러닝</strong> <strong>컨텐츠</strong> 구매 시, 잠재구매자<br />

와 구매경험자 그룹의 구분에 있어서 무리행동<br />

과 <strong>지각된</strong> <strong>유용성이</strong>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br />

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기술수<br />

용모델(TAM)을 기본 모형으로 하여 선행 연구로<br />

122 경영정보학연구 제18권 제4호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