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8.2015 Views

무리행동과 지각된 유용성이 이러닝 컨텐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무리행동과 지각된 유용성이 이러닝 컨텐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무리행동과 지각된 유용성이 이러닝 컨텐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strong>무리행동과</strong> <strong>지각된</strong> <strong>유용성이</strong> <strong>이러닝</strong> <strong>컨텐츠</strong> <strong>구매의도에</strong> <strong>미치는</strong> <strong>영향</strong><br />

되는데, 명성은 판매자들의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br />

한 구매자들의 인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새로운 기<br />

술이나 상품을 제공하는 개체의 저명한 정도이<br />

며, 클러스터링은 얼마나 많은 사람이 특정한 이<br />

러닝 <strong>컨텐츠</strong>를 구매,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지<br />

각, 즉 같은 기술이나 상품을 선택한 개체들 집단<br />

의 크기를 나타낸다.<br />

Huang and Chen[2006]은 온라인 무리행동에<br />

<strong>영향</strong>을 <strong>미치는</strong> 두 번째 요인으로 그 상품을 판매<br />

하는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소비자 구매후기나<br />

블로그, 인터넷 까페, 커뮤니티 등 인터넷 상에서<br />

전반적으로 얻을 수 있는 상품에 대한 구매자들<br />

의 의견의 <strong>영향</strong>을 지적하였다. 그들의 연구결과<br />

는 정보 캐스케이드나 소비자들이 만들어낸 온<br />

라인 구전효과가 온라인 상에서 무리행동을 일<br />

으키는 것에 중요한 <strong>영향</strong>을 미침을 보여준다. 개<br />

인들의 구매에 있어서 무리행동에 관한 연구는<br />

아니지만 Kauffman and Li[2003]는 기업이 새로<br />

운 IT 시스템을 수용할 때, 정보 캐스케이드나 기<br />

존 사용기업들로부터의 구전이 의사결정에 <strong>영향</strong><br />

을 미쳐 다른 기업의 선택을 모방하는 무리행동<br />

이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보 캐<br />

스케이드나 구전학습 등의 요인들이 새로운 IT<br />

시스템 수용에 대한 의사결정에 있어서 발생하<br />

는 불확실성을 낮추기 위해 무리행동을 일으킨<br />

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br />

위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무리<br />

행동을 <strong>이러닝</strong> <strong>컨텐츠</strong>를 구매하는 상황에서 구<br />

매의도에 중요한 <strong>영향</strong>을 <strong>미치는</strong> 변수로 사용하<br />

고, Huang and Chen[2006]과 Klepper[2002]의<br />

연구를 참고하여 명성, 클러스터링, 구전효과를<br />

무리행동의 선행요인으로 채택하였다.<br />

2.2 명성(Reputation), 클러스터링<br />

(Clustering), 구전효과(Wordof-Mouth)에<br />

관한 연구<br />

명성은 불확실성이 높은 인터넷 환경에서 불<br />

확실성을 감소시켜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연구되<br />

어 왔다. McKnight et al.[2002]은 명성을 온라인<br />

환경에서 신뢰를 구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제<br />

시하고 있으며, Tan[1999]의 연구에서도 인터넷<br />

쇼핑몰의 명성은 인터넷 환경에서 인지되는 위<br />

험을 감소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주<br />

장하였다. 온라인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환경에서<br />

도 명성은 소비자 행동에 중요한 <strong>영향</strong>을 미친다.<br />

사용자는 특정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있어 수반<br />

되는 위험부담을 줄이기 위해 보다 명성이 높은<br />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게 된다[김치헌 등, 2003].<br />

이때 서비스 제공자의 명성은 일차구매자가 서<br />

비스 품질을 평가하는데 있어 중요한 단서로 작<br />

용하며, 반복 구매자에 대해서도 서비스의 품질<br />

에 대한 재확인을 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확<br />

신감을 심어주는 역할을 한다[이문규, 1999].<br />

Klepper[2002]는 존경 받는 초기 수용자에 의한<br />

새로운 기술의 취득은 잠재적인 수용자에게 긍<br />

정적인 신호를 보내며 이 신호가 충분하면 캐스<br />

케이드가 발생한다고 하였다. 즉 초기 수용자의<br />

명성을 정보캐스케이드를 발생시키는 원인으로<br />

파악하였다. 이처럼 기존의 서비스 명성과 초기<br />

수용자의 명성 모두 무리행동의 연구에 있어서<br />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양광민 등, 2005].<br />

사용자의 수에 대한 인식을 나타내는 클러스<br />

터링은 네트워크 효과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br />

네트워크 효과는 사용자의 수가 증가하면서 다<br />

른 사용자들이 추가적인 비용이 없이도 보다 많<br />

은 가치를 향유할 수 있는 긍정적인 외부효과의<br />

예로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규모나 사용자<br />

의 수를 결정하는 궁극적인 요소로 인식되어 왔<br />

다[Katz and Shapiro 1985, Markus 1990]. Kraut,<br />

et al.[1998]은 비디오 전화 사용자의 수가 그 시<br />

스템의 확산을 결정하는데, 이는 사용자의 수가<br />

많을 수록 사용자들이 일하는데 유용하고 부가<br />

적인 서비스들이 더 많이 개발되며, 이것이 그 네<br />

트워크의 가치를 더욱 향상시키기 때문이라고<br />

보고했다. 따라서, 한 사용자가 특정 네트워크를<br />

제18권 제4호 경영정보학연구 109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