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8.2015 Views

무리행동과 지각된 유용성이 이러닝 컨텐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무리행동과 지각된 유용성이 이러닝 컨텐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무리행동과 지각된 유용성이 이러닝 컨텐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strong>무리행동과</strong> <strong>지각된</strong> <strong>유용성이</strong> <strong>이러닝</strong> <strong>컨텐츠</strong> <strong>구매의도에</strong> <strong>미치는</strong> <strong>영향</strong><br />

는 기존 연구와 유사하게 <strong>지각된</strong> 유용성으로 가<br />

는 경로에서 경험의 차이에 유의미한 변화를 보<br />

이지 않았다[Karahanna et al., 1999].<br />

연구 결과에서 쇼핑경험의 유무는 <strong>이러닝</strong> 컨<br />

텐츠 구매에 대한 무리행동이나 <strong>지각된</strong> 유용성<br />

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추가 분<br />

석 결과 쇼핑경험의 많고 적음, 즉 쇼핑 경험 횟<br />

수는 미래의 <strong>구매의도에</strong> 대한 무리행동/<strong>지각된</strong><br />

유용성의 미래의 구매 의도에 <strong>영향</strong>에 조절효과<br />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br />

실무적 차원의 의의는 첫째, 구매자 입장에서<br />

보자면 잠재구매자 그룹이 구매경험자 그룹보다<br />

<strong>이러닝</strong> <strong>컨텐츠</strong> 구매에 있어서 클러스터링과 구<br />

전효과가 유의한 <strong>영향</strong>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br />

었다. 이것은 아직 성숙단계에 들어서지 않은 이<br />

러닝 시장에 있어서 초기사용자들의 구매행동이<br />

잠재구매자들에게 불확실성을 줄이는 방법의 하<br />

나로서 큰 <strong>영향</strong>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신<br />

규 <strong>이러닝</strong> <strong>컨텐츠</strong> 판매 기업들에게는 좋은 컨텐<br />

츠의 개발과 시스템 구축과 함께 특별한 혜택을<br />

통한 우수한 학생의 유치나 집단혜택을 통한 집<br />

단공략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br />

잠재구매자와 구매경험자에 대한 차별화된 서비<br />

스 제공, 차별화된 마케팅 방법 등이 지원되어야<br />

하며, 각 전략의 특성에 따라 집중해야 할 고객집<br />

단이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br />

둘째, 각 <strong>이러닝</strong> <strong>컨텐츠</strong>를 서비스하는 기업들<br />

이 자신들의 <strong>이러닝</strong> <strong>컨텐츠</strong>에 대한 구전을 관리<br />

해야 함을 보여준다. 분석 결과, 구매경험자들도<br />

무리행동의 <strong>영향</strong>을 받으나, 잠재구매자의 경우<br />

무리행동의 <strong>영향</strong>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br />

으며 구전효과는 무리행동에 <strong>영향</strong>을 주는 주요<br />

변수로 밝혀졌다. 따라서 잠재구매자의 구매를<br />

유도하기 위해서 입소문의 관리가 필요함을 알<br />

수 있다. 최근에는 블로그, 포털, 지식공유 사이<br />

트 등을 통해서 온라인 사용후기의 <strong>영향</strong>은 구매<br />

자들에게 더 큰 <strong>영향</strong>력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br />

<strong>이러닝</strong> <strong>컨텐츠</strong>를 서비스하는 기업들은 오프라인<br />

에서 이루어지는 구전을 주의할 뿐 아니라 인터<br />

넷 상에서 이루어지는 구전을 관리하고, 긍정적<br />

인 사용후기 등이 인터넷에 올려질 수 있도록 구<br />

매경험자들을 지원하는 정책 등이 필요하다.<br />

셋째, <strong>이러닝</strong> 웹 사이트는 사용자들이 요구하<br />

는 웹 사용성 요인을 파악하여, 보다 개인화된 높<br />

은 질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구매경험자의<br />

경우 유용성에 <strong>영향</strong>을 <strong>미치는</strong> 요인 중, 사용성의<br />

<strong>영향</strong>이 유의하게 나왔고 경로계수와 R 2 값도 0.745<br />

과 0.551로 높게 나왔다. 이것은 사용성이 구매자<br />

들의 <strong>이러닝</strong> <strong>컨텐츠</strong>에 대한 유용성 지각에 큰 영<br />

향을 나타냄을 말해준다. 실제로 <strong>이러닝</strong> 사이트<br />

는 전자상거래 사이트와 같이 복잡한 구성을 하<br />

고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strong>이러닝</strong> <strong>컨텐츠</strong>를 서<br />

비스하는 기업들이 사용성을 구성하는 <strong>컨텐츠</strong>의<br />

질, 네비게이션, 다운로드 지연, 상호작용, 반응성<br />

등의 요인들을 고려하여 사이트를 구성할 때, 구<br />

매경험자들의 구매의도를 이끌어내는 것에 긍정<br />

적 <strong>영향</strong>을 미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br />

본 연구의 한계는 먼저 표본이 대부분 10~20<br />

대 학생들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결과를 일반화<br />

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의<br />

설문조사에 응답한 표본들이 사용하는 <strong>이러닝</strong><br />

<strong>컨텐츠</strong>가 입시나 외국어 <strong>컨텐츠</strong>에 국한되었기<br />

때문이다. 더군다나 대상으로 하고 있는 고등학<br />

생이나 대학생, 취업준비생 층이 정서적으로 민<br />

감하기 때문에 이 샘플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br />

과를 사용하여 모든 <strong>이러닝</strong> <strong>컨텐츠</strong> 구매자들이<br />

본 연구결과와 명확히 일치하는 성향을 가진다<br />

고 말할 수 없다. 또한 <strong>이러닝</strong> <strong>컨텐츠</strong>가 법률상<br />

담, 부동산 자격증 등 범위도 확대되고 있고 사<br />

용자들의 폭도 넓어지고 있기 때문에 연구 대<br />

상을 확대하여 이러한 경향을 반영한 연구를<br />

수행한다면 좀 더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얻을 수<br />

있을 것이다.<br />

본 연구에서는 무리행동을 통해 나타나는 구<br />

매경험자와 잠재구매자의 <strong>이러닝</strong> <strong>컨텐츠</strong> 구매의<br />

도 비교에 초점을 맞췄지만, 앞으로의 연구에서<br />

124 경영정보학연구 제18권 제4호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