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1.2015 Views

과학기술부차관 중국 방문계획 - 원자력국제협력정보서비스 icon

과학기술부차관 중국 방문계획 - 원자력국제협력정보서비스 icon

과학기술부차관 중국 방문계획 - 원자력국제협력정보서비스 icon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목표 5 원자력 이용개발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기반 조성<br />

◦ 원자력 전문 인력의 체계적 육성․지원 및 활용 다변화<br />

- 기술 분야별 연구․생산 활동에 종사하는 고급인력 조사 및<br />

종합관리시스템 개발<br />

◦ 하나로, 양성자가속기 등 대형연구시설을 통한 신연구 기반 구축<br />

- 양성자가속기 센터를 중심으로 한 연구 및 산업 클러스터 조성<br />

- 냉중성자 장치 등 하나로를 이용한 중성자과학 연구기반 구축<br />

◦ 원자력연구개발 투자 확대 및 투자 재원별 역할 정립<br />

- 국가 R&D사업, 중장기 Total Roadmap과 연계하여<br />

원 자력 연구개발을 추진토록 지원<br />

- 원자력연구개발기금과 일반회계 지원사업을 특성화하여 운영<br />

◦ 원자력에 대한 국민 이해 증진활동 강화<br />

- 계층별로 차별화된 맞춤형 홍보전략 수립․시행<br />

- 차세대 에너지체험관 설치 운영 등 차세대를 대상으로 한 홍보<br />

활동 강화<br />

- 원자력이용개발 50주년 기념행사, 원자력연구개발성과<br />

전시회 등 개최<br />

목표 6 국가 원자력 위상강화를 위한 원자력 외교 및 국제협력 추진<br />

◦ 국제 원자력계에서 중추적 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원자력<br />

외교 강화<br />

- 국제협력 채널(IAEA, OECD/NEA 등) 다양화로 원자력 외교<br />

활동 강화<br />

- 국내 전문가의 국제기구 및 주요 협약회의의 고위직 진출 확대 추진<br />

- 141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