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3.2015 Aufrufe

언어와 언어 사용 에 대한 자각 - 경상대학교

언어와 언어 사용 에 대한 자각 - 경상대학교

언어와 언어 사용 에 대한 자각 - 경상대학교

MEHR ANZEIGEN
WENIGER ANZEIGEN

Sie wollen auch ein ePaper? Erhöhen Sie die Reichweite Ihrer Titel.

YUMPU macht aus Druck-PDFs automatisch weboptimierte ePaper, die Google liebt.

정보 간격이 전제됨<br />

갑돌이<br />

◇◇◇<br />

정보 전달 의사소통 복순이<br />

◇◇◇<br />

◇◇◇◇◇◇<br />

◇◇◇◇◇◇<br />

사교적 의사소통<br />

­ 체면을 살려줌(face saving)<br />

­ 체면을 뭉개버림(face threatening)<br />

갑돌이<br />

개념념틀<br />

공유<br />

배경<br />

지식<br />

복순이<br />

개념념틀<br />

< 그림 3><br />

<strong>언어</strong>를 이용한 두 방향 의사소통의 틀<br />

여기서는 두 방향의 의사소통통을 가정하고고 있다.<br />

청자가 의사소통통 간격과과 정보 간격을 좁혀<br />

주는 기회를 갖게 된다. 20) ‘ 정보 간격’ 활동이란 개념념( 때로 의견견 간격 활동 opinion gap activity<br />

이라고고도 부름)은 의사소통통 중심심의 <strong>언어</strong>교교육<strong>에</strong>서 중요하게 다뤄진다. 이 활동은 ‘ 참된 실실생활<br />

자료’(authenticity) 들을 이용하여 문문제 해결결 능력을 길러러 주는 일이다.<br />

이 정지된 그림<strong>에</strong>서<br />

의사소통통 당사자들이 상대방<strong>에</strong>게 부여해 주는 지위들<strong>에</strong> 21) 대하여 표시해 줄 수 없다.<br />

의사<br />

소통통이 진행되면서 그 관관계계는 시시각각으로 바뀌게 된다. 가령,<br />

갑돌이와 복순이는 첫 대화<br />

를 < 친구, 친구> 의 관관계계로 시작하지만, < 만담가, 청중> 의 관관계계로 바뀌거나, < 선생, 학생><br />

의 관관계계로 바뀌거나, < 채무자, 변제자> 관관계계로 바뀌거나, < 배우, 관관객> 으로 바뀌거나,<br />

또<br />

는 < 오빠, 동생> 으로도 바뀔 수 있다.<br />

복합적인 관관계계들이 서로 겹치고고 바뀌어 나가는 실실상<br />

을 재빨리 깨닫기 위하여, 대화 분석<strong>에</strong> <strong>대한</strong> 내용도 <strong>언어</strong> 교교육<strong>에</strong> 도입될 필요가 있다.<br />

Ⅳ.<br />

이제 <strong>언어</strong> 그 자체<strong>에</strong>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가기로 한다.<br />

먼저 낱낱말과과 문문장<strong>에</strong> 대하여 살<br />

펴보기로 한다. 인간의 <strong>언어</strong><strong>에</strong>서 왜 꼭 ‘ 낱낱말’ 이란 단위와 ‘ 문문장’<br />

이란 단위가 존재하는 것일<br />

까? 이는 <strong>언어</strong>를 다룬다면, 누구나 풀어내어야 할 매우 중차<strong>대한</strong> 근원적 물음이다. 그런런데,<br />

러러셀이 밝혀낸낸 모순의 구조가 ‘A∈A’( 자기가 자기 자신신을 원소로 가지면 모순이 생김)이며, ‘A<br />

⊂A’<br />

( 진부분 집합)만을 허용해야 한다는 점을 받아들이면, 22) 이 물음은 결결코 <strong>언어</strong>학적 사고고<br />

속<strong>에</strong>서만 갇혀 있는 채로 완결결된 대답을 찾아낼낼 수 없음을 금방 알 수 있다(<br />

뒤<strong>에</strong> 나오는<br />

20) 이이는 리틀우우드 (Littlewood 1981) 『 의의사소통 중심 <strong>언어</strong>교교육 : 개론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n<br />

Introduction 』(Cambridge Univ. Press) <strong>에</strong>서 다뤄지기 시작했다 . 제 4 장장 ‘ 기능적 의의사소통 활동’<br />

<strong>에</strong>서 정보 전<br />

달용 연습 활동들이이 소개되고고 , 제 5 장장 ‘ 사교교적 상호작용 활동’ 을을 참고고하기 바란다 .<br />

21) 고고프먼 (1981)『 이이야기 형태 Forms of Talk』(Univ. of Pennsylvania Press) 제 3 장장 ‘footing’( 지위위 부여하<br />

기) 을을 보기 바란다 .<br />

22) 부분 집합의의 형식 ‘A⊆A’ 을을 허용하는 경우우, 이이는 ‘A≡A’ 의의 경우우까지 인인정해야 한다.<br />

그러나 뒤의의 관관계계는 특<br />

히 ‘ 동일성 ’ 관관계계인인데 , 수학<strong>에</strong>서는 ‘ 재귀성 ㆍ대칭성 ㆍ추이이성 ’ 이이 한 다발로 동시<strong>에</strong> 참값이이 되는 관관계계를 말하며 ,<br />

이이는 같은은 대상을을 같다고고 이이야기하는 일<strong>에</strong> 지나지 않으으므로 여기서는 제외해 두었다.<br />

- 10 -

Hurra! Ihre Datei wurde hochgeladen und ist bereit für die Veröffentlichung.

Erfolgreich gespeichert!

Leider ist etwas schief gelauf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