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3.2015 Aufrufe

언어와 언어 사용 에 대한 자각 - 경상대학교

언어와 언어 사용 에 대한 자각 - 경상대학교

언어와 언어 사용 에 대한 자각 - 경상대학교

MEHR ANZEIGEN
WENIGER ANZEIGEN

Sie wollen auch ein ePaper? Erhöhen Sie die Reichweite Ihrer Titel.

YUMPU macht aus Druck-PDFs automatisch weboptimierte ePaper, die Google liebt.

탐탐색하여 알아내는 일이다.<br />

이어서 화자는 그 간격을 줄이거나 좁히히기 위해서 어떤 방향으<br />

로 시도해야 할지를 결결정해야 한다. 이 과과정은 결결코 기계계적인 과과정이 아니다. ‘ 시도ㆍ좌절ㆍ<br />

재시도’ 의 반복 과과정이며, 그 진행이 여러러 가지 방식으로 이뤄져야 한다.<br />

평가의 잣대는 문문<br />

제 해결결 능력<strong>에</strong> 관관련련된 내용이거나, 아니면 응용력으로 모아져야 할 것이다.<br />

이를 통통칭하여<br />

능통통성 또는 유창성이라고고 부른다.<br />

각 칸 속<strong>에</strong> 들어 있는 ‘ 갈래와 사례례’ 는 두 가지 진행 과과정을 선택할 수 있다.<br />

하나는 용수<br />

철을 세워 놓은 것과과 같이,<br />

칸들이 하나씩 연결결되면서 계계속 진행되어 더 높은 과과제들로 나<br />

아갈 수 있다.<br />

다른 하나는 한 칸의 경경우만을 대상으로 하여 집중적으로 더 세분화되고고 심심<br />

화된 과과제들을 연습습할 수 있다. 여기서 필자가 ‘ 기타타…<br />

’ 라고고 표시한 것은 오직 예시를 위해<br />

몇 가지만 들어 놓았음을 나타타낸낸다.<br />

여기서 비록 머릿속으로 과과제를 위계계화하기 위한 이런런 단계계들을 얼개 형식을 빌려 엉성하<br />

게 짜놓았지만, 실실제로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들의 <strong>언어</strong> 행위<strong>에</strong> <strong>대한</strong> 교교사들의 반응이다.<br />

교교사의 적절한 반응이야말로 학습습자의 동기를 북돋우고고 도전 정신신을 키워 주는 원천이요,<br />

원동력이기 때문문이다. 이를 염두<strong>에</strong> 두면,<br />

비록 어떤 고고정된 얼개가 미리 갖추어져 있다고고<br />

하더라도,<br />

학습습자 반응<strong>에</strong> 따라서 능대능소 그 얼개<strong>에</strong> 변형을 가할 마음의 준비를 하고고 있어<br />

야 할 것이다. 교교육과과 학습습이 기계계적이거나 본능<strong>에</strong> 기초한 것이 아니기 때문문이다.<br />

교교육 현<br />

장<strong>에</strong>서는 미리 변동의 폭을 어느 정도 예상을 할 수 있지만,<br />

개별 학습습자들의 반응을 정확<br />

히히 예상해 놓을 수는 없다. 학습습자의 반응 또한 자유 의지의 산물이기 때문문이다.<br />

이런런 이유<br />

로 말미암아, 학습습자의 자발성과과 동기<strong>에</strong> 초점을 모으고고,<br />

교교사와 급우를 향하여 두 방향의<br />

상호작용이 활발히히 일어나도록 하며,<br />

그 과과정<strong>에</strong>서 스스로 많은 것을 깨우칠 수 있도록 하는<br />

일이 <strong>언어</strong> 교교육 현장<strong>에</strong>서 중요하게 고고려되어야 할 것이다.<br />

이런런 방향으로 교교육과과정과과 교교재<br />

들이 마련련되려면, ‘ 과과제 중심심’ <strong>언어</strong>교교육<strong>에</strong> <strong>대한</strong> 논논의가 고고려되어야 한다.<br />

참고고 문문헌<br />

김수업(2005)『 국어 교교육의 바탕탕과과 속살』<br />

나라말<br />

김수업(2006)『 배달말 가르치기』<br />

나라말<br />

Clark, H.(1996) Using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br />

Cox, B.(1995) Cox on the Battle for the English Curriculum, Hodder & Stoughton.<br />

Cook, Guy ed.(1995) Principle and Practice in Applied Lingu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br />

Grice, P.(1989) Studies in the Way of Words, Harvard University Press.<br />

Kintsch, W.(1998) Comprehesion: A paradigm for cogn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br />

Levelt, W.(1989) Speaking: From Intention to Articulation, MIT Press<br />

Levelt, W.(1999) 「 Producing spoken language: a blueprint of the speaker 」, in Brown and<br />

Hagoort eds. Neurocognition of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pp. 88~122<br />

Moore, G.(1903, 2003 revised) Principia Eth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br />

Miyake, A. and P. Shah eds.(1999) Models of Working Mem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br />

Russell, B.(1903, 1996 reissue) The Principle of Mathematics, Norton<br />

Widdowson, H.(2004) Text, Context, Pretext: Critical Issues in Discourse Analysis, Blackwell<br />

- 30 -

Hurra! Ihre Datei wurde hochgeladen und ist bereit für die Veröffentlichung.

Erfolgreich gespeichert!

Leider ist etwas schief gelauf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