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3.2015 Aufrufe

언어와 언어 사용 에 대한 자각 - 경상대학교

언어와 언어 사용 에 대한 자각 - 경상대학교

언어와 언어 사용 에 대한 자각 - 경상대학교

MEHR ANZEIGEN
WENIGER ANZEIGEN

Erfolgreiche ePaper selbst erstellen

Machen Sie aus Ihren PDF Publikationen ein blätterbares Flipbook mit unserer einzigartigen Google optimierten e-Paper Software.

【 <strong>언어</strong>지식】 ⇐═════⇒ 【 의사소통통 기술】<br />

문문자 형태 낱낱말 구 절 문문장 문문단 전체 덩잇글<br />

형<br />

식<br />

◇<br />

◇ ◇ ◇ ◇ ◇◇ ◇<br />

◇ ◇ ◇ ◇ ◇ ◇ ◇ ◇ ◇ ◇ ◇ ◇ ◇<br />

◇ ◇ ◇ ◇ ◇ ◇ ◇ ◇ ◇ ◇ ◇ ◇ ◇ ◇ ◇ ◇ ◇◇ ◇<br />

소리 형태 낱낱말 구 발화 발화 덩이 전체 덩잇말<br />

【 정확성】 ⇐═════⇒ 【 능통통성】<br />

내<br />

용<br />

의 도<br />

개별사례기억 일반의미기억<br />

개념념틀 schema<br />

< 그림 2><br />

상징으로서의 <strong><strong>언어</strong>와</strong> 그 하위 층위들의 구성 내용<br />

<strong>언어</strong> 교교육<strong>에</strong>서 흔흔히히 쓰면서도 제대로 정립되어 있지 않은 개념념이 있다. 소위 기술(skill)과과<br />

전략략(strategy)<strong>에</strong> <strong>대한</strong> 구분이다. 15) 다시 기술(skill)은 지식(knowledge)과과 대립된다.<br />

기술은<br />

반드시 연습습을 반복하면서 체득되는 대상이다.<br />

그렇지만 지식은 한 번만 듣거나 보면 단박<br />

<strong>에</strong> 깨닫게 되는 것이다. 굳굳이 반복 연습습이 필요 없다. 국어과과 교교육과과정<strong>에</strong>서는 skill 을 ‘ 능력’<br />

으로 번역하므로, 자칫 이런런 구분이 흐흐려질 우려가 없지 않다. 여기서 문문제는 ‘ 전략략’ 이다. 16)<br />

전략략이란 도대체 뭘뭘 말하는가? 위 그림<strong>에</strong>서 기술(skill) 은 네모 칸<strong>에</strong> 관관련련된 연습습 활동이다.<br />

인지 활동이나 인지 능력으로 부를 수 있는 전략략이란, 타타원<strong>에</strong> 관관련련된 연습습 활동이다.<br />

이는<br />

무의식적인 ‘ 절차 지식’ 을 의식적으로 붙들 수 있게 만들고고,<br />

그런런 절차 지식들을 확장해 나<br />

가는 일과과, <strong>언어</strong> <strong>사용</strong><strong>에</strong> 관관련련된 일반 인지 능력을 이용하는 일을 가리킨다.<br />

이를 받아들이면, <strong>언어</strong> 교교육은 낮은 단계계<strong>에</strong>서부터터 높은 단계계로 진행될 수 있다.<br />

낮은 단<br />

계계일수록 < 그림 2> 의 왼쪽<strong>에</strong> 초점을 맞추게 된다.<br />

높은 단계계일수록 오른쪽<strong>에</strong> 초점을 맞추<br />

게 된다. 고고급 수준의 학습습자들이 더 연습습할 필요가 있는 것은,<br />

맨 오른쪽<strong>에</strong> 있는 인지 활<br />

동<strong>에</strong> <strong>대한</strong> 것들이다. <strong>언어</strong> 교교육의 평가 또한 이 부분<strong>에</strong> 가중치가 주어져야 마땅하다.<br />

필자<br />

는 이 그림<strong>에</strong>서 맨 왼쪽과과 맨 오른쪽을 매개해 줄 수 있는 단위로서 ‘ 담화’ 를 주목목한다.<br />

이<br />

는 다시 < 그림 5> <strong>에</strong>서 논논의할 것이다.<br />

Ⅲ.<br />

이제 한 개인의 차원을 떠나,<br />

두 사람 사이<strong>에</strong>서 <strong>언어</strong>를 주고고받는 의사소통통 모형을 생각해<br />

보기로 한다. 종전<strong>에</strong>는 이를 ‘ 의사소통통 기능’ 이라고고 부르고고, 주로 야콥슨의「<br />

<strong>언어</strong>학과과 시<br />

15) <strong>언어</strong> 교교육<strong>에</strong>서 전략과과 관관련된 책자는 매우우 적다. 웬웬든ㆍ 루빈(Wenden and Rubin 1987) 편『<br />

<strong>언어</strong> 학습<strong>에</strong>서<br />

학습자 전략들 Learner Strategies in Language Learning 』(Prentice­Hall) 과과 옥스퍼드 (Oxford 1990) 『 <strong>언어</strong><br />

학습 전략: 모든 교교사가 알아야 하는 것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What Every Teacher Should<br />

Know』(Heinle & Heinle) 및 옥스퍼드 (Oxford 1996) 『 세계계 각처의의 <strong>언어</strong> 학습 전략들 : 여러 문문화로부터 나온<br />

관관점들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around the World: Cross­Cultural Perspectives』(Univ. of Hawaii<br />

Press) 등이이다.<br />

16) 전략이이란 용어가 전형적으으로 전쟁을을 전제로 하므로 , 이이를 교교육<strong>에</strong> 응응용하는 것을을 꺼려하는 사람들<strong>에</strong> 의의해서<br />

최최근 ‘ 인인지 활동’(cognitive activity) 이이나 ‘ 인인지 능력’ 이이란 용어도 쓰이이고고 있다. 레뷔ㆍ뢴스들<br />

(Levy and<br />

Ransdell 1996) 『 글쓰기 과과학:<br />

이이론ㆍ 방법ㆍ 개인인별 차이이ㆍ 응응용 The Science of Writing: Theories,<br />

Methods, Individual Differences, and Applications 』(Lawrence Erlbaum) 을을 보기 바란다 .<br />

- 8 -

Hurra! Ihre Datei wurde hochgeladen und ist bereit für die Veröffentlichung.

Erfolgreich gespeichert!

Leider ist etwas schief gelauf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