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3.2015 Aufrufe

언어와 언어 사용 에 대한 자각 - 경상대학교

언어와 언어 사용 에 대한 자각 - 경상대학교

언어와 언어 사용 에 대한 자각 - 경상대학교

MEHR ANZEIGEN
WENIGER ANZEIGEN

Sie wollen auch ein ePaper? Erhöhen Sie die Reichweite Ihrer Titel.

YUMPU macht aus Druck-PDFs automatisch weboptimierte ePaper, die Google liebt.

자가 깨달았다는 신신호를 확인하는 일이기 때문문이다.<br />

이를 청자 중심심의 의사소통통 모형이라고고<br />

부를 수 있다.<br />

이런런 시각<strong>에</strong>서 의사소통통 실실패가 극복되거나 회복되는 열쇠는 청자<strong>에</strong>게 있으며,<br />

청자로부<br />

터터 기대되는 반응을 이끌어내고고 확인하는 일<strong>에</strong> 달려 있는 것이다. 이 점은 ‘ 실실세계계’<br />

를 경경험<br />

하는 여느 일과과 동일 지평<strong>에</strong> 속하는 것이다. 의사소통통 도구의 자연성과과 비­자연성의 통통합도<br />

이런런 바탕탕 위<strong>에</strong>서 이뤄지는 것이다. 따라서 후후기의 <strong>언어</strong> <strong>사용</strong> 모형<strong>에</strong>서 그 초점은,<br />

청자가<br />

화자와 공공통통 영역 속<strong>에</strong> 들어가 있기보다는,<br />

오히히려 청자가 따로 실실세계계의 영역 속<strong>에</strong> 들어가<br />

있는 것이다. 그런런 점<strong>에</strong>서 청자는 중의적인 역할을 떠맡고고 있는 셈이다.<br />

청자와 화자가 의<br />

사소통통을 이루려면, 상호주관관적으로 청자와 화자가 동일한 존재임을 전제해야 한다.<br />

그롸롸이<br />

스는 이를 다음처럼 삼각형 관관계계로 표현한다.<br />

실실세계계 경경험<br />

의사소통통 도구<br />

사고고­믿음 체계계<br />

청자와 화자는 모두 머릿속<strong>에</strong>서 삼각형으로 이뤄진 대응 관관계계를 내재화하고고 있다.<br />

그런런 점<br />

<strong>에</strong>서 화자와 동일한 영역 속<strong>에</strong> 들어 있다. 서로 감정이입이 될 수 있는 존재인 것이다.<br />

그<br />

렇지만 화자가 내보낸낸 의사소통통 의도를 청자가 알아차렸음을 확인하기 위해서,<br />

화자의 삼각<br />

형<strong>에</strong>서 청자는 다시 실실세계계의 영역 속<strong>에</strong> 들어가 있어야 한다.<br />

청자로부터터 나온 특정한 반응<br />

을 확인해야 할 실실세계계의 대상으로 간주되기 때문문이다.<br />

따라서 <strong>언어</strong> <strong>사용</strong>이 일차적으로 화<br />

자를 중심심으로 일어나는 듯하다. 이는 일방적인 의사소통통의 경경우<strong>에</strong>만 그러러하다.<br />

만일 의사<br />

소통통을 제대로 매듭짓기 위해서는 반드시 청자의 축이 심심각하게 고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br />

이는 화자<strong>에</strong>게 언제나 청자의 반응을 살펴보면서 자신신의 의도를 가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br />

해야 하는 의무를 부과과해 놓는다. <strong>언어</strong> 교교육<strong>에</strong>서는 이런런 측면을 포괄괄적으로 ‘ 난관관 타타개하기’<br />

로 부른다.<br />

Ⅸ.<br />

마지막으로 <strong>언어</strong> 교교육<strong>에</strong>서 다뤄지는 <strong>언어</strong> <strong>사용</strong>의 네 가지 측면 가운데<strong>에</strong>서,<br />

다만 예시를<br />

위하여 말하기 영역을 언급하기로 한다. 특히히,<br />

말하기 영역<strong>에</strong>서 대화 능력을 높여 주기 위<br />

하여 과과제를 등급으로 나눠 주는 소략략한 원리<strong>에</strong> 대하여 생각해 보기로 한다. 55)<br />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strong>에</strong>서 나온 의사소통통 중심심<br />

여기서는<br />

‘ <strong>언어</strong>교교육 지침서’ 의56) 내용과과 필자가 생각<br />

하는 내용을 한데 아우르기로 한다. 그 <strong>언어</strong>교교육 지침서의 밑바닥 원리는 매우 간단하다.<br />

55) <strong>언어</strong> 교교육<strong>에</strong>서 처음음으으로 스코틀랜드 토박이이 중학생 화자들을을 대상으으로 하여 ‘ 정보 전달용 ’ 말하기를 등급화<br />

해 놓는 원원리가 Anderson, Brown, Shillock, and Yule(1984)『Teaching Talk: Strategies for Production<br />

and Assessment 』(Cambridge Univ. Press) 로 출출간되었다 . 이이는 20년이이 넘은은 지금까지도 과과제 중심 <strong>언어</strong><br />

교교육(TBLT ) <strong>에</strong>서는 중요한 업적으으로 인인용되고고 있다.<br />

난이이도를 줄이이고고 높여 가는 자세한 등급화 원원리는 그 논<br />

의의를 참고고하기 바란다 . 이이 글<strong>에</strong>서는 다만 어떤 영역을을 다뤄나가야 할지를 놓고고서 다뤄 나갈 것이이다 .<br />

56) 범문문사<strong>에</strong>서 『 발음음』 ,『 문문법』 ,『 어휘』 ,『 담화』 ,『 듣기』 ,『 말하기 』,『 읽기』 ,『 쓰기』 ,『 평가』 ,『<br />

<strong>언어</strong> 학<br />

습<strong>에</strong>서의의 교교사와 학습자의의 역할』 ,『 효과과적인인 수업을을 위위한 교교실 상호작용 』,『 Syllabus 의의 구성과과 응응용』<br />

등<br />

모두 12 권권이이 번역 출출간되었다 .<br />

- 28 -

Hurra! Ihre Datei wurde hochgeladen und ist bereit für die Veröffentlichung.

Erfolgreich gespeichert!

Leider ist etwas schief gelauf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