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3.2015 Aufrufe

언어와 언어 사용 에 대한 자각 - 경상대학교

언어와 언어 사용 에 대한 자각 - 경상대학교

언어와 언어 사용 에 대한 자각 - 경상대학교

MEHR ANZEIGEN
WENIGER ANZEIGEN

Sie wollen auch ein ePaper? Erhöhen Sie die Reichweite Ihrer Titel.

YUMPU macht aus Druck-PDFs automatisch weboptimierte ePaper, die Google liebt.

Language』(Oxford Univ. Press) <strong>에</strong>서 기술해 놓은 <strong>언어</strong> 현상을 다룰 수 있다. 유뤄(Ure<br />

1971) 의 어휘휘 밀집도(lexical density) 개념념을 받아들이면서,<br />

두 양식이 차이가 나는 여러러<br />

속성들 중<strong>에</strong>서도, 입말은 병렬렬 접속 구조 또는 병치절을 많이 취하나,<br />

글말은 종속 내포 구<br />

조 또는 하위절을 많이 취하며(제 6장 4절), 입말이 ‘ 동사’ 군군을 많이 채택하나 글말은 ‘ 명사’<br />

군군을 취하는 경경향이 있음(제 5장 7절) 을 지적하였다.<br />

입말이 전형적으로 화자와 청자가 상황<br />

을 공공유하고고 있기 때문문<strong>에</strong>,<br />

병치절은 그 상황<strong>에</strong>서 선택되는 대상들이 나열되는 한 가지 자연<br />

스러러운 방식일 수 있다.<br />

글말이 전형적으로 필자와 독자 사이<strong>에</strong> 공공유된 상황을 결결여하거나<br />

또는 벗어나 있기 때문문<strong>에</strong>,<br />

하위절은 그 상황<strong>에</strong> 대하여 재구성을 보장하는 정보나 또는 그<br />

상황을 일반화시킨 진술을 하기 위해서 불가피한 측면일 수 있다.<br />

그런런데 상대적으로 왜 전형적인 입말<strong>에</strong>서는 동사가 많이 실실현되고고,<br />

전형적인 글말<strong>에</strong>서는<br />

명사가 더 많은 빈도로 나타타나는 것일까? 입말은 현실실태( 지금 실실현된 상황)<strong>에</strong>서 이용되는 의<br />

사소통통 도구이다. 그런런 만큼 구체적인 개별 사례례들이 초점이 된다. 글말은 잠재태(<br />

아직 실실현<br />

되지 않은 상황)<strong>에</strong> 이용되는 만큼, 추상화되고고 일반화된 사건들을 취급하는 경경향이 있다.<br />

입<br />

말과과 글말을 갈라 나누는 핵심심 속성으로, 이전부터터 발신신자와 수신신자 사이<strong>에</strong> ‘ 의사소통통 상황’<br />

이 공공유되어 있는지 여부를 상정해 왔었다. 이는 현실실태와 잠재태를 나누는 한 요소이지만,<br />

또한 더 중요한 요소로서<br />

‘ 정보 간격’<br />

을 줄일 수 있는 기회가 허용되는지 여부도 고고려되어<br />

야 한다. 간단히히 말하여,<br />

화자의 개별 경경험들이 문문장 단위로 이어지며 연속적으로 전달되는<br />

경경우<strong>에</strong>, 청자와의 정보 간격이 점점 줄어들거나 좁혀지며,<br />

궁궁극적으로는 그런런 간격이 사라<br />

질 것이다. 이는 화자의 개별 경경험이 청자와 함께 하는 ‘ 공공유 경경험’<br />

으로 되는 것을 의미한<br />

다. 이렇게 <strong>언어</strong>를 통통하여 새롭롭게 획득된 공공유 경경험들의 연쇄 속<strong>에</strong>는,<br />

문문학<strong>에</strong>서 추구되는<br />

여러러 가치들이 자리 잡고고 있다.<br />

문문장과과 낱낱말은 프레게의 생각처럼 단일 개념념을 가리키는<br />

‘ 이름’<br />

의 속성을 지녔녔기 때문문<strong>에</strong><br />

함께 묶이는 것이 아니다. 이들은 우리 삶을 이루는 복합 사건들의 연쇄를 놓고고서,<br />

우리 인<br />

식 조건과과의 관관련련 아래 단순한 절편들을 만들어 내기 때문문<strong>에</strong> 하나로 묶이는 것이다.<br />

그 절<br />

편도 두 축이 상정되어야 한다.<br />

구체적인 사례례의 속성을 띤 끝점과과 추상적인 일반 속성을<br />

띤 끝점이다. 문문장과과 낱낱말은 이들 사이<strong>에</strong>서 변동되는 것이다. 그럼<strong>에</strong>도 불구하고고, 문문장은 1<br />

차적으로 어떤 구체적인 사건을 언급하기 때문문<strong>에</strong>, 관관찰자 겸 화자가 이를 관관찰ㆍ경경험하여<br />

장기 기억 속<strong>에</strong> 집어넣고고 나서,<br />

다른 사람<strong>에</strong>게 그 정보를 전달해 주기 위해서는 스스로 완<br />

결결되어야 할 필수 층위가 있다. 명사는 1차적으로 추상화되고고 일반화되어 있는 개념념을 기반<br />

으로 하므로, 이런런 요구가 화용상의 필요성<strong>에</strong> 의해 요구되지 않는다면 수의적이다.<br />

이런런 특<br />

성들 때문문<strong>에</strong> 의사소통통을 할 때<strong>에</strong> 서로 간<strong>에</strong> 정보 간격이 클 경경우<strong>에</strong>는,<br />

문문장들을 연속적으로<br />

산출하여 공공유 경경험의 토토대를 점차 마련련하고고 확보해 나가야 한다.<br />

반대로 서로 간<strong>에</strong> 정보<br />

간격이 적거나 공공유된 경경험이 많을 적<strong>에</strong>는 추상화되고고 일반화된 명사들의 단편만으로도 충<br />

분히히 서로의 의도를 알아차릴 개연성이 높아지는 것이다.<br />

다음 절<strong>에</strong>서는 문문장이 완결결되기<br />

위한 층위들을 살펴보기로 한다.<br />

Ⅴ.<br />

우리는 삶을 이루는 실실세계계의 복합 사건들의 연쇄를 단면으로 잘라내어 파악하고고,<br />

그 내<br />

용을 가치가 있다고고 판단하는 것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장기 기억 속<strong>에</strong> 저장하게 된<br />

- 16 -

Hurra! Ihre Datei wurde hochgeladen und ist bereit für die Veröffentlichung.

Erfolgreich gespeichert!

Leider ist etwas schief gelauf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