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10.2016 Views

주간연예 vol.1152_102716

주간연예 vol.1152_102716

주간연예 vol.1152_102716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e-mail:enews@usa.net<br />

건강<br />

105<br />

'<br />

다이어트하듯 깐깐하게…<br />

혈압을 잡아야 오래산다<br />

몸무게는 한 달에 몇 번이나 재보<br />

나요? 그렇다면 혈압은?' '집에<br />

체중계는 있나요? 그렇다면 혈압계는?'<br />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10<br />

명 중 3명은 고혈압 환자다. 하지만 인지<br />

율은 62.6%, 치료율은 58.6%에 불과하<br />

고 조절률은 40.6%로 낮다. 고혈압 환<br />

자 10명 중 4명은 자신이 환자인지도 몰<br />

라서 치료조차 하지 않고, 또 10명 중 6<br />

명은 혈압 관리조차 하지 않는다는 얘<br />

기다. 고혈압이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br />

는 까닭이다.<br />

혈압에 관심조차 없이 지내다 몸에 이<br />

상이 있다고 느끼는 순간, 그때는 이미<br />

다른 합병증으로 번진 상태가 돼버린다.<br />

대표적인 합병증은 동맥경화다. 심장의<br />

관상동맥•뇌동맥•사지동맥 등의 기능이<br />

손상돼 치명적인 후유증을 남긴다. 혈압<br />

이 2mmHg 상승할 때마다 관상동맥 질<br />

환 사망률 7%, 뇌졸중 사망률은 10%<br />

증가한다. 당뇨병 발생에도 직접적인 영<br />

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혈압 관<br />

리는 건강하고 오래 살기 위한 필수 조<br />

건이다. 그래서 무엇보다 평소 가정에서<br />

의 혈압 관리가 중요하다. 특히 일본 고<br />

혈압 학계 권위자인 이마이 유타카 도<br />

호쿠대 교수는 "고혈압 진단과 치료에는<br />

병원보다 가정에서 평소 측정한 혈압이<br />

더 중요하다"고 강조한다.<br />

이마이 교수는 지난 6월 대한고혈압학<br />

회 초청 강연에서 "진료실에서는 실제<br />

혈압보다 높거나 낮게 측정될 수 있다"<br />

며 "가정에서 평상시 자주 측정한 데이<br />

터가 없다면 정확한 판단을 하기 힘들<br />

다"고 설명했다.<br />

평소 가정에서 재면 혈압이 높지만, 병<br />

원에서 측정하면 정상으로 나오는 '가면<br />

고혈압(masked hypertension)'과 평소<br />

엔 정상이지만 병원에서 재면 높게 나오<br />

는 '백의 고혈압(white-coat hypertension)'<br />

등을 보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br />

실제 일본에서는 진료실 혈압이<br />

140/90mmHg 이상인 환자의 가정 혈압<br />

이 135/85mmHg 이상이면 고혈압으로,<br />

그 미만이면 백의 고혈압으로 진단한다.<br />

반대로 진료실 혈압이 140/90mmHg 미<br />

만이고, 가정 혈압이 135/85mmHg 이상<br />

이면 가면 고혈압으로 진단한다.<br />

이마이 교수는 "가정 측정 혈압 데이<br />

터는 혈압 변동성을 관리하는 데 도움<br />

이 된다"며 "예를 들어 아침과 저녁 혈<br />

압을 비교하면 혈압약의 효과를 확인할<br />

수 있어 치료목표 조율에도 유용하다"<br />

고 밝혔다.<br />

김철호 대한고혈압학회 이사장은 "많<br />

은 의사가 가정 혈압의 중요성을 인식<br />

하고 있지만, 실제 진료에 적용하는 데<br />

는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며 "학회에서<br />

는 구체적인 가정 혈압 측정 방법과 진<br />

료 가이드라인 개선을 적극적으로 검토<br />

하고 있다"고 밝혔다. 체중계를 집에 두<br />

고 매일 몸무게를 체크하고 관리하듯이<br />

가정에서 직접 혈압을 측정하며 관리하<br />

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데 중요한 요소<br />

인 것이다.<br />

최근 고혈압 학계에서는 혈압 관리 목<br />

표를 더 낮게 잡을수록 더 좋다는 주<br />

장이 힘을 얻고 있다. 특히 최근 발표된<br />

'SPRINT(Systolic Blood Pressure Intervention<br />

Trial)' 연구는 고혈압 학계<br />

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SPRINT 연구<br />

는 고혈압 환자의 목표 혈압을 평가한<br />

가장 대규모 임상시험으로 혈압 조절 목<br />

표에 'The lower, the better(낮을수록<br />

더 좋다)' 전략을 적용할 수 있다는 근거,<br />

그것도 가장 높은 단계의 근거를 제공했<br />

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SPRINT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