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3.2024 Views

TCN 102호 2024년 3월 15일 B면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30 | WORLD News<br />

Living & News | MAR 15 2024<br />

마크롱 “조력사망 5월 발의” … 유럽 ‘안락사’ 허용범위 넓어지나<br />

환자에게 직접 치명적인 약물을<br />

허용한다.<br />

주입해 죽음에 이르게 하고, 조력<br />

이 밖에 룩셈부르크(2009년)와<br />

자살(assisted suicide)로도 불리<br />

스페인(2021년) 등도 적극적 안<br />

는 조력사는 환자가 의사가 처방<br />

락사 등을 일부 도입했다.<br />

한 약물을 투약해 스스로 생을 마<br />

AFP는 이번 조력 사망 법제화<br />

감하도록 한다.<br />

추진이 국내에서 거센 반대에 직<br />

마크롱 대통령은 자국이 추진<br />

면할 가능성이 높아 오는 5월에<br />

하는 조력 사망의 경우, 환자의<br />

법안이 제출되더라도 내년 이전<br />

동의가 필수적인 동시에 정확한<br />

에는 통과될 가능성이 낮다고 전<br />

기준과 의료 전문가의 소견이 이<br />

망했다.<br />

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br />

현지 여론조사를 보면 프랑스<br />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br />

서 조력 자살이나 안락사(euthanasia)라는<br />

용어는 피하고 싶다<br />

국민 대다수가 ‘죽을 권리’의 법<br />

제화에 찬성하지만, 가톨릭 교계<br />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br />

을 완전히 통제할 수 있는 성인<br />

의료 전문가는 15일 이내에 응답<br />

고 덧붙였다.<br />

등의 반대 여론도 높은 것으로 나<br />

령이 환자가 직접 약물을 투약하<br />

이 단기·중기적으로 치료가 불가<br />

해야 하며, 이 절차를 거쳐 이뤄<br />

프랑스는 앞서 2005년 연명 치<br />

타난다고 AFP는 전했다.<br />

는 등의 방법으로 스스로 죽음을<br />

능하고 고통을 완화할 수 없는 치<br />

진 승인은 3개월 동안 효력을 갖<br />

료를 중단하는 소극적 안락사를<br />

마크롱 대통령은 인도적 차원<br />

맞는 조력 사망(assisted dying)<br />

명적인 질병을 앓고 있는 경우 “<br />

는다. 그동안 환자는 조력 사망<br />

도입했다.<br />

에서 받아들일 수 없는 상황에 처<br />

의 법제화를 추진한다고 밝혔다<br />

죽을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요청<br />

의사를 철회할 수 있다.<br />

이후 2016년에는 의사가 고통<br />

한 환자들이 있다며 목표는 “개인<br />

고 AFP통신이 10일(현지시간)<br />

할 수 있다”고 말했다.<br />

또한 의료 전문가가 조력 요청<br />

스러워하는 말기 환자에게 강력<br />

의 자율성과 국가의 연대를 조화<br />

전했다.<br />

따라서 미성년자나 알츠하이머<br />

을 거부할 경우, 환자는 이의를<br />

한 안정제를 계속 투여해 수면 상<br />

시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br />

통신은 마크롱 대통령이 이날<br />

병 등 신경퇴행성 질환이나 정신<br />

제기하거나 다른 의료 전문가와<br />

태에서 생을 마감할 수 있도록 하<br />

마크롱 대통령은 세계 최초로<br />

보도된 프랑스 일간 라 크루아,<br />

질환을 앓는 환자는 대상에서 제<br />

상담할 수 있다고 마크롱 대통령<br />

는 법을 마련했다.<br />

여성의 낙태 자유를 헌법에 명문<br />

리베라시옹과의 인터뷰에서 조<br />

외된다.<br />

은 설명했다.<br />

하지만 환자의 자발적 의사에<br />

화하는 성과를 거둔 뒤 이같은 구<br />

력 사망에 관한 법안을 5월 중 의<br />

법안은 의료 전문가의 동의 하<br />

안락사는 크게 소극적 안락사<br />

따른 적극적 안락사나 조력사는<br />

상을 공개했다.<br />

회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br />

에 환자에게 처방된 치명적 약물<br />

와 적극적 안락사, 조력사 등으로<br />

금지돼 있어 이를 원하는 환자들<br />

이는 농민 시위와 우크라이나<br />

고 전했다.<br />

을 환자가 스스로 투약하는 방식<br />

나뉜다.<br />

은 벨기에나 네덜란드 등 이를 허<br />

파병 가능성 발언으로 국내외에<br />

마크롱 대통령이 구상하는 법<br />

을 택할 예정이다. 다만 신체적<br />

소극적 안락사는 의식이 없는<br />

용하는 주변 국가로 가야 했다.<br />

서 궁지에 몰렸던 그가 진보적 이<br />

안은 스스로 판단이 가능한 성인<br />

여건상 환자가 직접 하지 못할 경<br />

환자에게 영양공급 등 생명 유지<br />

벨기에와 네덜란드는 2002년<br />

슈를 잇따라 앞세워 지지율을 만<br />

을 대상으로 조력 사망을 제한적<br />

우 제 3자의 도움을 받아 약물을<br />

에 필요한 치료를 중단함으로써<br />

적극적 안락사 등을 합법화했다.<br />

회하려는 포석이라는 분석도 나<br />

으로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br />

투약할 수 있다.<br />

생을 마치게 하는 것이다.<br />

이들 국가의 경우 부모 동의를 전<br />

온다.<br />

마크롱 대통령은 자신의 판단<br />

환자의 사망 조력 요청을 받은<br />

반면 적극적 안락사는 의사가<br />

제로 아동에 대해서도 안락사를<br />

“아마추어라” … 英 왕세자빈, 가족사진 조작 논란 사과<br />

지난 1월 수술 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건강 이상<br />

설에 휩싸인 케이트 미들턴 영국 왕세자빈이 두 달 만<br />

에 처음으로 공개한 사진마저 조작 논란이 일자 사과<br />

했다.<br />

켄싱턴궁은 11일(현지시간) 공식 엑스(X·옛 트위<br />

터) 계정에 왕세자빈 명의로 “많은 아마추어 사진가처<br />

럼 나도 때때로 편집을 실험해본다. 우리가 어제 공유<br />

한 가족사진이 일으킨 혼란에 사과를 표시하고 싶었<br />

다”는 글을 올렸다.<br />

이 글에는 왕세자빈의 이름인 캐서린을 뜻하는 ‘C’<br />

라는 머리글자가 달렸다. 그러나 사진을 엑스에서 삭<br />

제하진 않았다.<br />

문제의 사진은 켄싱턴궁이 전날인 10일 어머니의<br />

날을 맞아 엑스와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에 올린<br />

것으로, 윌리엄 왕세자가 찍은 것이라는 설명이 붙었<br />

다. 그러나 사진을 편집한 흔적이 발견돼 조작된 것이<br />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br />

샬럿 공주의 소매 일부가 지워진 것처럼 보이고 치<br />

마 가장자리도 정렬이 어긋나 보이며 왕세자빈의 옷<br />

지퍼도 위치가 이상하다는 지적이 나왔다.<br />

소셜미디어에는 배경에 보이는 나뭇잎이 겨울철치<br />

고는 지나치게 푸르다며 이번에 새로 찍은 것이 맞느<br />

냐는 의심까지 제기됐다.<br />

이어 세계 주요 통신사가 잇따라 이 사진 발행을 취<br />

소했다.<br />

AP 통신은 “켄싱턴궁이 제공한 사진을 발행했으나<br />

이후 더 자세히 검토한 결과 원본 단계에서 이미지가<br />

AP의 사진 기준에 맞지 않는 방식으로 조작된 것으로<br />

보인다”며 “사진 속 샬럿 공주의 왼손 정렬이 모순된<br />

것으로 보인다”고 삭제 이유를 설명했다.<br />

조작설 휩싸인 케이트 미들턴 영국 왕세자빈의 사진<br />

AFP 통신 역시 “켄싱턴궁이 발행한 해당 사진이 추<br />

후 고쳐졌다는 사실이 밝혀져 AFP 시스템에서 삭제<br />

하겠다”고 밝혔다.<br />

로이터는 고객사에 “해당 이미지를 온라인에 게재<br />

했거나 인쇄물에 실을 예정이라면 취소하라”고 안내<br />

했고 사진 전문 통신사 게티 이미지도 발행을 취소<br />

했다.<br />

이튿날인 11일에는 영국 통신사 PA 미디어도 같은<br />

조처를 했다.<br />

PA 통신은 왕실 소식통들을 인용해 “왕세자빈이 사<br />

소한 수정을 했다”며 “왕세자 부부가 어머니의 날을<br />

위해 격식을 갖추지 않은 가족사진을 제공하고 싶어<br />

했다”고 전했다.<br />

켄싱턴궁은 해당 사진이 윌리엄 왕세자가 이번 주<br />

초 촬영한 것이라면서 왕세자빈의 신변을 둘러싼 의<br />

혹을 불식하려 했으나 사진 조작 논란이 더해지며 되<br />

레 의혹만 부채질했다.<br />

켄싱턴궁은 앞서 왕세자빈이 수술 후 회복 중이며<br />

부활절(3월 31일) 전까지는 업무에 복귀하지 않을 예<br />

정이라고 밝혔다.<br />

구체적인 병명은 공개되지 않았으며 왕실은 암과 관<br />

련된 것은 아니라고만 밝힌 상태다.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