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3.2024 Views

717호 2024년 3월 15일 B면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KOREA TOWN NEWS<br />

58<br />

MAR 15 2024<br />

기사 제보 : info@dallasKTN.com<br />

반려묘 지능 테스트!<br />

10가지 항목으로 알아보기<br />

똑똑하다고 알려진 반려묘이지만, 반려견과<br />

달리 훈련이 어렵기 때문에 그 똑똑함을 느끼<br />

기가 어렵다. 하지만 반려묘 지능이 반려견 보<br />

다 높다는 연구가 있으며, 단기 기억력은 사람<br />

보다 20배 정도 길다고도 한다. 반려묘 지능 테<br />

스트를 통해 우리 집 반려묘는 얼마나 똑똑한<br />

지 알아보자!<br />

1. 낯선 환경에 경계심이 높다<br />

평소 생활하던 곳에 새로운 물건이 놓여 있거나, 가구의<br />

위치가 옮겨졌을 때 경계심을 보이며 신중하게 행동한다<br />

면 영리한 반려묘라고 할 수 있다.<br />

낯선 것에 호기심을 가지면서도, 충분히 경계하여 안전<br />

을 확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br />

2. 장난감 주고받기 놀이가 가능하다<br />

보통 반려묘는 장난감이나 공을 던져도 쫓아가기만 할<br />

뿐 가지고 오지는 않는다.<br />

이것은 주고받기 놀이를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br />

지만 똑똑한 반려묘라면 ‘이 장난감을 들고 가면 또 놀아<br />

주겠지’라고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br />

3. 자신의 먹이를 알아챈다<br />

아직 개봉하지 않은 사료 봉투나, 캔 간식을 자기 먹이라<br />

고 알아챈다는 것은 똑똑한 반려묘라고 할 수 있다.<br />

특히 사람의 통조림을 보고도 반응하지 않고, 자기 거<br />

에만 반응한다는 것은 둘의 다름을 이해하고 기억한다는<br />

의미다.<br />

4. 문이나 서랍을 직접 연다<br />

반려묘가 자기 간식이 있는 서랍을 마음대로 여는 모습<br />

을 본 적이 있는가? 또 어떤 반려묘는 문고리를 잡고 문을<br />

여는 반려묘도 있다.<br />

자기가 좋아하는 간식이 어디에 들어있는지 기억하고<br />

있고, 문 여는 것을 관찰해 스스로 학습했다는 것을 의미<br />

한다.<br />

5. 사냥놀이를 좋아해<br />

사냥 본능이 강한 놀이를 좋아하는 반려묘는 지능이 높<br />

다고 알려져 있다.<br />

이유는 사냥감의 위치를 예측하고, 숨어서 노리거나, 조<br />

용히 접근하는 등 전략을 짜는 행동이기 때문이다.<br />

적절한 놀이 활동을 통해 머리 회전이 무디어지는 것<br />

을 방지하도록 하자. 놀이는 반려묘 치매 예방에도 도움<br />

이 된다.<br />

6. 숨긴 장난감의 위치를 알고 있다<br />

놀고 있던 장난감을 소파 밑이나 이불 안에 숨겨보자.<br />

똑똑한 반려묘라면 장난감이 사라지더라도, 그것이 숨<br />

겨진 장소를 유추해 낼 수 있을 것이다.<br />

장난감을 숨긴 장소 주변을 어슬렁거리거나, 손으로 파<br />

는 행동을 한다면 지능이 높은 반려묘라 할 수 있다.<br />

7. 동영상이나 TV을 인지할 수 있다<br />

똑똑한 반려묘는 실제로 있는 것과 화면 상의 차이를 이<br />

해할 수 있다.<br />

따라서 동영상이나 TV 화면에 큰 반응을 보이지<br />

않는다.<br />

처음에는 놀라거나 잡으려 시도할지라도, 점차 무의미<br />

한 행동이라는 것을 학습하게 된다.<br />

8. 혼난 것을 기억한다<br />

반려묘는 단독 생활을 하는 동물이다.<br />

따라서 주종관계에 대한 의식이 없다.<br />

반려견과 달리 훈련이 어려운 이유도 이것 때문이다.<br />

따라서 복종 훈련이 아닌, ‘이 행동을 하면 좋은 일이 생<br />

긴다’, ‘이 행동을 하면 안 좋은 일이 생긴다’와 같이 학습<br />

한다. 집사에게 혼난 것을 기억하고, 같은 잘못을 반복하<br />

지 않는 반려묘는 똑똑한 반려묘라 할 수 있다.<br />

9. 장난은 숨어서 한다<br />

영리한 반려묘는 자신이 혼날 짓을 할 때, 들키면 혼난다<br />

는 것을 확실히 파악하고 있다.<br />

그렇다고 해서 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단지 숨어서 할<br />

뿐이다. 숨어서 장난을 친다는 것은, 행동에 대한 인과관<br />

계를 알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매우 영특한 행동이라 할<br />

수 있다.<br />

10. 싫은 물건을 숨기려 한다<br />

칫솔이나 치약을 숨기거나, 발톱 깎기, 빗 등 자기가 하<br />

기 싫은 행동을 유발하는 물건들을 숨기는 반려묘가 있다.<br />

침대 밑이나 가구 깊숙한 곳까지 눈에 띄지 않는 곳에 숨<br />

겨버린다.<br />

행동과 물건의 상관 관계를 알고, 기억하기까지 하는 똑<br />

똑한 반려묘다.<br />

정리=KTN 보도편집국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