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3.2014 Views

당뇨병의 말초동맥질환 진료지침 - 대한내과학회

당뇨병의 말초동맥질환 진료지침 - 대한내과학회

당뇨병의 말초동맥질환 진료지침 - 대한내과학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할 수 없으며 다른 진단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br />

B. 분절 혈압 측정<br />

혈량계(plethysmography)를 이용하여 하지의 혈압을 몇 부분으로 나누어 측정한다. 측<br />

정 부위는 보통 허벅지 윗쪽, 아래 허벅지, 종아리 위, 아래 쪽, 발목 위쪽 등이다. 이러<br />

한 측정치를 이용하여 비침습적으로 동맥 내 혈압 측정을 추정 할 수 있으며, ABI와 대<br />

조적으로, 분절 혈압은 동맥 협착증의 위치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의 혈압과<br />

허벅지 위쪽의 혈압에 차이가 있으면 대동맥 좌골동맥 협착증을 의미한다. 혈압 차이가<br />

허벅지 위, 아래 커프에 나타난 경우, 표재 대퇴동맥 병변을 의미한다. 허벅지 아래쪽과<br />

종아리 위쪽의 커프에 혈압 차이가 있으면 원위 표재대퇴동맥과 슬와동맥의 협착을 시<br />

사한다. 그리고 종아리 위 아래의 커프에서 혈압 차이가 있으면 슬와동맥 아래쪽에 병<br />

변이 있다. 대부분의 검사실에서 혈압 차이 20 mmHg 이상을 유의한 협착으로 판정한<br />

다.<br />

C. 연속파 도플러 초음파(Continuous-wave Doppler Ultrasound)<br />

연속파 도플러 초음파는 속도 파형을 통해 비침습적으로 <strong>말초동맥질환</strong>을 진단하는 전<br />

통적 검사이다. 이러한 검사로 병소의 위치, 중증도, 추적 검사에서 질환의 진행 및 혈<br />

관재형성술의 효과 평가 등이 가능하게 되었다.<br />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근위부 폐쇄성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계량적 간접 측정법은 박<br />

동성 지수(peak-to-peak pulsatility index)이다. 정상적으로 박동성 지수는 근위부에서 원<br />

위부 하지로 갈수록 증가한다. 인접된 원위부와 근위부 사이의 박동성 지수 감소는 폐<br />

쇄성 병변을 시사하며, 그 정도는 일반적으로 폐쇄성 질환의 중증도와 비례한다.<br />

D. 운동부하검사<br />

운동부하검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유용하다.<br />

a. 정시 측정한 ABI가 정상일 때 하지 말초혈관질환 진단의 확정<br />

6 <strong>당뇨병의</strong> <strong>말초동맥질환</strong> <strong>진료지침</strong>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