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3.2014 Views

당뇨병의 말초동맥질환 진료지침 - 대한내과학회

당뇨병의 말초동맥질환 진료지침 - 대한내과학회

당뇨병의 말초동맥질환 진료지침 - 대한내과학회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구 중 6개의 연구에서 의미 있는 최대 보행 시간의 증가를 보였으면, 또한 기능적 상태<br />

및 삶의 질의 개선을 가져왔다. 이 약제의 사용은 어느 단계이던 간에 부정맥의 위험<br />

때문에 심부전이 있을 경우 금기사항이다. 한 연구에서는 cilostazol을 치료한 결과와 비<br />

교하여 pentoxifylline이 치료 효과가 열등함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러한 자료를 기초로<br />

하여, cilostazol이 당뇨병을 동반한 <strong>말초동맥질환</strong> 환자에서 약물치료가 요한다면 첫 번<br />

째 치료약이다.<br />

a) 약물요법<br />

약물요법은 침습적 치료로 얻을 수 있는 동맥의 협착·폐색병변을 직접 개선(재개통)<br />

시키는 효과는 없다. 그러나 약리학적 작용으로, 「혈전 형성의 억제」, 「혈관 경련 감소」,<br />

「부측 순환로 발달」, 「항동맥경화 작용」, 미세순환 개선 효과」 등으로 「증상 개선」 기<br />

대가 가능하다. 다른 evidence (EBM)로 항혈소판 작용에 의한 「병변의 진행 예방」이<br />

기대된다. 또한 PTA나 우회술 적응예에서 수술 후 재발예방(2차 예방)에도 약물요법이<br />

이용·시도되고 있다. 또한 약물요법은 「심혈관 event의 예방」에 의해, 생명 예후를 개선<br />

하는 역할도 중요하다. 그 효과에 대해 아스피린을 비롯한 많은 경구제에서 evidence가<br />

보고되고 있다. 항혈소판제에 의해 PAD에서 「생명 예후 개선」이나 「삶의 질의 개선」<br />

이 있다고 보고되어 구미에서도 PAD에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PAD 증상인「간헐성<br />

파행에 대해 효과적」라는 보고(실로스타졸이나 PGI2)도 있으며, 운동요법과 병용하여 「<br />

운동요법 단독 치료보다 효과적」이라는 보고도 있다. ASO 적응제를 단독 또는 병용으<br />

로 투여 방법은 경구법과 주사법(정맥주사 또는 동맥주사)이 있다. 허혈에 의한 자각 증<br />

상이 심하고, 중등도 이상의 허혈에서는, 복수 약제의 병용, 주사법이 선택되고 있다. 그<br />

러한 복수 약제 병용에 관해서는 evidence가 없고 효과가 불명하지만, 현실적으로 어쩔<br />

수 없는 예도 있다. 경증 예에서는 단일제로 호전되는 경우도 많다. 또한 약물요법에는<br />

항상 부작용이 동반하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출혈에 주의가 필요하다.<br />

20 <strong>당뇨병의</strong> <strong>말초동맥질환</strong> <strong>진료지침</strong>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