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3.2014 Views

당뇨병의 말초동맥질환 진료지침 - 대한내과학회

당뇨병의 말초동맥질환 진료지침 - 대한내과학회

당뇨병의 말초동맥질환 진료지침 - 대한내과학회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 Cilostazol의 이차 선택약제로 400 mg pentoxifylline 하루 3번 복용은 간헐적 파행을 동반한<br />

환자에서 보행거리의 향상을 가져오는 약제로 고려될 수 있다. (IIb, A)<br />

≫ 간헐적 파행을 동반한 환자에서의 보행거리의 증가를 위해 ginkgo biloba의 유용성은 제한적이<br />

며 잘 정립되지 않았다. (IIb, B)<br />

≫ Berapost와 iloprost같은 경구 prostaglandin 혈관확장제는 간헐적 파행을 동반한 환자에서 보<br />

행 거리를 향상시키는 효과적 약제가 아니다. (III, A)<br />

≫ 간헐적 파행을 동반한 환자에서 비타민E는 권고하지 않는다. (III, C)<br />

≫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같은 chelation은 간헐적 파행을 동반한 환자에서 적용되지 않<br />

으며 위해한 부작용을 가질 수 있다. (III, A)<br />

해설<br />

A. 심혈관 위험인자의 개선<br />

<strong>말초동맥질환</strong>이 있는 당뇨 환자에서 심혈관 위험인자의 개선이 심혈관계 예후를 호전시<br />

킨다는 전향적 연구 결과는 없지만, 유의한 심혈관 질환을 일으키므로 심혈관 위험인자 치<br />

료가 권고된다.<br />

1) 지질강하제<br />

LDL-C 100 mg/dL 이상인 <strong>말초동맥질환</strong>에서 스타틴 치료가 권고되며, 고위험군 환자<br />

에서는 70 mg/dL 미만을 목표로 한다. 고위험군에 해당되는 <strong>말초동맥질환</strong>은, a) 많은<br />

위험인자(특히 당뇨병), b) 잘 조절되지 않은 위험인자(특히 지속적인 흡연), c) 많은 대<br />

사증후군의 위험인자(특히 중성지방 > 200 mg/dL, 200 이상의 비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br />

롤(non-HDL-C)을 동반한 낮은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40 mgdL), d) 급성 관상동맥 질<br />

환 환자 등이다. 피브린산 유도체의 유용성은 확실하지 않지만,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br />

이 저하된 관상동맥 질환 환자에서의 gemfibrozil은 비치명적 심근경색 및 심혈관 사망을<br />

22% 낮추었다.<br />

14 <strong>당뇨병의</strong> <strong>말초동맥질환</strong> <strong>진료지침</strong>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