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3.2014 Views

당뇨병의 말초동맥질환 진료지침 - 대한내과학회

당뇨병의 말초동맥질환 진료지침 - 대한내과학회

당뇨병의 말초동맥질환 진료지침 - 대한내과학회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06<br />

S e c t i o n 간헐성 파행의 수술적 치료<br />

지침<br />

A. 수술요법의 적응<br />

≫ 수술적 치료는 파행 증상이 있고 직업 또는 생활을 제한하는 현저한 장애가 있거나, 운동 또는<br />

약물치료에 반응이 없으며, 증상 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 환자에서 적응된다. (I, B)<br />

≫ 수술의 시행으로 현저한 임상적 이득이 있어야 하며, 특히 이익/위험 비를 고려한다. (I, B)<br />

≫ 50세 미만 환자에서 중증 죽상경화성 폐쇄 질환은 장기적인 수술 성적이 좋지 않아 수술치료<br />

효과는 불명확하다. (IIb, B)<br />

≫ 간헐적 파행이 있는 환자에서는 사지 절박 허혈의 예방을 위한 수술치료는 시행되지는 않는다.<br />

(III, B)<br />

B. 수술 전 평가<br />

≫ 하지 <strong>말초동맥질환</strong> 환자에서 수술 전 심장혈관계 위험성을 평가한다. (I, B)<br />

C. 혈관폐쇄질환의 혈관 내 치료<br />

≫ 대동맥-양측 대퇴동맥 우회술은 혈류역학적으로 현저한 대동맥, 장골동맥 질환이 있으며, 직업<br />

상 혹은 생활상 장애 증상이 있으며, 운동이나 약물요법, 혹은 혈관 내 중재 시술에 반응이 없<br />

거나 부적당한 환자에 유용하다. (I, B)<br />

≫ 만족스런 대동맥 혈류(inflow)가 있는 경우에는 장골동맥 내막절제술과 대동맥-장골동맥 혹은<br />

장골동맥-대퇴동맥 우회술은 단측 질환의 수술적 치료로 사용되며, 양측 장골동맥 폐색 환자에<br />

서 대동맥-양측 대퇴동맥 우회술이 적합하지 않으면 장골동맥 내막절제술, 대동맥-장골동맥 혹<br />

은 장골동맥-대퇴동맥 우회술과 함께 대퇴동맥-대퇴동맥 우회술이 적용된다. (I, B)<br />

≫ 액와동맥-대퇴동맥-대퇴동맥 우회술은 매우 제한된 상황을 제외하고는 간헐성 파행이 있는 환<br />

자의 수술적 치료로 권고되지 않는다(III, B)<br />

D. 서혜부 하 병변의 혈관외 치료<br />

≫ 무릎 상방의 슬와동맥 우회술은 가능하면 자가 정맥으로 시행한다. (I, A)<br />

26 <strong>당뇨병의</strong> <strong>말초동맥질환</strong> <strong>진료지침</strong>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