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1.2014 Views

참가자료 원 자 력 국 - 원자력국제협력정보서비스 icon

참가자료 원 자 력 국 - 원자력국제협력정보서비스 icon

참가자료 원 자 력 국 - 원자력국제협력정보서비스 icon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 최근 러시아 정부는 다각적인 채널로 한국에의 참여를 요청 중으로 작년<br />

양국 정상회담('08.9.29) 시 참여가 타결되기를 희망<br />

※ 한․러 원자력공동위(‘ 07.12, 모스크바), 한․러 군축비확산협의(’ 08.6, 서울),<br />

한․러 외교장관협의(‘ 08.7, 싱가포르) 등<br />

○ 현재, 외교통상부 주도로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한국수력원자력(주) 등<br />

관계기관 간 한국의 참여방안을 검토 중<br />

- 한국수력원자력(주)는 아래와 같은 이유로 유보적인 입장<br />

: 1) 현재 농축우라늄 시장이 소비자 위주이고, 2) 이미 러시아, 미국,<br />

유럽국들과 장기계약을 체결, 3) 지분참여는 투자규모가 커서 위험이<br />

따르므로 장기적인 검토가 필요, 4) 러시아의 투명성 결여, 5) 핵연료와<br />

같은 민감 분야에 러시아와 합작투자하는 것에 대한 미국측 반응 확인 필요<br />

나. 한․러 정부기관 간 원자력 안전규제 협력약정 체결<br />

○ 한국 교육과학기술부와 러시아 천연자원환경부간의 원자력 안전규제<br />

분야에서의 협력약정 체결<br />

- 환경방사능 감시, 비상대응 협력, 핵융합로 안전기준 개발 등의 분야에서<br />

양부처간 협력을 규정하는 정부간 약정<br />

○ 러정부는 제8차 한․러 원자력공동위(‘03.10, 모스크바) 시 동 약정체결을<br />

제안한 후 양 정부는 그간 10여 차례의 협상을 거쳐 문안 합의하여<br />

- 2008년 한․러 정상회담(’08.9.29) 시 정상 임석 하에 체결키로 추진하<br />

였으나 러시아 외교부의 문안에 대한 이견으로 체결이 무산됨<br />

3. 향후 추진계획<br />

가. 국제우라늄농축센터(IUEC) 참여 긍정적 검토<br />

○ 현재 논의 중인 다자간 농축우라늄 공급체제(12개)의 일부 제안은 농축 등<br />

참여국의 핵주기 권리 포기를 전제로 하고 있음<br />

- 111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