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7.2015 Views

국제비교를 통한 한․미 주식시장 동조화의 평가 - 한국금융연구원

국제비교를 통한 한․미 주식시장 동조화의 평가 - 한국금융연구원

국제비교를 통한 한․미 주식시장 동조화의 평가 - 한국금융연구원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국제비교를 통한 한․미 주식시장 동조화의 평가 69서 2변량모형은 어떤 형태로든 공적분관계에 대해 제약을 부과한 모형임을 알 수있다.에는 환율에 의해 조정하지 않은 경우와 조정한 경우 2변량모형에 대한Johansen검정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2000년 이후의 자료만을 이용한 것인데, 이는기존 연구와 표본기간을 일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결과에 따르면, 공적분벡터가 1개있는 경우는 DJIA를 환율에 의해 조정한 경우뿐이었다. 따라서 이 결과를 단순하게 받아들인다면 환율에 의해 조정하는 방법이 더 타당하며 한․미 양국의 주가지수간에는 공적분관계가 존재하였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결과만으로KOSPI200과 DJIA 간에 공적분관계가 존재하였다고 볼 수 있을까? 그렇지는 않다.왜냐하면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모형에는 β 1 = β 3 라는 제약이 부과되고 있을뿐만 아니라 이 제약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일 만한 이유도 없기 때문이다. 이에본 연구는 KOSPI200과 미국주가지수의 공적분관계에 대하여 3변량모형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정하고자 한다.Ⅲ. KOSPI200은 미국주가지수와 동조화되었는가?1. 제약이 없는 공적분모형의 추정Ⅲ장의 목표는 2000년 이후 환율에 의해 조정한다면 KOSPI200은 미국주가지수와 동조화되어 있었는가를 분석하는 일이다. 따라서 표본기간은 2000년 이후로 국한하였고, 초점은 환율에 의한 조정이 타당한 것인가를 검정하는 데 있다.환율, KOSPI200, 미국주가지수로 이루어진 3변량모형을 이용하고 Johansen의 방법에 따라 오차수정모형을 추정한다. 검정에는 상수항만을 포함하고 있으며 시차차분변수는 Schwartz 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 및 Hannan - Quinn InformationCriterion에 따라 1개까지 포함하였다.첫째, 방정식(2)를 이용하여 공적분벡터의 수를 검정한 결과가 에 제시되어 있다. 검정결과에 따르면, 5% 유의수준에서 공적분벡터가 없다는 귀무가설은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