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7.2015 Views

국제비교를 통한 한․미 주식시장 동조화의 평가 - 한국금융연구원

국제비교를 통한 한․미 주식시장 동조화의 평가 - 한국금융연구원

국제비교를 통한 한․미 주식시장 동조화의 평가 - 한국금융연구원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국제비교를 통한 한․미 주식시장 동조화의 평가 59한편, 박준용ㆍ정규승(2003)은 외환위기 이후에야 공적분관계가 확인된다고 보고한다. 윤종인ㆍ설원식(2005)은 공적분분석과 GARCH분석을 결합하였고, 한국과미국 주식시장 간에는 공적분관계가 취약하다고 보고한 바 있다.3. 연구내용국내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외환위기 이후 변동성의 동조화는 빠르게 진행되었다고 공감하고 있지만 수익률 동조화를 검정하기 위한 공적분관계에 대해서는 다소 상이한 결과를 제시한 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주식시장과 미국 주식시장 간의 동조화에 관한 연구에서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은 수익률 동조화에 관한 문제이다.기존의 연구는 단기동조화와 장기동조화를 구분하여 주목하지 않았다. 의외로단기동조화를 중시하지 않았는데, 관심은 주로 공적분관계, 즉 추세의 공유현상에만 집중되었다. 물론 장기적 추세가 더 중요한 문제라고 하더라도 이것이 동조화의 전부는 아님을 분명하게 인식해야 한다. 즉 공적분관계가 없었다고 해서 수익률 동조화가 없었다고 결론짓는 것은 과도한 단순화가 아닐 수 없다. 2)아마도 미국 주식시장의 영향을 실감하는 투자자라면 이렇게 생각할 것이다. 매일매일 주식가격을 관찰하다 보면, 미국 주식시장의 움직임은 국내 주식시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듯하다. 하지만 보다 장기적으로 지난 2~3년간의 움직임을 보면, 미국 주식가격과 국내 주식가격의 추이는 왜 이렇게 달랐을까? 이와 같은 의문은 장기적 추세와 단기적 순환을 구분하였을 때 자연스럽게 해소될 수 있다. 단기적으로 동조화되어 있더라도 장기적으로는 동조화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또한, 국내 연구에서 공적분관계에 관한 다른 결과가 제시되었던 데에는 환율이큰 요인이었던 것 같다. 즉, 환율에 의해 조정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결과가크게 달랐던 것이다. 이에 관한 대표적인 연구로는 박준용ㆍ정규승(2003)을 들 수2) 이런 의미에서 보면, 공적분모형을 도입하기 이전의 (VAR을 이용한) 연구는 단기적 순환의 이전을 동조화로 해석하는 방식이다. 그 나름대로 의의는 충분히 있지만 공적분관계를 검정하지 않았다는 점에서는 specification error를 범하고 있는 셈이다.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