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7.2015 Views

국제비교를 통한 한․미 주식시장 동조화의 평가 - 한국금융연구원

국제비교를 통한 한․미 주식시장 동조화의 평가 - 한국금융연구원

국제비교를 통한 한․미 주식시장 동조화의 평가 - 한국금융연구원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국제비교를 통한 한․미 주식시장 동조화의 평가 852000년대 이후였으므로 이들 주식시장에 대해서는 이 기간에 단기동조화가 있었다고 해석해야 할 것이다. 주목할 것은 미국주가지수와의 단기동조화에도 정도의차이가 있었다는 점이다. 유럽 주식시장과의 개장시간 차이를 고려하여 아시아 주식시장의 결과만을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한․미 주식시장의 단기동조화 정도는그다지 높은 편이 아니었다. 즉, 일본의 NIKKEI225, 홍콩 항셍지수, 대만의 TSEC의 경우 유럽 주가지수 정도의 단기동조화를 보여 주었지만 그 이외의 아시아 주가지수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단기동조화를 보여 주었고, 이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단기동조화수준과 비슷한 편이었다.따라서 한․미 주식시장의 동조화수준을 평가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을것이다. 장기동조화의 관점에서 보면, 우리나라의 동조화수준은 높은 편이 아니었다. 즉, 유럽 주가지수의 대부분과 일본의 NIKKEI225, 홍콩 항셍지수의 경우 표본기간에 따라 장기동조화가 관찰되었지만 우리나라의 KOSPI200에서는 그렇지 않았기 때문이다. 비교하자면, 한․미 주식시장의 장기동조화는 대부분의 아시아 주식시장과 비슷한 수준에 있었다. 또한, 단기동조화의 관점에서 보더라도 우리나라의 동조화수준은 그다지 높은 편이 아니었다. 1990년대에는 단기동조화가 아예 관찰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2000년대에도 일본의 NIKKEI225, 홍콩 항셍지수, 대만의 TSEC보다는 약한 편이었다. 역시 비교하자면, 이들 주식시장을 제외한 대부분의 아시아 주식시장과 비슷한 수준에 있었다.Ⅴ. 결 론본 연구는 우리나라 KOSPI200과 미국 주가지수를 대상으로 동조화현상을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주식시장의 수익률 동조화를 장기동조화와 단기동조화로 구분하였다. 장기동조화 및 단기동조화의 관점에서 한․미 주식시장의 동조화 정도를 추정할 수 있었는데, 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세계 주요시장의 동조화 정도와 비교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KOSPI200과 대미환율, 미국 주가지수를 이용한 3변량모형에서 공적분관계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