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7.2015 Views

국제비교를 통한 한․미 주식시장 동조화의 평가 - 한국금융연구원

국제비교를 통한 한․미 주식시장 동조화의 평가 - 한국금융연구원

국제비교를 통한 한․미 주식시장 동조화의 평가 - 한국금융연구원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국제비교를 통한 한․미 주식시장 동조화의 평가 73그런데 공적분관계에 포함되지 않는 변수가 있다는 것은 이 변수가 공유되지 않는하나의 확률적 추세를 갖고 있다는 뜻이다. 그리고 또 다른 확률적 추세 1개는 공적분관계에 포함된 2개의 변수가 공유한다.이를 KOSPI200과 환율, 미국주가지수의 결과에 대해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KOSPI200과 환율은 1개의 확률적 추세를 공유하고, 미국주가지수는 이와는 다른확률적 추세를 1개 갖는다. 즉, KOSPI200 및 대미환율이 갖고 있는 확률적 추세는미국주가지수가 갖고 있는 확률적 추세와는 다른 것이다. 앞의 에서 KOSPI200과 미국주가지수가 공적분관계를 갖지 않는다고 했던 것의 의미도 이러하다.KOSPI200과 미국주가지수는 각각의 확률적 추세를 가지고 있으며 이 확률적 추세는 공유되지 않는 것이었다. KOSPI200과 미국주가지수는 서로 다른 장기적 움직임, 즉 추세를 가지고 있었다.이 결과는 동조화에 대하여 다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장기적 관점에서 보면 추세를 공유하지 않으므로 양국 주가지수는 장기적으로 동조화되어 있지 않았다고보아야 한다. 환율, KOSPI200, 미국주가지수의 공적분벡터에 대한 검정 결과(2000년 이후)귀무가설 S&P500 DJIAβ1 = 0 6.90 (0.01) 9.11 (0.00)β2 = 0 6.84 (0.01) 10.21 (0.00)β3 = 0 0.69 (0.41) 0.51 (0.47)주 : 우도비검정통계량의 분포는 자유도가 1인 분포이며 ( ) 안은 p - value임.하지만 의 결과에 따르면, 단기적 차원에서는 수익률 이전효과가 있었던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의 결과와 종합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장기적 관점에서 보면, KOSPI200과 미국주가지수는 공적분관계를 갖지 않으며 따라서 추세를 공유하지도 않았다. 즉, 장기 동조화는 없었다. 하지만 단기적 관점에서보면 그렇지 않았다. 미국주가지수에서 KOSPI200으로의 수익률 이전효과는 있었던 것이다. 7) 즉, 단기동조화는 있었다.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