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7.2015 Views

국제비교를 통한 한․미 주식시장 동조화의 평가 - 한국금융연구원

국제비교를 통한 한․미 주식시장 동조화의 평가 - 한국금융연구원

국제비교를 통한 한․미 주식시장 동조화의 평가 - 한국금융연구원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국제비교를 통한 한․미 주식시장 동조화의 평가 91부 록◉ 식(7)의 유도환율과 KOSPI200으로 이루어진 2변량 오차수정모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e t = µ1 + 1∆ k t = µ2 + 2α ( β )1β 2α ( β )1β 2⎛ e⎜⎝ k⎛ e⎜⎝ kt −1t −1t −1t −1⎟ ⎞⎠⎟ ⎞⎠+ ( γ11γ 12)+ ( γ21γ22)⎛ ∆ e⎜⎝ ∆ kt −1⎛ ∆ e⎜⎝ ∆ kt −1⎟ ⎞⎠t −1t −1⎟ ⎞⎠+ ε1t(A1a)+ ε2t(A1b)식(A1b)에 δ = cov( ε1t, ε 2t) / var( ε2t)를 곱하고 이를 식(A1a)에서 빼면 다음을얻게 된다.∆ e t = [ µ 1 ‐δ µ 2 ] + δ ∆ kt + [ α 1 ‐δ 2⎛ ∆ eγ ⎜] ⎝ ∆ k+ [ ( γ11γ 12) ‐δ (21γ22)α ] ( β )t −1t −1⎞⎟⎠1β 2⎛ e⎜⎝ kt −1t −1⎟ ⎞⎠+ [ ε1t‐ δ ε2t] (A2)Engle, Hendry and Richard(1983)에 따르면, 식(A2)가 조건부모형(conditional model)이고, (A1b)이 k t 의 한계모형(marginal model)이다.따라서, α 2 = 0 일 때(즉, KOSPI200이 공적분관계에 대해 약외생적일 때) 추정계수를 재정의(reparametrize)하면 아래의 방정식을 얻게 된다.∆ e t =~µ1 + δ ∆ kt + 1α ( β )1β 2⎛ e⎜⎝ kt −1t −1⎟ ⎞⎠+ (~γ~11γ12)⎛ ∆ e⎜⎝ ∆ kt −1t −1⎟ ⎞⎠~ε (7)+ 1t이 방정식을 Johansen(1992)은 부분시스템(partial system)이라 불렀다. 여기에서 약외생성이 의미하는 것은 이 방정식의 추정만으로 공적분계수 ( β1β 2) 를 식별(identify)할 수 있다는 점이다. 결국, 공적분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한계모형인 (A1b)식이불필요하고, 이에 따라 2변량 모형의 추정도 불필요해진다.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