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8.2013 View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 Questel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SB208(36량체; SEQ ID NO 64)<br />

증폭 산물(<strong>12</strong>27 bp)을 효소 EcoRV 및 BamHI를 이용해 분해시키고, EcoRV 및 BamHI으로 사전 분해된 벡터<br />

pVR10<strong>12</strong>(실시예 2) 내로 클로닝하여 약 6014 bp 크기의 플라스미드 pS<strong>B1</strong>05를 제작하였다.<br />

PRV gD 유전자는 404개 아미노산의 당단백질을 코딩한다.<br />

8.3.2 pS<strong>B1</strong>06: 벡터 pVR10<strong>12</strong> 내로 클로닝된 gD 유전자(Δ[TM-Cter] 형태)<br />

PRV NIA3 균주의 gD 유전자의 절단된 형태를 하기 프라이머를 이용하고 주형으로서 바이러스 DNA를 이용한 PCR<br />

을 통해 증폭시켰다:<br />

SB207(SEQ ID NO 63), 및<br />

SB209(40량체; SEQ ID NO 65)<br />

증폭 산물(10777 bp)을 효소 EcoRV 및 BamHI를 이용해 분해시키고, EcoRV 및 BamHI으로 사전 분해된 벡터<br />

pVR10<strong>12</strong>(실시예 2) 내로 클로닝하여 약 5957 bp 크기의 플라스미드 pS<strong>B1</strong>06을 제작하였다.<br />

gD 유전자의 절단된 형태(Δ[TM-Cter])는 PRV gD 당단백질의 세포외 도메인을 함유하는 355개 아미노산의 당단<br />

백질을 코딩한다.<br />

8.3.3 pPB238: 벡터 pA<strong>B1</strong>10 내로 클로닝된 gD 유전자(tPA Δ[TM-Cter] 형태)<br />

PRV NIA3 균주의 gD 유전자의 tPA Δ[TM-Cter] 형태를 하기 프라이머를 이용하고 주형으로서 바이러스 DNA를 이<br />

용한 PCR을 통해 증폭시켰다:<br />

SB209(SEQ ID NO 65) 및<br />

SB2<strong>19</strong>(39량체; SEQ ID NO 66)<br />

증폭 산물(1015 bp)을 효소 EcoRV 및 BamHI을 이용해 분해시키고, EcoRV 및 BamHI으로 사전 분해된 벡터<br />

pA<strong>B1</strong>10(실시예 2) 내로 클로닝하여 약 6056 bp 크기의 플라스미드 pPB238을 제작하였다.<br />

gD 유전자의 tPA Δ[TM-Cter] 형태는 PRV gD 당단백질의 세포외 도메인을 함유하는 363개 아미노산의 당단백질<br />

을 코딩한다.<br />

실시예 9: 다양한 형태의 돼지 재생성 호흡 증후군 바이러스(PRRSV) 균주 Lelystad 항원을 코딩하는 플라스미<br />

드<br />

PRRSV ORF3, ORF5 및 ORF6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는 France Paris 소재의 Collection National de Cultures<br />

de Microorganismes(CNCM), Institute Pasteur에 참고번호 I-1102 하에 기탁되어 있는 Lelystad 균주(J.<br />

Meulenberg et al., Viology, <strong>19</strong>93, <strong>19</strong>, 62-72; WO-A-92-21375)의 바이러스 RNA로부터 RT-PCR하여 얻었다.<br />

9.1 다양한 형태의 PRRSV Lelystad 균주 ORF3을 코딩하는 플라스미드<br />

9.1.1 pLF1009: 벡터 pVR10<strong>12</strong> 내로 클로닝된 ORF3 유전자(천연 형태)<br />

Lelystad 균주의 ORF3 유전자의 cDNA를 프라이머 LF028을 이용해 상응하는 바이러스 RNA로부터 합성하고 하기<br />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쌍을 이용한 PCR 반응을 통해 증폭시켰다:<br />

LF027(30량체; SEQ ID NO 67)<br />

LF028(30량체; SEQ ID NO 68)<br />

- 29 -<br />

및<br />

등록특허 10-0820893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