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8.2013 View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 Questel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유도하기에 충분히 유효한 항원은 아니다. 따라서, 면역반응의 개선이 요구된다.<br />

DNA 백신의 다양한 투여 경로(복막내, 정맥내, 근육내, 피하, 피부내, 점막 등)가 제안되었으며, 다양한 투여<br />

수단, 특히 DNA로 코팅되어 백신 접종하고자는 대상의 피부 세포를 관통하도록 투사되는 금 입자(Tang et al.,<br />

Nature <strong>19</strong>92, 356, 152-154) 및 피부와 및 그 하부 조직의 세포 모두로의 트랜스펙션을 가능하게 하는 액체 제<br />

트 주사기(Furth et al., Analytical Bioch., <strong>19</strong>92, 205, 365-368)가 제안되었다.<br />

DNA의 시험관내 트랜스펙션을 위해서는 화학적 물질이 사용되어 왔다:<br />

A/ - 양이온성 지질.<br />

양이온성 지질은 4개의 하위 그룹으로 분류된다:<br />

1) 4급 암모늄을 함유하는 양이온성 지질, 예를 들면 DOTMA(디올레오일옥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Gibco사에<br />

의해 상품명 Lipofectine으로 제조됨), DOTAP(트리메틸-2,3-(옥타데크-9-엔오일옥시)-1-프로판암모늄;<br />

Gregoriadis et al., FEBS Letters, <strong>19</strong>97, 402, 107-110), DMRIE(N-(2-하이드록시에틸)-N,N-디메틸-2,3-비스<br />

(테트라데실옥시)-1-프로판암모늄; WO-A-9634109), DLRIE(N-(2-하이드록시에틸)-N,N-디메틸-2,3-비스(도데실옥<br />

시)-1-프로판암모늄; Felgner et al., Ann. N Y Acad. Sci., <strong>19</strong>95, 772, <strong>12</strong>6-139).<br />

4급 암모늄을 함유하는 이러한 양이온성 지질은 대안적으로 DOPC(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 또는 DOPE(디올레<br />

오일포르파티딜에탄올아민)과 같은 부가의 천연 지질과 조합될 수 있다(J. P. Behr, Bioconjugate Chemistry<br />

<strong>19</strong>94, 5, 382-389).<br />

2) 리포아민, 예를 들면 DOGS(디옥타데실아미도글리실스퍼민, Promega사에 의해 상품명 Transfectam으로 제조<br />

됨; Abdallah et al., Biol. Cell., <strong>19</strong>95, 85, 1-7), DC-Chol(디메틸아미노에탄-카바모일-콜레스테롤; Gao 및<br />

Huang, Biochem. Biophys. Res. Commun., <strong>19</strong>91, 179, 280-285), BGSC(비스-구아니딘-스퍼미딘-콜레스테롤),<br />

BGTC(비스-구아니딘-트렌콜레스테롤)(Vignero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strong>19</strong>96, 93, 9682-9686).<br />

3) 4급 암모늄염 및 리포아민을 함유하는 양이온성 지질, 예를 들면 DOSPA(N,N-디메틸-N-(2-(스퍼민카르복스아<br />

미도)에틸)-2,3-비스-(디올레오일옥시)-1-프로판이미듐, 펜타하이드로클로라이드, Gibco사에 의해 상품명<br />

LipofectAmine (R)<br />

으로 시판됨; Hawley-Nelson et al., Focus <strong>19</strong>93, 15, 73-79), GAP-DLRIE(N-(3-아미노프로필)-<br />

N,N-디메틸-2,3-비스(도데실옥시)-1-프로판암모늄; Wheeler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strong>19</strong>96, 93,<br />

11454-11459; Norman et al., Vaccine <strong>19</strong>97, 15, 801-803).<br />

4) 아미딘 염을 함유하는 지질, 예를 들면 ADPDE, ADODE(Ruysschaert et al., Biochem. Biophys. Res.<br />

Commun., <strong>19</strong>94, 203, 1622-1628).<br />

B/ - 폴리머, 예를 들면 SuperFect(활성화 덴트리머(dendrimer) 분자, Qiagen사에 의해 제조됨; Xu et al.,<br />

Mol. Genet. Metab., <strong>19</strong>98, 64, <strong>19</strong>3-<strong>19</strong>7), 및<br />

C/ - 생화학 제제, 예를 들면 독소, 특히 콜레라 독소.<br />

이들 화합물의 일부는 보다 완화된 결과를 가져오는 DNA 백신의 제형화에 사용되었다. 시험관내 트랜스펙션 분<br />

야에서의 지식은 궁극적인 목적이 방어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것인 DNA 백신 접종에는 적용될 수 없다. 시험관<br />

내 트랜스펙션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화합물로는 유효한 면역 방어효과의 유도에 있어 부정적인 효과가 관<br />

찰되었다. 몇몇 제형 화학적 물질은 용량이 큰 경우 트랜스펙션된 세포에 대해 독성이다.<br />

이미 언급된 Etchart의 연구에서(Etchart et al., J. Gen. Virol., <strong>19</strong>97, 78, 1577-1580), DOTAP의 사용은 DNA<br />

백신이 비강내 경로를 통해 투여되는 동안 면역 보강제로서의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반면, 경구 투여를 통하<br />

는 경우에는 면역 보강제로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DOTAP는 비강내 경로를 통해 투여된 마우스 모델에 대한<br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헤마글루티닌(HA)을 코딩하는 DNA 백신에 사용되었으나(Ban et al., Vaccine <strong>19</strong>97, 15,<br />

811-813), DOTAP의 첨가는 면역반응을 억제하였다. 근육내 경로를 통해 투여된 마우스 모델에 대한 B형 간염<br />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S)을 코딩하는 DNA 백신에 DC-chol 또는 DOTAP/DOPE를 사용한 경우 항체 반응이 향상된<br />

반면, 리포펙틴(또는 DOTMA)의 사용은 이러한 항체 반응을 향상시키지 못했다(Gregoriadis et al., FEBS<br />

Letters <strong>19</strong>97, 402, 107-110). 또한, DC-chol/DOPE는 마우스 모델에 대한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 Env<br />

단백질)에 대항하는 DNA 백신에 사용되었으나, 이때 근육내 경로를 통한 투여는 보다 효과적인 면역반응을 유도<br />

한 반면, 피하 또는 피부내 경로를 통한 투여는 면역반응을 증가시키지 못했다(Ishii et al., AIDS Res. Hum.<br />

Retro., <strong>19</strong>97, 13, 1421-1428).<br />

- 7 -<br />

등록특허 10-0820893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