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7.2013 Views

Untitled - KRRI 전자도서관

Untitled - KRRI 전자도서관

Untitled - KRRI 전자도서관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그림 71. 연구 주요 실적 및 내용<br />

본 연구는 현재의 팬터그래프 집전판의 표면 거칠기 및 기계적 강도 등을 획기적으로<br />

향상할 수 있는 전기철도 집전시스템 원천기술 및 次세대 세계 전기철도 집전시스템 시<br />

장 선점을 위한 기술 개발로 개발 성공 시에 세계 철도시장에서의 원천기술 등 다양한<br />

기술 선점이 가능하다. 또한 철도시스템은 건설, 역사, 궤도, 토목, 전기, 전자, 통신 등 다<br />

양한 시스템의 기술이 복합된 융합기술로 본 기술은 상기 각 시스템 간의 새로운 접목이<br />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 하였으며 향후 나노기술이 철도시스템의 각 분야에 적극 활용되고<br />

연구될 것으로 기대된다.<br />

기술적 측면으로는 집전판에 나노기술 적용 시 기존의 집전판과는 달리 표면 거칠기<br />

향상 및 기계적 강도 획기적 향상 등 다양한 효과 및 성능향상과 전차선의 마모감소, 아<br />

크감소의 효과 기대 된다. 팬터그래프-전차선로 사이의 집전성능은 열차의 속도향상을<br />

위하여 확보해 야 할 중요 성능지표이다. 그러므로 전차선로 신선 건설 혹은 개량시 안전<br />

법에 따라서 전차선로의 집전성능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br />

실정이며 특히 본 연구를 통해 전기철도 집전시스템 원천기술 확보 및 次세대 세계 전기<br />

철도 집전시스템 시장 선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나노기술과 철도시스템간의<br />

- 104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