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7.2013 Views

Untitled - KRRI 전자도서관

Untitled - KRRI 전자도서관

Untitled - KRRI 전자도서관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KTX 팬터그래프 집전판 분석 용 시편은 저속 다이아몬드 컷터로 절단하여 변형을 방<br />

지하였으며 분석은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미세조직을 관찰하였으며 IR을 이용하여<br />

미세상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집전판은 고속전철에 사용되는 집전판으로서 금속용침 카본<br />

계의 집전판이다. 집전부와 플레이트(plate)는 접합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으며 집전부<br />

의 카본기지에 copper가 실처럼 들어가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림 28에서와 같이 노출된<br />

표면, 파단면A, 파단면B 모두 비슷한 상태로 확인되며 Cu/Graphite 복합체가 수십㎛ 이<br />

상의 macro 구조 나타났다. 특히 Graphite 소결 후 Cu 함침에 의한 제조 과정으로 판단<br />

된다. Cu 주변의 관찰해 보면 명암차이는 성분원소의 원자량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서<br />

연마 표면의 관찰 결과 macro pore의 관찰이 되지 않았다. 특히 Graphite의 소결이 매우<br />

치밀하게 이루어진 상태에서 큰 pore 부분에 Cu가 infiltration 된 것으로 사료되며<br />

Graphite의 소결 상태는 매우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Graphite의 경우 나노크기의 판상<br />

입자들이 배향성이 우수하게 잘 배열된 것으로 이는 graphite 생성 시에 잘 발달된 미세<br />

구조로 판단된다. 즉 잘 합성된 graphite 응집체 큰 입자를 이용하여 소결이 된 것으로<br />

판단되며 Cu는 연마 과정에서 생긴 무늬이며 큰 의미는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IR 분석<br />

결과 특이한 피크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유기 성분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품 제<br />

조 후 유기 성분의 함침 등은 전혀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br />

그림 28. KTX 팬터그래프 파단면 관찰 사진<br />

- 45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