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7.2013 Views

Untitled - KRRI 전자도서관

Untitled - KRRI 전자도서관

Untitled - KRRI 전자도서관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a) (b)<br />

Target<br />

Carbon(C)+Metal<br />

Metal=W,Mo,Cr,N<br />

i<br />

- 76 -<br />

Target<br />

Carbon(C)+Metal<br />

Metal=W<br />

Substrate Si wafer Substrate Si wafer<br />

T-S distance (cm) 9 T-S distance (cm) 9<br />

RF power (W)<br />

Carbon:150,<br />

Metal:40<br />

RF power (W)<br />

Carbon:150,<br />

Metal:20~50<br />

Ar gas (sccm) 40 Ar gas (sccm) 40<br />

Rotation (rpm) 28.3 Rotation (rpm) 28.3<br />

Based pressure<br />

(Torr)<br />

Working pressure<br />

(Torr)<br />

Film Thickness<br />

(nm)<br />

표 17. 나노금속이 포한된 탄소레이어 증착공정변수<br />

1x10 -5<br />

10 m<br />

100<br />

Based pressure<br />

(Torr)<br />

Working pressure<br />

(Torr)<br />

Film Thickness<br />

(nm)<br />

2. 나노 입자의 크기와 밀도에 따른 탄소레이어 특성 기초 연구<br />

가. 나노금속의 크기에 따른 탄소레이어의 특성분석<br />

1x10 -5<br />

10 m<br />

100 nm 두께로 증착된 나노금속이 함유된 탄소레이어의 미세이미지를 확인하기 위해<br />

FE-SEM 분석장비로 단면/표면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림 47에 (d) Ni-C의 표면 입자가<br />

상대적으로 다른 물질에 비해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br />

제작한 시편의 탄소레이어에 함유된 나노금속의 성분량을 측정하기 위해 EDS 분석을<br />

실시하였으며 같은 공정으로 증착하였으나 그림 50과 같이 각 물질별로 성분량이 다르며<br />

100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