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7.2015 Views

이 해: 인지 패러다임

이 해: 인지 패러다임

이 해: 인지 패러다임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 1 -제 1 장.서 론▣ 제1장의 소개글6) ▣제1 장 ‘ 서론’에서 저자는 먼저 <strong>이</strong> 책에서 규명하는 자신의 <strong>이</strong>론의 전반적 성격을밝힌다.모든 <strong>인지</strong> 현상을 설명<strong>해</strong> 주는 어떤 단일한 <strong>이</strong>론으로서 <strong>인지</strong>의 전반적 얼개( <strong>인지</strong> 기본틀) 를 계발하고자 한다.<strong>이</strong>는 바로 <strong>이</strong><strong>해</strong>에 대한 제약만족(constraint­satisfaction) <strong>이</strong>론<strong>이</strong>다.<strong>이</strong> <strong>이</strong>론은 대부분의 인간 <strong>인지</strong>과정에 대한 <strong>패러다임</strong>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 주고자 한다.뉴얼(Newell)과 앤더슨(Anderson)으로 대표되는 기존의 문제<strong>해</strong>결 <strong>이</strong>론은 문제공간에서 최단 <strong>해</strong>결경로를 찾아내는 일로서,첫 단계에서부터 마지막 단계에 <strong>이</strong>르기까지 <strong>해</strong>결 주체가 의식적으로 경로를 탐색<strong>해</strong>야 하는 복잡한 연산 과정<strong>이</strong>다.그렇지만 <strong>이</strong>는 오직 표상 수준에서 계기적 또는 순차적으로 일어나는 과정에 속하므로,덩잇글을 <strong>이</strong><strong>해</strong>할 때 자각 없<strong>이</strong> 처리되거나 비순차적으로 <strong>이</strong>뤄지는 측면을 제대로 설명<strong>해</strong> 줄 수 없다. 연산주의의 가정만 붙들고 있는 <strong>이</strong>런 입장과는 달리,저자는 인간의 <strong>인지</strong>를 활성화 확산과정을 촉발하는 제약만족 과정으로 간주할 수 있다고 본다.덩잇글의 <strong>이</strong><strong>해</strong>는 일반적 <strong>인지</strong> 과정에 대한 한 가지 훌륭한 <strong>패러다임</strong>을 제공<strong>해</strong>주는데, 변별적 특징으로서 1 <strong>이</strong><strong>해</strong>되어야 할 자료의 분석뿐만 아니라,<strong>이</strong><strong>해</strong> 행위에 포함된 정신적 과정들에 관심을 두며, 2 <strong>이</strong><strong>해</strong> 과정을 제약만족의 과정으로 본다. <strong>이</strong>런 <strong>이</strong>론을 구성­ 통합(construction­integration; CI) <strong>이</strong>론으로 <strong>이</strong>름 붙였다.맥락에 무관한 임시 예비적으로 일관성<strong>이</strong> 떨어지는 명제 그물조직<strong>이</strong> 상정된 다음에,어떤 활성화 확산을 촉발하기 위한 제약만족 과정<strong>이</strong> 가동되면서 그 짜임새가가다듬어지고 일관성<strong>이</strong> 확보되어 나가며,궁극적으로 <strong>이</strong><strong>해</strong> 주체의 배경지식에 의<strong>해</strong> 일관되고 정합적인 덩잇글의 정신표상으로서 상황모형<strong>이</strong> 형성된다.<strong>이</strong>런 상황모형<strong>이</strong> 장기기억에 저장되어 필요할 경우에 뒷날 다시 사용되는 것<strong>이</strong>다.저자는구성­통합 <strong>이</strong>론<strong>이</strong> 다른 <strong>인지</strong><strong>이</strong>론보다 더 나은 위상을 갖고 있음을 보<strong>이</strong>기 위하여그 모형을 확대 적용<strong>해</strong> 나가려고 한다.6) 심사위원 한 분<strong>이</strong> 각 장의 원문에 들어가기 전에 역자가 용<strong>이</strong>하게 요약한 내용을 일종의 선행조직자(advanceorganizer) 로 제공하면 독자의 <strong>이</strong><strong>해</strong>에 큰 도움을 줄 것 같다는 지적을 하였다.<strong>이</strong>에 따라 각 장에 대한 번역자의 소개글을 제시하기로 한다. ( 장차 출간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번역자 <strong>해</strong>제에서 장별 요약을 다루게 됨)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