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7.2015 Views

이 해: 인지 패러다임

이 해: 인지 패러다임

이 해: 인지 패러다임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 31 -서 있음을 보여 준다. 일화문화(episodic culture) 에서 정신모형들은 과거 경험에 대하여 일반화된 기록물<strong>이</strong> 되는 표상<strong>이</strong>다. 비록 특정한 기억 일화들<strong>이</strong> [ 일반화되어]<strong>이</strong> 모형에서 변별되지 않는다고 <strong>해</strong>도, 그런 모형들은 현재 상황에서 행위들을 <strong>이</strong>끌어 가고,미래 행위를계획하기에 충분하다.그 유기체는 특정한 상황에서 특정한 방식으로 반응하는 어떤 습관을획득하는데, <strong>이</strong>것<strong>이</strong> 그 상황에 대한 그 유기체의 과거 경험을 요약<strong>해</strong> 주지만,과거 경험들<strong>이</strong> 따로 별개로 인출되지도 않고, 또한 추상적인 의미 범주들<strong>이</strong> 형성되지도 않는다.생물학적 진화가 계속됨에 따라,다음 단계인 모방문화의 발달을 허용<strong>해</strong> 주는 새로운 표상 체계가나타난다.2.모방문화가장 초기 인류에게서 의도적 모방은 <strong>이</strong> 발달 단계의 특징적인 성취<strong>이</strong>다.<strong>이</strong>런 모방은 청자를 위한 것<strong>이</strong>다. 즉, 사회적 의사소통<strong>이</strong> 그 뒤에 있는 추동력인 것<strong>이</strong>다.말소리는 <strong>이</strong> 단계에서 나타난다. 그 기능은 [외부 세계에 대한] 표상<strong>이</strong> 아니라, 사회적 의사소통인 것<strong>이</strong>다.그표상은 말하기 행위를 포함하여, 일반 행위를 통<strong>해</strong>서 <strong>이</strong>뤄진다.<strong>이</strong> 시기의 문화적 성취는놀<strong>이</strong>ㆍ의식ㆍ예술은 물론, 물물교환과 수공업 솜씨<strong>이</strong>다.개인들은 유인원에서 아주 드문 정신 행위인 자기자각을 하고, 높은 정도의 사회적 지능을 지니지만, ‘ 행위를 통한 표상’(representation­through­action)은 그들<strong>이</strong> 성취할 수 있는 정신표상의 종류를 제한<strong>해</strong> 놓는다.인류 진화 단계의 <strong>이</strong> 시점에서,언어는 인류에게 그 <strong>이</strong>상의 진화에 결정적인 요인<strong>이</strong> 되기시작한다. 생물학적 진화는 문화적 진화에 의<strong>해</strong> 대치된다. 인간의 감각­운동 기관들<strong>이</strong> 다른영장류들의 기관과 아주 다른 것<strong>이</strong> 아니지만, 처음에는 모방을 함으로써,그러고 나서는 언어를 표상적으로 <strong>이</strong>용함으로써,지식 공유 가능성<strong>이</strong> 지구상에서 인간들을 유일하게 만들어준다.3.서사<strong>이</strong>야기 문화서사<strong>이</strong>야기 문화는 입말 서사 문화<strong>이</strong>며, <strong>이</strong>것의 특징적인 산출물은 신화<strong>이</strong>다.도널드(Donald, 1991) 의 범주 목록에서, 신화는 근본적으로 언어로 된 일종의 정신모형<strong>이</strong>다.세계에 대한 어떤 <strong>이</strong>야기로서, <strong>이</strong>런 종류의 표상은 실제 세계로부터 따로 떨어져 나온다.따라서 실제 세계에 덜 의존하게 된다.<strong>이</strong>런 종류의 모형으로써 좀 더 융통성 있는 연산<strong>이</strong> 수행될 수 있다. [가능] 세계에 대한 상징적 통제력을 성취<strong>해</strong> 내기 위하여,인간 정신<strong>이</strong> 그 주위환경 맥락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낱말과 생각은 동전의 양면과 같<strong>이</strong> 서로 분리될 수 없다. 대부분 인류 문화의 성취는 서사<strong>이</strong>야기 정신모형의 범위 속에 들어 있다.4.<strong>이</strong>론문화<strong>이</strong> 마지막 단계는 형식적 사고ㆍ추상적 분석과 분류 ㆍ[객관성<strong>이</strong> 보장되는] 형식적 측정ㆍ형식 과학ㆍ논리학 등에 의<strong>해</strong>서 특성화된다. 신화 문화의 근원은 입말 서사<strong>이</strong>야기<strong>이</strong>다.반면에, <strong>이</strong>론문화의 근원은 글말과 외부 기억 기제에 있다.따라서 진화는 기술에 의<strong>해</strong>서 주도된(technology­driven) 단계에 도달하였다. 책자ㆍ기록물ㆍ지도ㆍ도서관 건립 등 모든 것<strong>이</strong> 세계에 대한 형식 모형을 가능하게 만들어 놓는다. 인간 정신<strong>이</strong> 더욱 넓혀진다.기억에대한 두뇌세포 내부 기억흔적들(engrams) <strong>이</strong>외에도,<strong>이</strong>제 우리 기술에 의<strong>해</strong>서 생산된 외부에 나오는 ‘ 추상적인 ’ 의미론적 범주(abstract semantic categories) 라는 말도 동일한 뜻<strong>이</strong>다.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