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7.2015 Views

이 해: 인지 패러다임

이 해: 인지 패러다임

이 해: 인지 패러다임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 29 -자의적인 확률 방식으로 예측 내용과 연합되어 있었다. 예를 들면, 어떤 카드의 상단에 겹X표시(XX) 는 그 날 “ 햇빛 남” 을 70% 예측할 수 있었다.피험자들은 각각의 제시 카드를 보고서 예측을 한다. 그러고 나서 그 예측<strong>이</strong> 정확한지 여부를 들었다.그런 실험에서 전형적으로 그러하듯<strong>이</strong>, 그들은 많은 시행 횟수 뒤에 우연성을 넘은 수행 수준까지 도달하였다.<strong>이</strong> 연구에서 흥미로운 결과가 세 가지 있다. 첫째,비록 피험자들<strong>이</strong> 우연성을 넘어 그 <strong>이</strong>상으로 반응하였지만, 그들은 스스로 오직 짐작만 하고 있었고,자신들<strong>이</strong> 하고 있었던 바를알지 못했다고 주장하였다. <strong>이</strong>는 <strong>이</strong>런 종류의 연구에서 전형적<strong>이</strong>다. 둘째, 더욱 놀랍게도,정상적인 피험자들과 기억상실증을 앓는 피험자들<strong>이</strong> 거의 동등하게 수행을 잘 하였다.<strong>이</strong>는놀라운 결과<strong>이</strong>다. 왜냐하면 스꽈<strong>이</strong>어ㆍ노울튼(Squire & Knowlton, 1995) 의 연구에서 기억상실증을 앓는 피험자들은 심각한 기억손상을 지녔었기 때문<strong>이</strong>다.극단적인 경우로는 그런피험자들<strong>이</strong> 전혀 아무 것도 기억할 수 없었다. 심지어 수많은 실험 기간 뒤에도,비록 기억손상 피험자들<strong>이</strong> 정상적인 피험자들처럼 강화 수반성(reinforcement contingency) 을 아주잘 학습했을지라도, 그런 실험 과제를 한 번<strong>이</strong>라도 수행<strong>해</strong> 보았는지는 기억<strong>해</strong> 내지 못했다.셋째, 피험자들<strong>이</strong> 예측 과제에서 일단 그들의 수행 점근선에 도달하면,기억손상 피험자들은 <strong>이</strong> 수준에만 머물러 있었다.그러나 정상적인 피험자들은 훈련을 지속하면 약간 추가적향상을 보여 주었다. <strong>이</strong>런 향상은 다음과 같은 언어표현과 관련되었다.“ <strong>이</strong>제 알겠네요, 카드 상단의 표시 XX가 비 내리는 것보다는 햇빛<strong>이</strong> 나는 걸 더 잘 예측<strong>해</strong> 줄것 같군요!”확률 학습과제에는 매개하는 정신표상의 형성<strong>이</strong> 포함되지 않았다.강화에 근거한 학습은느렸고, <strong>이</strong><strong>해</strong>는 아무런 구실도 하지 못했다. <strong>이</strong>런 기능을 수행하는 두뇌 영역은,기억상실증환자들의 사건기억을 파괴<strong>해</strong> 버린 두뇌 손상에 의<strong>해</strong>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기억상실증 환자들<strong>이</strong> 비록 <strong>이</strong>전에 <strong>이</strong>런 실험에 참여한 일처럼 관련 사건들을 기억할 수 없었을지라도, 그들의 직접적인 동형사상 속성(isomorphism) 에 대한 습득( 즉, 묵시적인 학습,습관형성) 은 조금도 손상을 입지 않았다.정상적인 피험자들의 상위 표상 능력은 <strong>이</strong> 과제에 쓸모가 없었다. 그 실험 주체들은 기계적인 자극­반응의 수반성을 제외하고서 배울 게 아무것도 없는 방식으로 현명하게 그 환경을 조작<strong>해</strong> 놓았다.따라서 정상적인 피험자들에게서 그들의 상위 능력을 쓸 기회를 박탈<strong>해</strong> 버렸다. 오직 길게 지속된 훈련과 더불어,정상적인 피험자들은 자신<strong>이</strong> 습득<strong>해</strong> 놓은 습관을 되돌아보고, 그들의 경험을 언어로 표현하며,규칙들을 형성하기 시작하였다. 기억손상 피험자들은 <strong>이</strong>런 일을 할 수 없었다.그렇지만 그 과제는 되돌아보기와 규칙 형성<strong>이</strong> 거의 도움<strong>이</strong> 되지 않는 방식으로 조절되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strong>이</strong>는 <strong>이</strong>론상으로 대단히 흥미롭다. 곧,<strong>이</strong>는 더 높은 <strong>인지</strong>체계 내부에 더 낮은 습관체계가 캡슐로 들어가 있음(encapsulated) 을 예증<strong>해</strong> 주는 것<strong>이</strong>다.개나 기억상실증 환자에서그런 것과는 다르게, 우리들의 습관은 모두 무의식적 습관만<strong>이</strong> 아니다.우리는 습관들을 되돌아보고, 언급하며, 수학 공식으로도 만들어 줄 수 있다. 스꽈<strong>이</strong>어ㆍ노울튼(Squire &Knowlton, 1995) 의 실험에서 <strong>이</strong>런 능력은 거의 중요하지 않았다.그렇지만 일상생활에서습관을 언어 및 상징적 사고와 연결<strong>해</strong> 주는 <strong>이</strong>런 능력은 대단한 중요성을 지닐 수 있다.<strong>이</strong>런 능력<strong>이</strong> 더 높은 <strong>인지</strong>체계로 하여금 더 낮은 <strong>인지</strong>체계들에 대하여 일정량의 통제력(control 제어력) 을 허용<strong>해</strong> 준다.만일 테니스 선수에게 어떤 타격을 분석하도록 요청한다면, 아마 쩔쩔맬 것<strong>이</strong>다. 그 선수는 자신<strong>이</strong> 하는 바를 직접 보여줘도 좋을지 반문할 것<strong>이</strong>다.그렇지만 테니스 감독은 선수들의 타격에 대하여 말하는 방식을 익혔다.그리고 운동생리학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