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7.2015 Views

이 해: 인지 패러다임

이 해: 인지 패러다임

이 해: 인지 패러다임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 37 -직하다. 의미 표상을 위하여, 네 종류의 체계가 널리 쓰여 오고 있다. 속성ㆍ그물조직ㆍ도식(schema) ㆍ명제들<strong>이</strong>다.속성 체계(feature system) 58) 는 철학 및 언어학에서 발전되었지만,심리학에서 대단히일반적으로 되었다. 속성 분석의 원래 목표는 복합의미 개념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의미합성 규칙에 의<strong>해</strong>서 결합될 수 있는 기본의미 속성들의 유한한 집합을 찾아내려는 것<strong>이</strong>었다. 마치 1백 가지 화학 원소들<strong>이</strong> <strong>이</strong> 세계에 있는 모든 물질들을 산출하기 위하여 결합하는것과 같다. 따라서 캐츠ㆍ포더(Katz & Fodor, 1963) 는 “bachelor”( 총각)59)를 다음처럼 정의하였다.[+HUMAN, +MALE, +HAS­NEVER­MARRIED][+ 사람, + 남성, + 결혼한 적 없음]“bachelor” 의 의미에,<strong>이</strong>들 속성에 의<strong>해</strong> 포착된 것 말고도 더 많은 내용<strong>이</strong> 있다는 명백한 반론을 잠시 접어두고서라도,화학 원소들에 상응하는 기본적인 의미 속성들에 대한 목록을찾아내기가 불가능함<strong>이</strong> 입증되었기 때문에, <strong>이</strong>런 연구방법은 실패하였다. 60) 그렇지만 더욱<strong>이</strong> 필요에 따라 정의하는 속성들(defining features) 에다 특<strong>이</strong>한 사례의 특징적 속성들(adhoc characteristic features) 까지 허용하면서,심리학자들은 속성 체계들의 더 약한 내용에만족하였다(Smith, Shoben, & Rips, 1974). 동일한 맥락에서 스미드ㆍ메딘(Smith &Medin, 1981) 은 확률적인 속성 표상을 제안하였다.일화기억에 대한 지배적인 모형에서도 그러하듯<strong>이</strong>(Gillund & Shiffrin, 1984; Hintzman,1988; Murdock, 1982), 범주화61)에 대한 거의 모든 심리학적 모형들( 가령 Estes, 1986;58) 연구자에 따라서 feature( 속성) 를 attribute( 속성) 으로도 쓴다( 옴롸드 Ormrod, 2008: 249 쪽. 인간 학습Human learning. Prentice Hall). 원래 언어학에서 쓰던 용어 feature( 자질, ‘ 바탕을 <strong>이</strong>루는 특질’ <strong>이</strong>란 뜻임)는 음운론에서 낱소리(phone) 를 구성<strong>해</strong> 주는 복합자질들을 가리키기 위<strong>해</strong> 쓰였다.마치 하나의 원자가 더작은 입자들의 복합체로 간주되었듯<strong>이</strong> , 낱소리들도 여러 가지 ‘ 소리 자질’ 들의 묶음(‘±’로써 유무 여부를 나타냄) 으로 실현되는 것<strong>이</strong>다. <strong>이</strong>는 곧 <strong>이</strong>어 한 낱말의 복합의미를 기본 ‘ 의미 자질’들의 묶음으로 <strong>해</strong>체<strong>해</strong>서나타내는 데 <strong>이</strong>용되었다 . <strong>이</strong>런 논의를 보려면 제킨도프 (Jackendoff) (1990), 고석주ㆍ양정석( 옮김)(1999).의미 구조론( 한신문화사 ) 을 참고하기 바란다. feature system 은 언어학에서 지금도 ‘ 자질 체계’로 번역<strong>해</strong>서쓰는데, 바탕<strong>이</strong>나 질료가 되는 특질<strong>이</strong>란 원래 뜻을 가장 잘 드러낸 용어로 판단된다 . 그러나 심리학에서는언어학의 번역 용어를 따르지 않고 feature 를 ‘ 속성’ 또는 ‘ 세부 특징’ 으로 번역<strong>해</strong>서 쓰고 있다.우리말 직관으로 세부 특징은 맞선말로서 거친/ 소략한 특징을 상기시키며 , §.5­3 의 논의에서 ‘ 은유의 세부 특징’<strong>이</strong>라는표현보다 ‘ 은유의 속성’ <strong>이</strong> 더 자연스럽다는 점에서, 일관되게 여기서는 ‘ 속성’ 으로 번역<strong>해</strong> 둔다.59) 우리말 ‘ 총각’( 總 角 ) 은 원래 머리를 두 가닥으로 땋고서 마치 뿔 모습처럼 만든 것<strong>이</strong>다( 환유법 metonymy).시경( 詩 經 ) 에서는 원래 남녀 구분 없<strong>이</strong> 그런 머리 모양새를 지닌 젊은<strong>이</strong>들을 가리키기 위<strong>해</strong> 두루 범칭으로쓰였다. <strong>이</strong> 말<strong>이</strong>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어느 때부터인가 ( 결혼하지 않은) 젊은 남성을 가리키게 되었다.60) 어휘들을 놓고서 의미를 구성하는 기본원소를 찾아내려는 또 다른 연구로서 뷔어즈비커(Wierzbicka)(1996). 의미론: 기본소와 보편소(Semantics: Primes and universals )(Oxford University Press) 를 참고하기 바란다. 언어학에서 의미 기본자질 <strong>이</strong>론( 심리학에서는 ‘ 속성 <strong>이</strong>론’ 으로 씀)을 받아들여 더욱 발전시킨 개념 의미론<strong>이</strong> 대표적으로 제킨도프 (Jackendoff) (1990) 와 제킨도프 (Jackendoff) (2002), 김종복ㆍ 박정운ㆍ<strong>이</strong>예식 ( 옮김)(2005). 언어의 본질( 박<strong>이</strong>정) 로 <strong>이</strong>어지고 , <strong>이</strong>런 논의를 구 구조 문법(HPSG)에 맞게 컴퓨터로구현하는 모형<strong>이</strong> 푸슷욥스끼 (Pustejovsky) (1995), 김종복ㆍ <strong>이</strong>예식( 옮김)(2002).생성 어휘론( 박<strong>이</strong>정)등<strong>이</strong>언어학계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므로 <strong>이</strong>런 <strong>이</strong>론들<strong>이</strong> 실패라고 단정 짓는 것은 너무 성급하다 . 연구자들에따라 여전히 초기 가정에 들어 있는 정신을 살리면서 모든 언어에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개념 범주들을 상당히 제약<strong>해</strong> 놓음으로써 , 현재 어휘 연구에서 중요한 한 가지 흐름으로 수용되고 있는 것<strong>이</strong>다.61) 더러 수학공식<strong>이</strong> 들어 있어서 어려워 보<strong>이</strong>나, 우리말로 집필된 아마 유일한 책<strong>이</strong> 신현정(2000). 개념과 범주화( 아카넷) 일 것<strong>이</strong>다. 간략한 개관을 보려면 신현정ㆍ도경수(2003). “ 개념, 범주, 추리, 의사결정 ” ( <strong>이</strong>정모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