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7.2015 Views

cubloc_manual2.pdf

cubloc_manual2.pdf

cubloc_manual2.pdf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문자열문자열은 최대 127 바이트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기억공간 확보를 위한 최대 바이트 수를 써주어야 합니다. 최대 바이트수를 생략하면 디폴트로 64 바이트가 지정됩니다.DIM ST AS STRING * 14DIM ST2 AS STRING‘ 최대 14 바이트를 넘지않는 문자열 변수‘ 최대 64 바이트를 넘지않는 문자열 변수최대길이를 14 바이트로 했을 경우, 실제로는 문자열의 끝을 나타내는 NULL 값을 저장하기 위한1 바이트의 영역이 더 확보되어, 15 바이트가 할당됩니다. 14 바이트의 공간에 “COMFILETECHNOLOGY”와 같이 18 바이트 문자열을 저장하였을 경우, 나머지 4 바이트는 저장하지 못합니다. 다음은 문자열 변수의 사용 예입니다.DIM ST AS STRING * 14ST = “COMFILE TECHNOLOGY”‘ 최대 14 바이트를 넘지않는 문자열 변수‘ 14 바이트를 넘는 끝부분 “LOGY”는‘ 저장하지못합니다.COMFILE TECHNOLOGYCOMFILE TECHNO LOGY는 저장할 곳이 없음이와 같이 문자열변수에서는 최대길이를 초과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으므로, 최대길이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CUBLOC BASIC 에서 문자열을 표현할 때에는 쌍따옴표 (“)를 사용합니다. 문자열 내부에 쌍따옴표를 포함시킬 수 없으며, 어포스토로피(‘)도 포함시킬 수 없습니다.ST = “COMFILE “ TECHNOLOGY” ‘ 문자열 내부에 쌍따옴표를 포함할 수 없습니다.ST = “COMFILE ‘ TECHNOLOGY” ‘ 문자열 내부에 어포스트로피를 포함할 수 없습니다.쌍따옴표는 CHR(&H22)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어포스트로피는 CHR(&H27)을 사용합니다.PRINT CHR(&H22),“COMFILE “ TECHNOLOGY”,CHR(&H22) ‘ 쌍따옴표PRINT CHR(&H27),“COMFILE “ TECHNOLOGY”,CHR(&H27) ‘ 어포스트로피157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