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2014 Views

DMZ 일원 생태 평화적 관리를 위한 국제컨퍼런스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DMZ 일원 생태 평화적 관리를 위한 국제컨퍼런스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DMZ 일원 생태 평화적 관리를 위한 국제컨퍼런스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ervation and Peaceful Use of the Korea <strong>DMZ</strong><br />

❖ 중앙정부의 과제<br />

<strong>DMZ</strong> 보전을 위한 국내협력에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관리와 보전 전반에 관계되는 각 부처의<br />

고유한 책임이 하나의 원칙에 의해서 추진되는 것이다.<br />

국제적인 생태보고이자 평화를 지향하는<br />

문화역사의 유산을 보전하는 길이다. 환경부를 비롯한 통일부, 행정안전부, 국토해양부, 산림청,<br />

문화재청 등의 각각의 역할과 대응 전략,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br />

각 부처는 자신들<br />

의 고유한 업무 역할에서 민통선과 <strong>DMZ</strong> 의 현황 파악부터 선결되어야 한다.<br />

행정안전부는 수천억의 개발사업은 거론하면서 민통선의 경계가 어디서 어디까지인지 지방정부<br />

에게 제공하지 않고 있다. 아울러 민통선 전 지역의 지적조차 정비되어 있지 않다.<br />

환경부는 민통<br />

선의 자연환경을 종합적으로 표현한 지도와 데이터의 정리를 못하고 있다. ‘민통선은 특수지역이<br />

라현장접근이어렵다’라는 이유다. 하지만 국방부는 공식적으로 ‘ <strong>DMZ</strong>내부는 곤란해도 민통선 지<br />

역에 대한 각 정부 부처의 실태조사나 정보구축을 막은 적이 없다’는 입장이다. 이것은 사실이다.<br />

민통선지역에대하여정부부처는‘자기검열에 가까운 스스로의 제한’에 갇혀 있었다.<br />

당장 해야<br />

하는 과제가 많지만 인식의 부재로 생색나는 이용 사업 위주로 흐르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br />

환<br />

경부와 행정안전부 등의 노력이 절실하다.<br />

<strong>DMZ</strong> 와 민통선의 보전 전략은 핵심은 관련 부처의 협력과 연합이다.<br />

구체적으로 부처이기주의<br />

를 넘어 실질적 협력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br />

백두대간보호구역이 생생한 모델이 될 것<br />

이다.<br />

국가 자연정책을 총괄하는 환경부와 산지 관리와 정책을 담당하는 두 기관이 협력하고 여<br />

기에 문화재청이 동참하는 방안이다. 현재 중동부전선 민통선은 5만ha가량의 면적이 이미 산림유<br />

전자원보호림으로 지정되어 있다. 그래서 산림청이 민통선의 산지관리를 담당하고 파주,<br />

연천 등<br />

의 습지평원 지역을 환경부가 국립공원이나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는 것이 현실<br />

적이다.<br />

여기에 중세 및 근대 문화재가 밀집된 철원평야를 문화재청이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지정하<br />

여 관리하는 방안이다.<br />

보전 연합에 해당하는 이 방안은 각 부처가 가지고 있는 권한과 기능을<br />

극대화하며 <strong>DMZ</strong> 와 민통선의 보전에 집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br />

아울러 폭증하는 개발압력을<br />

공동으로 대처하며 다양한 지역의 이해를 수렴하여 구체적으로 반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br />

Nature, Peace and Local Development ❙ 81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