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03.2014 Views

KOREA 2009 - interkultur.com

KOREA 2009 - interkultur.com

KOREA 2009 - interkultur.com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세계로 뻗어가는 한국의 합창<br />

Choral music of Korea goes out to the world<br />

한국의 합창운동은 서양음악의 도<br />

입이 기독교에 뿌리를 둔 것과 같<br />

은 맥락에 있다. 초기의 서양음악<br />

도입은 작곡가들이 중심이 되었는<br />

데 가곡에 이어 합창이 생성되면서<br />

한국의 합창이 발화한다.<br />

3.1 운동이 끝난 직후 한국의 음악<br />

계는 홍난파, 박태준, 현제명, 윤<br />

극영, 김세형, 이홍렬, 안기영 등<br />

의 대표적인 인물들이 개척기 선구<br />

자로 등장한다.<br />

1920년의 가창 운동은 동요가 중심<br />

이 되어 대중화되기에 이르는데 역<br />

사적으로 일제강점이란 민족 수난<br />

에 노래운동이 국민감정을 승화시<br />

키는 역할을 했다.<br />

‘반달’, ‘고향의 봄’ 등이 그<br />

예다. 1930년 무렵 등장한 애국가<br />

작곡가 안익태는 ‘코리아 환상<br />

곡’이란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관<br />

현악을 내놓으며 이를 세계에 알렸<br />

다. 이 곡은 1938년 그가 지휘하는<br />

더블린의 아일랜드 국립교향악단의<br />

연주로 초연되었다.<br />

이런 가운데 작곡가 박태준은<br />

1932년 이후 미국의 터스컬럼 대학<br />

과 웨스트민스터 대학에서 합창지<br />

휘를 배우고 합창지휘로 석사학위<br />

를 받은 최초의 합창 전문가였다.<br />

그는 귀국 후 1936년 숭실전문학교<br />

교수로 취임하였으며, 1958년 연<br />

세대학교에 종교음악과를 설치하고<br />

음악대학 학장을 지내면서 지대한<br />

공적을 남겼다.<br />

1945년 오라토리오 합창단이 창단<br />

되고 이후 한국 합창계를 이끌어<br />

온 대들보는 곽상수, 나영수, 윤<br />

학원, 유병무, 김명엽, 김홍경, 장<br />

영목 등으로 이어지며 그 시대마다<br />

개척자로서의 사명과 역할을 다했<br />

다. 합창기구의 조직과 전문화, 저<br />

변확대의 방향을 모색하며 눈부신<br />

성장을 해온 것이다.<br />

나영수 지휘자에 의해 본격적인 직<br />

업합창단의 효시인 국립합창단이<br />

1973년 창단되고 1978년에는 서울<br />

시립합창단이 창단되면서 세계에<br />

유례가 없는 지역 도시마다 직업합<br />

창단이 생기게 되어 현재는 50개에<br />

가까운 합창단들이 존재한다.<br />

직업합창단의 출범은 초기에 지휘<br />

자 수급에 적지 않은 애로를 느껴<br />

야 했지만 합창 인구의 확대와 합<br />

창 문화 전반에 큰 기폭제가 되었<br />

다.<br />

본격적인 사회 합창의 활성화는<br />

1971년 박정희 대통령의 조국 근<br />

대화 작업인 새마을 운동과 합창이<br />

맞물리면서 합창사회 운동의 새 양<br />

식을 만들어 냈다. 관 주도의 성격<br />

이 강했지만 그 어느 때보다 합창<br />

의 생활화가 이뤄진 때로 각급 학<br />

교합창과, 직장합창단들이 합창경<br />

연대회라는 형식을 빌어 상호 경쟁<br />

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br />

1973년 한국합창총연합회가 결성<br />

된 것도 이 즈음이다. 이런 분위<br />

기를 타고 1989년, 1990년 코리안<br />

심포니 오케스트라는 5천명 합창을<br />

두 차례 개최해 합창의 파워를 과<br />

시했다.<br />

순수 민간합창운동은 교회가 가<br />

장 중심이 되어 활발하게 펼쳐졌<br />

는데 부산의 노엘합창단(1980), 서<br />

울의 오라토리오 합창단(1991년)<br />

그리고 남성합창단으로 가장 오랜<br />

세계로 뻗어가는 한국의 합창 · Choral music of Korea goes out to the world<br />

72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