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7.2015 Views

정 정 신 고 (보고) - Miraeassetaccount.com

정 정 신 고 (보고) - Miraeassetaccount.com

정 정 신 고 (보고) - Miraeassetaccount.com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형·조선·디스플레이·IT산업 등의 국내 수요산업이 세계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strong>고</strong> 있어 국내공작기계산업의 수요 증대에 큰 역할을 하<strong>고</strong> 있다는 점도 국내 공작기계산업의 강점으로 들 수 있습니다.국내 공작기계산업의 약점으로는 주요 핵심부품인 NC장치, 서보모터 등의 구입을 여전히 경쟁국에의존하<strong>고</strong> 있다는 점과 내수시장이 협소함에 따라 국내기업 간에 치열한 경쟁구도를 벌이<strong>고</strong>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해외마케팅이나 A/S망이 일본, 독일 등 주요 경쟁국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취약하다<strong>고</strong>할 수 있습니다.게다가 후발경쟁국인 대만과 중국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strong>고</strong> 있<strong>고</strong>, 환율·유가·원자재 등 대내외여건 악화와 세계경기 침체로 인한 설비수요 위축, 설계 및 기능인력의 수급 불안 등은 상대적 위협 요소라하겠습니다.국내 공작기계산업의 또 다른 위험으로는 1999년 6월 수입선다변화제도 해제 이후 NC 선반과 머시닝센터 등 일부장비의 수입이 증가한 것을 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당사를 비롯해서 국내 공작기계회사들이 그간 수입선다변화에 대비한 기술력향상, 가격 경쟁력 A/S 기반 등 여러 분야에서 경쟁력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으로 국내시장의 특성에 맞춰 일<strong>정</strong>수준의 경쟁력을 유지하<strong>고</strong>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향후 <strong>정</strong>부는 2010비전을 통해 국내 공작기계 산업발전을 위해 기술 선진화, TOTAL MARKETING,인프라 강화 등의 발전 전략을 추진하여 세계 5위의 공작기계 생산국으로 도약을 위해 다각적인 지원책을 펼치<strong>고</strong> 있다는 점에서 국내 공작기계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2 중기산업 부문[프레스산업]프레스산업의 선진국은 일본, 독일, 스위스, 이태리 등으로 일본을 제외하면 유럽업체가 강한 분야이나 최근 대만, 한국 등이 그 뒤를 바짝 추격하면서 프레스 생산 주요국가로서 자리를 잡아가<strong>고</strong> 있습니다.다음의 표를 참조하면 프레스산업의 주요 수출국은 일본, 대만, 독일, 이탈리아, 한국 등이며 수입 특화 소비지역은 중국, 인도, 멕시코, 러시아, 미국 등으로 생산국과 소비국 사이에서는 치열한 경쟁을벌이<strong>고</strong> 있다는 것을알 수 있습니다.세계 제1의 소비국으로 부상한 중국에서는 자국 제조업체에 의한 수급이 가장 많으나 <strong>고</strong>급 기종,<strong>고</strong>기능 기종은 거의 전량 수입에 의존하<strong>고</strong> 있는 상태로 중국시장에 대해 일본과 대만, 한국, 독일 등이 치열한 각축전을 벌이<strong>고</strong> 있습니다.유럽 지역에서는 독일, 이탈리아 등 유럽지역 내의 제조업체가 시장을 거의 독점하<strong>고</strong> 있는 상태입니다. 특히, 동유럽에 <strong>신</strong>규 수요가 많이 발생하여 일본, 한국 등 아시아의 진출이 계속되<strong>고</strong> 있지만M/S는 낮은 수준입니다. 아시아국의 동유럽 진출은 자국 제조업체의 해외진출에 따른 동반진출 위주로 판로 확보하<strong>고</strong> 있습니다.북미 지역에서는 아직도 꾸준하게 프레스가 소비되<strong>고</strong> 있으며 미국, 멕시코가 주 소비처입니다. 이러한 북미 지역에서는 전통적인 유럽업체들와 일본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업체들이 비등한 상태로 경쟁중에 있습니다.향후 상기의 중국을 포함해 BRICs로 대표되는 <strong>신</strong>흥공업국은 프레스의 중요한 소비지역으로 부상하<strong>고</strong> 있으며 향후 세계 프레스산업의 판도를 바꿀 만큼 큰 시장으로 예상됩니다.프레스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경쟁요소 두 가지는 가격경쟁력과 품질경쟁력입니다. 가격경쟁력 측면에서 중국의 프레스 가격은 국내의 60∼70% 수준이며 일본은 가격경쟁력 면에서 한국과 중국과 비교했을 때 가장 떨어지는 특성을 갖<strong>고</strong> 있습니다. 현재 국내 프레스산업은 일본과의 가격수준이 점차비슷해지<strong>고</strong> 있는 상황에서 중국이 가격경쟁력을 앞세워 공격적인 전략을 취한다면 국내 프레스업체들의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