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7.2013 View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0836]<br />

[0837]<br />

[0838]<br />

[0839]<br />

[0840]<br />

[0841]<br />

[0842]<br />

[0843]<br />

[0844]<br />

[0845]<br />

환률 및 사망률의 주요 원인이다. 심한 합병증은 패혈증, 워터하우스프리데릭센증후군, 부신피질 분비 부전증<br />

및 파종성 혈관내 응고 (DIC)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intala E. et al., Critical Care Medicine 28<br />

(7):2373-2378 (2000) 참조. 이 실시예에서는, MASP-2 결핍 마우스가 수막염균 유발 사망률에 민감한지 알기<br />

위해 MASP-2 (-/-) 및 야생형 (+/+) 마우스에서 렉틴 경로의 역할을 분석했다.<br />

방법:<br />

MASP-2 넉아웃 마우스는 실시예 2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생성되었다. 10주령 MASP-2 KO 마우스 (n-10) 및<br />

야생형 C57/B6 마우스 (n=10)를 5x10 8<br />

cfu/100 ㎕, 2x10 8<br />

cfu/100 ㎕ 또는 3x10 7<br />

cfu/100 ㎕의 투여량의 400<br />

mg/kg 아이언 덱스트란 중의 수막염균 Serogroup A Z2491을 복강 내 주사에 의해 접종하였다. 감염 후 마우스<br />

의 생존률은 72시간 이상의 기간에 걸쳐 간격으로 모니터하였다. 감염을 확인하고 혈청으로부터 박테리아의<br />

제거율을 결정하기 위해 감염 후 한 시간 간격으로 마우스로부터 혈액 샘플은 채취하고 수막염균의 혈청 수준<br />

(log cfu/ml)을 결정하기 위해 분석하였다.<br />

결과:<br />

도 39a는 5x10 8<br />

cfu/100㎕ 감염성 투여량의 수막염균 투여 후 MASP-2 KO 및 야생형 마우스의 퍼센트 생존률을<br />

그래프로 예시한다. 도 39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가장 높은 투여량인 5x10 8<br />

cfu/100㎕의 수막염균에 의해<br />

감염된 후, 100%의 MASP-2 KO 마우스가 감염 후 72시간 동안 살아있었다. 반대로, 20%의 야생형 마우스가 감<br />

염 후 24시간에 살아있었다. 이 결과들은 MASP-2 결핍 마우스는 수막염균 유발 사망으로부터 보호된다는 것을<br />

증명한다.<br />

도 39b는 5x10 8<br />

cfu/100 ㎕의 수막염균에 감염된 MASP-2 및 야생형 마우스로부터 취한 혈액 샘플에서 다른<br />

시점에서 회수된 수막염균의 log cfu/ml을 그래프로 예시한다. 도 39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야생형 마우스<br />

에서 수막염균 혈중 수준은 감염 후 24시간째 약 6.5 log cfu/100㎕의 피크에 도달했고 감염 후 48시간 후 0<br />

으로 떨어졌다. 반대로, MASP-KO 마우스에서는 수막염균의 수준이 감염 후 6시간째 약 3.5 log cfu/100㎕의<br />

절정에 도달했고, 감염 후 36시간 후 0으로 떨어졌다.<br />

도 40a는 2x10 8<br />

cfu/100㎕의 수막염균에 감염된 후 MASP-2 KO 및 야생형 마우스의 퍼센트 생존률을 그래프로<br />

예시한다. 도 40a에 보이는 바와 같이, 2x10 8<br />

cfu/100㎕의 수막염균에 감염된 후, 100%의 MASP-2 KO 마우스가<br />

감염 후 72시간 동안 살아있었다. 반대로 야생형의 80%만 감염 후 24시간 동안 여전히 살아있었다. 도 39a에<br />

서 보이는 결과와 일치하게, 이 결과들은 MASP-2 결핍 마우스가 수막염균 유발 사망으로부터 보호된다는 것을<br />

증명한다.<br />

도 40b는 2x10 8<br />

cfu/100㎕의 수막염균에 감염된 야생형 마우스로부터 얻은 혈액 샘플에서 다른 시점에서 회수<br />

된 수막염균의 log cfu/ml을 그래프로 예시한다. 도 40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2x10 8<br />

cfu/100㎕로 감염된 야<br />

생형 마우스에서 수막염균 혈중 수준은 감염 후 <strong>12</strong>시간째 약 4 log cfu/100㎕의 피크에 도달했고 감염 후 24<br />

시간 후 0으로 떨어졌다. 도 40c는 2x10 8<br />

cfu/100㎕의 수막염균에 감염된 MASP-2 KO 마우스로부터 취한 혈액<br />

샘플에서 다른 시점에서 회수된 수막염균의 log cfu/ml을 그래프로 예시한다. 도 40c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br />

2x10 8<br />

cfu/100㎕로 감염된 MASP-2 마우스에서 수막염균 혈중 수준은 감염 후 2시간째 약 3.5 log cfu/100㎕의<br />

피크에 도달했고 감염 후 3시간 후 0으로 떨어졌다. 도 40c에서 보이는 결과와 일치하게, 이 결과들은 MASP-2<br />

KO 마우스가 야생형 마우스와 같은 투여량의 수막염균에 감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MASP-2 KO 마우스는 야생<br />

형과 비교해서 박테리아의 향상된 청소율을 갖는다.<br />

가장 낮은 투여량인 3x10 7<br />

기간에 100%였다 (데이터 미도시).<br />

토의<br />

공개특허 10-20<strong>12</strong>-0099680<br />

cfu/100㎕의 수막염균에 감염 후 MASP-2 KO 및 야생형의 퍼센트 생존률은 72시간<br />

이 결과들은 MASP-2 결핍 마우스가 수막염균 유발 사망으로부터 보호되고 야생형과 비교해서 박테리아의 향상<br />

된 청소율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이 결과들의 관점에서 보면, MASP-2 Mo항체 같은, MASP-2 억<br />

제제의 치료적 적용은 수막염균 박테리아의 감염 (즉, 패혈증 및 DIC) 효과를 치료, 예방 또는 완화에 효험이<br />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이 결과들은 MASP-2 Mo항체 같은 MASP-2 억제제의 치료적 적용은 대상체를 수<br />

- 101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