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7.2013 View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0539]<br />

[0540]<br />

[0541]<br />

[0542]<br />

[0543]<br />

[0544]<br />

[0545]<br />

[0546]<br />

[0547]<br />

[0548]<br />

[0549]<br />

이 실시예는 렉틴-의존성 MASP-2 보체 활성화 시스템이 복부 대동맥류 복구 후 허혈/재관류 상내에서 활성화<br />

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br />

실험적 근거 및 설계: 복부 대동맥류 (AAA) 복구를 한 환자에 허혈-재관류 손상을 가하였으며, 이는 보체 활<br />

성화에 의하여 크게 매개되었다. AAA 복구를 한 환자 내의 허혈-재관류 손상에 있어서의 MASP-2-의존성 보체<br />

활성화의 렉틴 경로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혈청 내의 만난-결합 렉틴 (MBL)은 재관류시 발생하는 MASP-2-의존<br />

성 렉틴 경로 활성화의 양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br />

환자 혈청 시료 분리: 선택적 산하 AAA 복구를 한 총 23명의 환자 및 주요 복부 수술을 한 8명의 대조군 환자<br />

를 이 연구에 포함시켰다. AAA 복구를 한 환자에 있어서, 전신성 혈액 시료를 수술중 정해진 4 시점에서 각<br />

환자의 노동맥 (동맥라인을 통하여)에서 채취하였다: 시점 1: 마취 유도; 시점 2: 대동맥 크램핑 직전; 시점<br />

3: 대동맥 크램핑 제거 직전; 및 시점 4: 재관류시. 주요 복부 수술을 한 대조군 환자에 있어서, 전신성 혈액<br />

시료는 최면 유도시와 시술 시작 후 2 시간 후 채취하였다.<br />

MBL 수준의 측정법: 각 환자 혈장 시료는 ELISA 기법을 사용하여 만난-결합 렉틴 (MBL)의 수준을 측정하였다.<br />

결과: 이 연구의 결과는 도 10에 나타내었으며, 이는 MBL 수준 (y 축)의 각 다양한 시점 (x 축)에서의 평균<br />

백분율 변화를 나타낸다. MBL의 초기값은 100%이며, 그 뒤로 상대적으로 감소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br />

같이, AAA 환자 (n=23)는 혈장 MBL 수준의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며, AAA 후 허혈/재관류 시점에서의 평균 약<br />

41% 감소가 된다. 이에 반하여, 주요 복부 수술을 한 대조군 환자 (n=8) 내에서는 혈장 시료 내에서 MBL 소비<br />

가 적음을 관찰하였다.<br />

제공된 데이터는 보체 시스템의 MASP-2-의존성 렉틴 경로가 AAA 복구 후 허혈/재관류 상에서 활성화된다는 강<br />

력한 사실을 제공한다. MBL 수준의 감소는 허혈-재관류 손상에 관련된 것으로 보이며, 이는 크램핑된 주요 혈<br />

관이 수술 후 재관류되는 경우 MBL 수준이 현저하고 급속하게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에 반하여, 주요 허혈-재<br />

관류 손상없이 주요 복부 수술을 한 환자의 대조군 혈청은 MBL 혈장 수준의 약간의 감소만을 나타낸다. 우리<br />

는 재관류 손상 내의 보체 활성화의 잘 확립된 기여의 관점에서, 허혈 내피 세포상의 MASP-2의 활성화-의존성<br />

렉틴 경로는 허혈/재관류 손상의 병리학상의 주요 인자라고 결론지었다. 따라서, MASP-2-의존성 보체 활성화<br />

의 렉틴 경로의 특이적 일시적 차단 또는 감소는 일시적 허혈 손상, 예컨대, 심근 경색, 장 경색, 화상, 이식<br />

및 뇌졸중에 관한 임상적 수술 및 질환의 결과를 향상시키는 치료적 효과에 현저한 이익을 가질 것으로 기대<br />

한다.<br />

실시예 15<br />

이 실시예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에 유용한 MASP-2 억제제 시험용 동물 모델로서 MASP-2-/- 균주의 용도를<br />

설명한다.<br />

배경 및 이론적 근거: 뮤린 관절염 모델: K/BxN T 세포 수용체 (TCR) 유전자삽입 (tg) 마우스는 최근 개발된<br />

염증 관절염 모델이다 (Kouskoff, V., et al, Cell 87:811-822, <strong>19</strong>96; Korganow, A.S., et al, Immunity<br />

10:451-461, <strong>19</strong>99; Matsumoto, L, et al., Science 286:1732-1735, <strong>19</strong>99; Maccioni M. et al., J. Exp. Med.<br />

<strong>19</strong>5 (8):1071-1077, 2002). K/BxN 마우스는 인간 RA의 대부분의 임상적, 조직학적 및 면역학적 특징을 지닌<br />

자가면역 질환을 자체적으로 발달시킨다 (Ji, H., et al., Immunity 16:157-168, 2002). 뮤린 장애는 관절 특<br />

이적이나, 개시된 후 T에 의하여 영속되며, B 세포는 글루코스-6-포스페이트 아이소머라아제 ("GPI"), 편재하<br />

여 발현되는 항원에 자기반응성이다. 추가적으로, 혈청 (또는 정제된 항-GPI Igs)이 관절염성 K/BxN 마우스에<br />

서 건강한 동물로 전이되면 수일 내에 관절염을 일으키게된다. 다클론 항-GPI 항체 또는 IgGl 아이소타입의<br />

항-GPI 단클론 항체의 풀이 건강한 수여자에 주입된 경우 관절염을 유도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Maccioni et<br />

al., 2002). 뮤린 모델은 인간 RA에 관한 것이며, RA 환자의 혈청은 정상 개체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항-GPI<br />

항체를 함유하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C5-결핍 마우스는 이 시스템에서 시험되었으며, 관절염 발달을<br />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Ji, H., et al., 2002, supra). C3 무효과 마우스 내에서 관절염의 강한 억제가<br />

있으며, 이는 대체 경로에 관련되어 있으나, MBP-A 무효과 마우스는 관절염을 발달시켰다. 마우스에 있어서<br />

그러나, MBP-C의 존재는 MBP-A의 손실을 보상해준다.<br />

MASP-2가 렉틴 및 대체 경로 모두의 개시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본원의 관찰에 기초하여, K/BxN 관절염성<br />

모델은 RA 치료제로서 효과적인 MASP-2 억제제의 선별에 유용하다.<br />

공개특허 10-20<strong>12</strong>-0099680<br />

방법: 관절염성 K/BxN 마우스의 혈청은 60일령에서 획득하였으며, 풀을 형성하고, MASP-2-/- 수여자 (실시예<br />

1)에게 주사되었으며 (150-200 ㎕ i.p.); 및 대조군 한배자손은 MASP-2 억제제 (MoAb, 본원의 억제 펩티드<br />

- 74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