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7.2013 View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0695]<br />

[0696]<br />

[0697]<br />

[0698]<br />

[0699]<br />

면역 방어에 대한 렉틴 경로의 중요성은, 특히 후천적 면역 시스템이 확립되기 전 유아기에 다양한감염성 질<br />

환에 대한 증가된 감수성을 지닌 MBL의 결핍에 관한 다수의 임상적 연구들에서 지적하였다 (Jack et al.,<br />

Immunol Rev 180: 86-99 (2001); Neth et al. Infect Immun 68: 688-693 (2000); Summerfield et al, Lancet<br />

345: 886-889 (<strong>19</strong>95); Super et al., Lancet 2: <strong>12</strong>36-<strong>12</strong>39 (<strong>19</strong>89)). 그러나, 렉틴 경로는 또한 소망하지 않는<br />

보체 활성화에 기여하며, 이는 다수의 병리학적 증상, 예컨대 심장 및 신장의 허혈/관류 손상 내의 염증 및<br />

조직 손상에 관여한다 (de Vries et al., Am J Pathol 165: 1677-1688 (2004); Fiane et al., Circulation<br />

108: 849-856 (2003); Jordan et al., Circulation 104: 1413-1418 (2001); Walsh et al., J Immunol 175:<br />

541-546 (2005)).<br />

전술한 바와 같이, 렉틴 경로는 MBL 및 피콜린에 의하여 탄수화물 인식에 관여하며 (Fujita et al, Immunol<br />

Rev <strong>19</strong>8: 185-202 (2004); Holmskov et al, Annu Rev Immunol 21: 547-578 (2003); Matsushita and Fujita,<br />

Immunobiology 205: 490-497 (2002) 이러한 렉틴은 MASP-1 (Matsushita and Fujita, J Exp Med 176: 1497-<br />

1502 (<strong>19</strong>92); Sato et al, lnt Immunol 6: 665-669 (<strong>19</strong>94); Takada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strong>19</strong>6:<br />

1003-1009 (<strong>19</strong>93), MASP-2 (Thiel et al, Nature 386: 506-510 (<strong>19</strong>97), MASP-3 (Dahl et al, Immunity 15:<br />

<strong>12</strong>7-135 (2001), 및 MASP-2의 절단된 단백질 (소형 MBL-유관 단백질; sMAP 또는 MApl9) (Stover et al, J<br />

Immunol 162: 3481-3490 (<strong>19</strong>99); Takahashi et al, lnt Immunol 11: 8590863 (<strong>19</strong>99)과 복합체를 형성한다.<br />

MASP족 구성원은 6개의 도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C1r/C1s/Uegf/골형성 단백질 (CUB) 도메인, 표피 성장<br />

인자 (EGF)-유사 도메인, 두 보체 대조군 단백질 (CCP) 또는 짧은 컨센서스 반복 (SCR) 도메인, 및 세린 프로<br />

테아제 도메인 (Matsushita et al, Curr Opin Immunol 10: 29-35 (<strong>19</strong>98). MASP-2 및 sMAP는 단일 구조 유전자<br />

로부터 대체 스플라이싱에 의하여 생성되며, sMAP는 제1 CUB (CUBI) 도메인, EGF-유사 도메인 및 sMAP-특이적<br />

엑손에 의하여 암호화된 C-말단부의 여분의 4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MASP-1 및 MASP-3는 대체 스플라<br />

이싱에 의한 단일 유전자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Schwaeble et al, Immunobiology 205: 455-466 (2002). MBL<br />

및 피콜린이 마이크로브의 표면상의 탄수화물에 결합하는 경우, 효소전구체 형태의 MASP는 제2 CCP와 프로테<br />

아제 도메인 사이를 분해하여 중쇄 (H)- 및 경쇄 (L)-사슬로 불리는 두 폴리펩티드로 구성된 활성 형태가 된<br />

다. 따라서 보체 성분에 대한 단백질분해 활성을 획득하게 된다. 축적된 증거는 MASP-2가 C3 전환효소<br />

(C4bC2a)의 형성을 유도하는 C4 및 C2를 분해함을 나타낸다 (Matsushita et al, J. Immunol 165: 2637-2642<br />

(2000)). 우리는 MASP-1이 C3를 직접적으로 분해하며 및 후속적으로 증폭 루프를 활성화시킨다는 것을 제안한<br />

다 (Matsushita and Fujita, Immunobiology <strong>19</strong>4: 443-448 (<strong>19</strong>95). 그러나 이 기능은 논란이 있다 (Ambrus et<br />

al, J. Immunol 170: 1374-1382 (2003). MASP-3가 L-사슬내의 세린 프로테아제 도메인을 함유하고, 합성 기질<br />

에 대한 이들의 단백질분해 활성을 발휘함에도 (Zundel et al, J Immunol 172: 4342-4350 (2004), 이들의 생<br />

리학적 기질은 확인되지 못하였다. 세린 프로테아제 도메인이 결핍된 sMAP의 기능은 여전히 미지이다.<br />

현재의 연구에서, 렉틴 보체 경로의 활성화에서의 sMAP의 역할을 분명히 하기 위하여, 우리는 sMAP의 C-말단<br />

부에서 4 아미노산 잔기 (EQSL)를 암호화하는 sMAP-특이적 엑손을 파괴시켰으며, sMAP-/- 마우스를 생성하였<br />

다. 우리는 하방-조절 렉틴 경로의 활성화에 대한 sMAP의능력을 최초로 보고하였다.<br />

재료 및 방법<br />

마우스<br />

표적화 벡터는 <strong>12</strong>9/Sv 마우스 MASP-2 유전자의 엑손 1-4 및 엑손 6의 일부 및 엑손 5 대신 네오마이신 내성<br />

유전자 카세트를 포함하도록 구축된다 (도 20a). DT-A 유전자는 벡터의 3' 말단에 삽입되고 및 3개의 lox p<br />

부위는 장래에 네오마이신 카세트 및 프로모터 영역을 제거하기 위하여 조건부 표적화를 수행하도록<br />

삽입된다. 표적화 벡터는 <strong>12</strong>9/Sv ES 세포내로 전기천공되었다. 표적화된 ES 클론은 양육 ICR 모체의 자궁내로<br />

이식된 C57BL/6J 포배내로 미세주입되었다. 수컷 키메라 마우스를 암컷 C57BL/6J 마우스와 교배시켜 이종접합<br />

(+/-) 마우스를 생산하였다. 이종접합 (+/-) 마우스는 프로브를 사용하여 BamH I로 분해된 테일 DNA 서던 블<br />

롯 분석에 의하여 선별되었다 (도 2Oa). 서던 블롯 분석은 이종접합 (+/-) 마우스의 DNA내에서 6.5-kbp 및<br />

11-kbp 밴드를 나타낸다 (도 20b). 이종접합 (+/-) 마우스는 C57BL/6J 마우스와 역교배되었다. 동종접합 (-/-<br />

) 마우스를 획득하기 위하여, 이종접합 (+/-) 마우스를 이종교배하였다. 동종접합 (-/-) 마우스 (C57BL/6J 배<br />

경)를 테일 DNA의 PCR-기초 유전형에 의하여 확인하였다. PCR 분석은 엑손 4-특이적 및 네오 유전자-특이적<br />

센스 프라이머 및 엑손 6-특이적 안티센스 프라이머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동종접합 (-/-) 마우스<br />

의 DNA는 단일 1.8-kbp 밴드를 나타내었다 (도 20c). 모든 실험에서, 8 내지 <strong>12</strong> 주령 마우스를 Fukushima<br />

Medical University의 동물 실험 가이드에 따라 사용하였다.<br />

- 89 -<br />

공개특허 10-20<strong>12</strong>-0099680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