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7.2013 View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0738]<br />

[0739]<br />

[0740]<br />

청에서 관찰된 C4 침착의 감소는 MBL-MASP 복합체내의 MASP-2 결핍에 의하여 유발되어야한다 (도 22b). 따라<br />

서, MASP-2가 MBL-MASP 복합체에 의한 C4의 활성화에 필수적인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rMASP-2의 첨가는 분<br />

열 활성을 완전하게 복구하지 못하며, C4 침착은 고점에 이른다. 전술한 바와 같이 (Cseh et al, J Immunol<br />

169: 5735-5743 (2002); Iwaki and Fujita, J Endotoxin Res 11: 47-50 (2005)), 대부분의 rMASP-2는 정제 절<br />

차 도중 자가활성화에 의하여 활성형태로 전환되며, 일부는 이들의 프로테아제 활성을 상실한다. 활성 또는<br />

불활성 상태의 MASP-2는 이들의 MBL 결합에 현저한 영향을 주지 못하기 때문에 (Zundel et al, J Immunol<br />

172: 4342-4350 (2004)), 이들의 프로테아제 활성을 상실한 rMASP-2가 MBL에 결합하고, 경쟁적으로 활성 형태<br />

의 결합을 막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C4 침착의 불완전 복구가 된다. 렉틴 경로의 C3 분열 활성 결핍 혈청<br />

내에서 감소된다 (도 23b). 침착된 C3의 양의 감소는 아마도 매우 낮은 수준의 C3 전환효소 활성에 기인하며,<br />

MASP-2에 의하여 생성된 C4b 및 C2a 단편으로 구성되어 있다.<br />

동종이량체로서 MASP와 sMAP는 결합되며 이들의 N-말단 CUB 및 EGF-유사 도메인을 통하여 MBL 또는 L-피콜린<br />

과의 복합체를 형성한다 (Chen and Wallis, J Biol Chem 276: 25894-25902 (2001); Cseh et al, J Immunol<br />

169: 5735-5743 (2002); Thielens et al, J Immunol 166: 5068-5077 (2001); Zundel et al, J Immunol 172:<br />

4342-4350 (2004)). sMAP 및 MASP-2의 CUBI-EGF-CUB2 부분의 결정구조는 이들의 동종이량체 구조를 알려준다<br />

(Feinberg et al, EMBO J 22: 2348-2359 (2003); Gregory et al, J Biol Chem 278: 32157-32164 (2003)). MBL<br />

의 콜라겐-유사 도메인은 MASP의 결합에 관여한다 (Wallis and Cheng, J Immunol 163: 4953-4959 (<strong>19</strong>99);<br />

Wallis and Drickamer, J Biol Chem 279: 14065-14073 (<strong>19</strong>99), 도메인에 도입된 일부 돌연변이는 MBL의 MASP-<br />

1 및 MASP-2의 CUBI-EGF-CUB2 부분에 대한 결합을 감소시킨다 (Wallis and Dodd, J Biol Chem 275: 30962-<br />

30969 (2000)). MASP-2 및 MASP-1/3의 결합 부위는 오버랩되나 일치하지는 않는다 (Wallis et al, J Biol<br />

Chem 279: 14065-13073 (2004)). MBL의 sMAP-결합 부위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sMAP 및 MASP-2의 결합 부위는<br />

아마도 동일한 것 같으며, 이는 CUBI-EGF 영역이 sMAP 및 MASP-2 내에서 동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sMAP 및<br />

MASP-2가 서로 경쟁하여 MBL-MASP-sMAP 복합체의 재구성에서 MBL에 결합하는 것이 당연하다 (도 24). sMAP의<br />

MBL에 대한 친화도는 MASP-2 보다 낮다 (Cseh et al, J Immunol 169: 5735-5743 (2002); Thielens et al, J<br />

Immunol 166: 5068-5077 (2001)). 마우스 혈청내의 sMAP의 농도는 결정된 바 없다. 도 22a에 나타낸 바와 같<br />

이, 그러나, 야생형 혈청내의 sMAP의 양은 MASP-2의 것보다 훨씬 많다. 따라서 sMAP는 MASP-2/sMAP 결합 부위<br />

를 점유할 수 있으며, MASP-2가 MBL에 결합하는 것을 막고 결과적으로 MBL-MASP 복합체의 C4 분열 활성을 감<br />

소시킨다. 렉틴 경로내의 sMAP의 조절 기작은 조사되지 않고 있다. sMAP가 보체 활성화의 전 후에 조절 역할<br />

을 하는지 여부는 미지이다. sMAP는 미생물 감염전 MBL-MASP 복합체의 무의식적 활성화를 예방하거나 또는 활<br />

성화된 경우 렉틴 경로의 과다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게된다. 렉틴 경로내의 또 다른 잠재적인 조절자가 있다.<br />

MASP-3는 또한 MBL에 결합시 MASP-2의 경쟁자이며 MASP-2의 C4 및 C2 분열 활성을 하향조절한다 (Dahl et al,<br />

Immunity 15: <strong>12</strong>7-135 (2001)). sMAP와 MASP-3간의 상호작용이 조사되지 않았지만, 공동작용으로 렉틴 경로의<br />

활성화를 하향조절할 수 있게된다.<br />

이 연구에서, 우리는 sMAP와 MASP-2는 MBL에 결합하기 위하여 경쟁하며, sMAP는 MBL-MASP 복합체에 의하여 활<br />

성화된 렉틴 경로를 하향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sMAP이 피콜린-MASP 복합체에<br />

의하여 활성화된 또 다른 경로의 렉틴 경로를 조절하는 것이 타당하다. MASP-2 및 sMAP는 또한 마우스 피콜린<br />

A에 결합하기 위하여 경쟁하며, 피콜린 A-MASP 복합체의 C4 분열 활성을 하향조절한다 (Y Endo et al, 제조물<br />

내). MBL 무효과 마우스의 연구가 최근 보고되었다 (Shi et al, J Exp Med <strong>19</strong>9: 1379-1390 (2004). MBL 무효<br />

과 마우스는 MBL 렉틴 경로 내의 C4 분열 활성을 갖지 않으며,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감염에 걸리기 쉽<br />

다. 현재의 연구에서, MASP-2의 결핍인 sMAP-/- 마우스는 렉틴 경로내의 C4 분열 활성과 함께 C3 분열 활성의<br />

감소를 나타낸다. 이들의 손상된 옵소닌화 활성에 기인하여, sMAP-결핍 마우스는 박테리아 감염 걸리기 쉽다.<br />

sMAP-결핍 마우스 추가의 조사에 의하여 감염성 질환에 대한 보호에 있어서 렉틴 경로의 기능을 분명히 하게<br />

될 것이다.<br />

공개특허 10-20<strong>12</strong>-0099680<br />

또 다른 중요한 발견은 정상 혈청에 rsMAP를 첨가하여 C4의 활성화의 감소가 된다는 점이다 (도 26b). 렉틴<br />

경로는 수종의 장기 내에서 염증 및 조직 손상을 조절한다고 입증되었다 (de Vries et al, Am J Pathol 165:<br />

1677-1688 (2004); Fiane et al, Circulation 108: 849-856 (2003); Jordan et al, Circulation 104: 1413-<br />

1418 (2001); Walsh et al, J Immunol 175: 541-546 (2005)). 흉복부 대동맥류의 치료를 한 MBL-결핍 환자에<br />

있어서, 보체는 활성화되지 않았으며, 전염증 마커의 수준은 수술 후 감소되었다 (Fiane et al, Circulation<br />

108: 849-856 (2003)). 축적된 증거들은 다양한 혈관 내의 허혈 및 재관류 증상에서 MBL의 잠재적인 병태생리<br />

학적 역할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MBL의 특이적 차단 또는 렉틴 보체 경로의 억제는 허혈/관류-유관 손상을<br />

예방하기 위한 치료적 관련 전략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들이 렉틴 경로 활성화의 감쇄제로 작용하기 때문에,<br />

- 93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