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7.2013 View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0294]<br />

[0295]<br />

[0296]<br />

[0297]<br />

[0298]<br />

[0299]<br />

[0300]<br />

득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하이브리도마법은 문헌 Kohler, G., et al., Nature 256:495, <strong>19</strong>75에 있으며, 이들은<br />

재조합 DNA법에 의하여 생산될 수도 있다 (예컨대, U.S. Patent No. 4,816,567, Cabilly). 단클론 항체는 파<br />

지 항체 라이브러리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는 Clackson, T., et al., Nature 352:624-628, <strong>19</strong>91, 및<br />

Marks, J.D., et al., J. Mol. Biol. 222:581-597, <strong>19</strong>91에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항체는 IgG, IgM, IgE,<br />

IgA, IgD 및 이들의 모든 하위클래스를 포함하는 모든 면역글로블린 클래스가 될 수 있다.<br />

예를 들면, 단클론 항체는 적합한 포유류 (예컨대, BALB/c 마우스)에 MASP-2 폴리펩티드 또는 이들의 부분을<br />

포함하는 조성물을 주입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미리 결정한 시간 후에, 비장세포를 마우스에서 제거하고<br />

세포 배양 배지에 현탁시켰다. 비장세포를 무한증식 세포주에 융합시켜 하이브리도마를 형성하였다. 형성된<br />

하이브리도마를 세포 배양에서 성장시키고 MASP-2에 대한 단클론 항체를 생산하는 능력으로 선별하였다. 항-<br />

MASP-2 단클론 항체의 생산을 설명하는 추가적인 예는 실시예 7에 제공되어 있다 (Current Protocols in<br />

Immunology, Vol. L, John Wiley & Sons, pages 2.5.1-2.6.7, <strong>19</strong>91.).<br />

인간 단클론 항체는 항원 시험에 대한 반응에서 특이적 인간 항체를 생산하도록 조작된 유전자삽입 마우스를<br />

사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 기법에서, 인간 면역글로블린 중쇄 및 경쇄좌의 요소가 내재 면역글로블린 중쇄<br />

및 경쇄좌의 표적화된 분열을 함유하는 배아 줄기 세포주에서 유도된 마우스 주 내로 도입되었다. 유전자삽입<br />

마우스는 예컨대 MASP-2 항원인 인간 항원에 특이적인 인간 항체를 합성할 수 있으며, 마우스는 실시예 7에서<br />

추가적으로 설명된 종래의 콜러-밀스턴 기술을 사용하여 다발골수종 세포주에 적합한 동물의 B-세포에 융합하<br />

여 인간 MASP-2 항체-분비 하이브리도마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인간 면역글로블린 게놈의 유전<br />

자삽입 마우스는 구득이 가능하다 (예컨대, from Abgenix, Inc., Fremont, CA, and Medarex, Inc.,<br />

Annandale, N. J.). 유전자삽입 마우스에서 인간 항체를 얻는 방법은, 예를 들면, Green, L.L., et al.,<br />

Nature Genet. 7:13, <strong>19</strong>94; Lonberg, N., et al., Nature 368:856, <strong>19</strong>94; 및 Taylor, L.D., et al., Int.<br />

Immun. 6:579, <strong>19</strong>94에 설명되어 있다.<br />

단클론 항체는 다양한 확립된 기법에 의하여 하이브리도마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되고 정제될 수 있다. 이러한<br />

분리 기법은 단백질-A 세파로스에의한 친화도 크로마토그래피,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및 이온-교환 크로<br />

마토그래피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Coligan at pages 2.7.1-2.7.<strong>12</strong> 및 pages 2.9.1-2.9.3; Baines et al.,<br />

"Purification of Immunogloblin G (IgG)," in Methods in Molecular Biology, Humana Press, Inc., Vol. 10,<br />

pages 79-104, <strong>19</strong>92). 생산된 경우라면, 다클론, 단클론 또는 파지-유도성 항체는 특이적 MASP-2 결합이 시험<br />

된다.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측정법이 MASP-2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항체를 검출하기 위<br />

하여 사용된다. 예시적인 측정법은 웨스턴 블롯 또는 표준 방법에 의한 면역침전 분석 (예컨대, Ausubel et<br />

al.), 면역전기영동, 효소-링크 면역측정법, 도트 블롯, 억제 또는 경쟁 측정법 및 샌드위치 측정법을 포함한<br />

다 (Harlow and Land, Antibodies: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strong>19</strong>88). 항체<br />

가 MASP-2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고 알려진 경우, 항-MASP-2 항체는 수종의 측정법 예컨대, 예를 들면, 렉틴-<br />

특이적 C4 분열 측정법 (실시예 2), C3b 침착 측정법 (실시예 2) 또는 C4b 침착 측정법 (실시예 2)에서 MASP-<br />

2 억제제로서 기능하는 능력에 대하여 시험된다.<br />

항-MASP-2 단클론 항체의 친화도는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하여 쉽게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br />

Scatchard, A., NY Acad. ScL 57:660-672, <strong>19</strong>49).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유용한 항-MASP-2<br />

단클론 항체는 < 100nM, 바람직하게는 < 10nM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 2nM의 결합 친화도로 MASP-2에 결합한<br />

다.<br />

키메라/인체적응형 항체<br />

본 발명의 방법에 유용한 단클론 항체는 중쇄 및/또는 경쇄의 부분이 특정 종에서 유도된 항체 또는 특정 항<br />

체 클래스 또는 서브클래스에 속하는 항체 내의 대응 서열에 일치하거나 또는 상동인이나 사슬 (들)의 나머지<br />

는 또 다른 종에서 유도된 항체 또는 또 다른 항체 클래스 또는 서브클래스항체, 및 이러한 항체의 단편 내의<br />

대응 서열과 일치하거나 또는 상동인 키메라 항체를 포함한다 (U.S. Patent No. 4,816,567 to Cabilly, 및<br />

Morrison, S. L., et al., Proc. Nat'lAcad. ScL USA 87:6851-6855, <strong>19</strong>84).<br />

공개특허 10-20<strong>12</strong>-0099680<br />

본 발명에 유용한 일 형태의 키메라 항체는 인체적응형 단클론 항-MASP-2 항체이다. 인체적응형의 비-인간<br />

(예컨대, 뮤린) 항체는 키메라 항체이며, 이는 비-인간 면역글로블린에서 유도된 최소 서열을 함유한다. 인체<br />

적응형 단클론 항체는 비-인간 (예컨대, 마우스) 상보 결정 영역 (CDR)을 마우스 면역글로블린의 중쇄 및 경<br />

쇄 가변 사슬에서 인간 가변 도메인으로 전이시킴으로써 생산된다. 일반적으로, 인간 항체의 잔기는 비-인간<br />

상대방의 프레임워크 영역 내에서 치환되었다. 추가적으로, 인체적응형 항체는 수여자 항체 또는 공여자 항체<br />

- 47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