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7.2013 View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0162]<br />

[0163]<br />

[0164]<br />

[0165]<br />

[0166]<br />

[0167]<br />

[0168]<br />

항-인자 D MoAb는 C3 및 C5 활성화 단계에서 대체 경로를 억제한다. 그러나, 어떠한 이러한 보체 억제제도 본<br />

발명에서 확인된 MASP-2-의존성 보체 활성화 시스템을 특이적으로 억제하지 못한다.<br />

심장동맥 우회술 이식편 (CABG) 수술에서 수술전후 MI 및 사망율을 감소시키는 인체적응형 단일 사슬 항-C5<br />

항체 (h5G1.1-scFv, 펙셀리주맙)의 효능 및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한 전망있는 3기 임상 연구의 결과가 보고되<br />

었다 (Verrier, E.D., et al., JAMA 291:23<strong>19</strong>-27, 2004). 플라시보에 비하여, 펙셀리주맙은 CABG 수술을 한<br />

2746 환자내에서 사망 또는 MI의 복합적 목표의 위험을 현저하게 감소시키지 못하였다. 그러나, 판막 수술과<br />

함께 또는 없이 CABG 수술을 한 3099 환자 모두에서 수술 후 30일 경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감소가 있었다.<br />

펙셀리주맙은 C5 활성화 단계에서 억제하기 때문에, 이는 C5a 및 sC5b-9 생성을 억제하나, 다른 두 강력한 보<br />

체 염증 물질인, C3a 및 옵소닌 C3b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이는 또한 CPB-촉발 염증 반응에 기여하<br />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r />

본 발명의 한 양태은 따라서, 혈액투석, 혈장교환, 백혈구분반술, 최외막형 산소섭취 (ECMO), 헤파린-유도성<br />

최외막형 산소섭취 LDL 침전 (HELP) 및 심폐순환 우회술 (CPB)을 한 환자를 포함하는 체외순환 과정을 겪은<br />

대상체를 약학적 담체 중에 MASP-2 억제제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치료함으로써 체외순환 노<br />

출-촉발 염증 반응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MASP-2 억제제 치료는 때때<br />

로 CPB 과정의 결과인 인지 장애을 감소 또는 예방하기에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MASP-2 억제제는 예컨대<br />

동맥, 정맥, 근육 내, 피하 또는 다른 비경구 투여에 의하여 수술전 및/또는 수술중 및/또는 수술후 대상체에<br />

투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MASP-2 억제제는, 예컨대 MASP-2 억제제를 혈액이 순환하는 관 또는 막을 통과<br />

또는 통하여 주입하거나 또는 혈액을 MASP-2 억제제로 피복된 표면 예컨대 관벽 내부, 막 또는 다른 표면 예<br />

컨대 CPB 기구와 접촉시켜 체외순환 중 대상체의 혈류에 도입될 수 있다.<br />

염증 및 비-염증 관절염 및 다른 근골격 질환<br />

보체 시스템의 활성화는 류마티스성 질환의 다양한 발병기전에 관련되어 있으며; 류마티스 관절염 (Linton,<br />

S.M., et al., Molec. Immunol. 36:905-14, <strong>19</strong>99), 연소성 류마티스 관절염 (Mollnes, T.E., et al.,<br />

Arthritis Rheum. 29:1359-64, <strong>19</strong>86), 골관절염 (Kemp, P.A., et al., J. Clin. Lab. Immunol. 37:147-62,<br />

<strong>19</strong>92),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SLE) (Molina, H., Current Opinion in Rheumatol. 14:492-497, 2002), 베체트<br />

증후군 (Rumfeld, W.R., et al., Br. J. Rheumatol. 25:266-70, <strong>19</strong>86) 및 쇼그렌 증후군 (Sanders, M.E., et<br />

al., J. Immunol. 138:2095-9, <strong>19</strong>87)을 포함한다.<br />

면역-복합체-촉발 보체 활성화가 류마티스 관절염 (RA)에서 조직 손상에 기여하는 주요 병리학적 기작이라는<br />

명백한 증거가 있다. 보체 활성화 산물이 RA 환자의 혈장 내에서 증가되었다는 수많은 문헌이 있다 (Morgan,<br />

B.P., et al, Clin. Exp. Immunol, 73:473-478, <strong>19</strong>88; Auda, G., et al., Rheumatol. Int. 10:185-189, <strong>19</strong>90;<br />

Rumfeld, W.R., et al, Br. J. Rheumatol. 25:266-270, <strong>19</strong>86). 보체 활성화 산물 예컨대 C3a, C5a, 및 sC5b-9<br />

는 염증 류마티스성 관절 내에서 발견되며, 보체 활성화의 정도와 RA의 중증도 사이의 정비례 상관관계가 확<br />

립되었다 (Makinde, V.A., et al., Ann. Rheum. Dis. 48:302-306, <strong>19</strong>89; Brodeur, J.P., et al., Arthritis<br />

Rheumatism 34:1531-1537, <strong>19</strong>91). 성인 및 연소성 류마티스 관절염 모두에서, C4d (고전적 경로 활성화의 마<br />

커)에 비하여 대체 경로 보체 활성화 산물 Bb의 증가된 혈청 및 윤활액 수준은 보체 활성화가 대체 경로에 의<br />

하여 우세하게 매개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El-Ghobarey, A. F. et al., J. Rheumatology 7:453-460, <strong>19</strong>80;<br />

Agarwal, A., et al, Rheumatology 39:189-<strong>19</strong>2, 2000). 보체 활성화 산물은 can directly 손상 조직을 직접<br />

손상시킬 수 있거나 (C5b-9를 통하여) 아나필라톡신 C3a 및 C5a에 의하여 염증 세포의 도입을 통하여 염증을<br />

간접적으로 매개한다.<br />

실험 관절염의 동물 모델은 RA 발병기전 내의 보체의 역할을 조사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어왔다. RA 동물 모<br />

델 내의 코브라 독 인자에 의한 보체 고갈은 관절염 발병을 예방하였다 (Morgan, K., et al., Arthritis<br />

Rheumat. 24:1356-1362, <strong>19</strong>81; Van Lent, P.L., et al., Am. J. Pathol. 140:1451-1461, <strong>19</strong>92). 가용성 형태<br />

의 보체 수용체 1 (sCR1), 보체 억제제의 관절내 주사는 RA 래트 모델 내의 염증을 억제하였다 (Goodfellow,<br />

R.M., et al, Clin. Exp. Immunol. 110:45-52, <strong>19</strong>97). 추가적으로, sCR1는 래트 콜라겐-유도성 관절염의 발달<br />

및 진행을 억제한다 (Goodfellow, R.M., et al., Clin Exp. Immunol. 1<strong>19</strong>:210-216, 2000). 가용성 CR1은 대체<br />

경로 및 고전적 경로 내의 C3 및 C5 활성화 단계에서 고전적 및 대체 보체 경로를 억제하며, 따라서 C3a, C5a<br />

및 sC5b-9의 생성을 억제한다.<br />

공개특허 10-20<strong>12</strong>-0099680<br />

<strong>19</strong>70 후반에, 설치류에 이종유래 타입 II 콜라겐 (CII; 인간 관절 연골의 주요 콜라겐 성분)를 접종하여 인간<br />

RA와 현저하게 유사한 자가면역 관절염 (콜라겐-유도성 관절염, 또는 CIA)의 발달을 유도하였다는 것을 인식<br />

- 25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