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7.2013 View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0153]<br />

[0154]<br />

[0155]<br />

[0156]<br />

[0157]<br />

[0158]<br />

용성 CR1에 의한 보체 활성화의 억제, 푸탄 (futhan, 보체 활성화 억제제) 또는 합성 헥사펩티드 C5a 길항제<br />

는 메타콜린에 대한 염증 반응 및 기도 반응성을 차단한다. 차단 항-C5 단클론 항체를 사용한 연구들에서,<br />

Peng 및 동료연구자들은 C5 활성화가 천식 OVA 모델 내의 기도 염증 및 AHR에 실질적으로 기여한다는 것을 발<br />

견하였다 (Peng et al., J. Clin. Invest. 115:1590-1600, 2005). 또한, Baelder 및 동료연구자들은 A.<br />

fumigatus 천식 모델에서 C5aR의 차단이 AHR를 실질적으로 감소시켰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Baelder et al.,<br />

J. Immunol. 774:783-89, 2005). 추가적으로, C3aR 및 C5aR 모두의 차단은 기도 염증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며,<br />

이는 BAL 내의 호중구 및 호산구의 감소된 수에 의하여 입증된다.<br />

전에 열거한 연구들이 실험 알러지 천식의 발병기전 내의 보체 인자 C3 및 C5 및 이들의 분열 산물의 중요성<br />

을 부각시켰음에도, C3 및 C5는 모든 세 활성화 경로에 일반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들은 각각의 세 보체<br />

활성화 경로의 기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Hogaboam 및 동료연구자들의 최근 연구는 렉<br />

틴 경로가 천식 발병기전 내에서 주요 역할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Hogaboam et al., J.<br />

Leukocyte Biol. 75:805-814, 2004). 이러한 연구들은 만난-결합 렉틴-A (MBL-A)이 유전적으로 결핍된 마우스<br />

와 렉틴 보체 경로의 활성화를 위한 인식 성분으로서 기능하는 탄수화물 결합 단백질을 사용하였다. 만성 진<br />

균 천식의 모델, MBL-A (+/+) 및 MBL-A (-/-)에서, A. fumigatus-민감화 마우스를 A. fumigatus conidia로<br />

i.t. 시험한 후 4일 및 28일에서 조사하였다. 민감화한 MBL-A (-/-) 마우스 내의 AHR은 민감화한 MBL-A (+/+)<br />

군에 비하여 코니디아 시험 후 양시점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들은 폐 TH2 사이토카인 수준 (IL-4, IL-5<br />

및 IL-13)은 코니디아 후 4일에 야생형 군에 비하여 A. fumigatus-민감화한 MBL-A (-/-) 마우스 내에서 현저<br />

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들 결과는 MBL-A 및 렉틴 경로가 만성 진균 천식에서 AHR의 발달 및<br />

유지에 주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br />

최근 임상적 연구 결과는 천식의 발달 및 특이적 MBL 유전자다형성간의 관계는 렉틴 경로가 이 질환에서 중요<br />

한 병리학적 역할을 한다는 추가의 증거를 제공한다 (Kaur et al., Clin. Experimental Immunol. 143:414-<strong>19</strong>,<br />

2006). MBL 혈장 농도는 개인에 따라 다양하며, 이는 MBL 유전자 내의 유전적 유전자다형성에 일차적으로 기<br />

여한다. 이들은 MBL 발현이 두배 내지 네배 상향조절된 특이적 MBL 유전자다형성의 최소한 하나의 카피를 보<br />

유하는 개체는 기관지 천식 발달 위험이 거의 5배 증가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 MBL 유전자다형성을 보유<br />

한 기관지 천식 환자내의 질환 마커의 심각성을 증가시킨다.<br />

본 발명의 특징은 따라서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수혈-관련 급성 폐 손상, 허혈/재관류 급성 폐 손상, 만성<br />

폐쇄 폐순환 질환, 천식, 베게너육아종증, 항사구체 기저막 질환 (굿파스쳐 질환), 태변 흡인 증후군, 폐쇄기<br />

관지염 증후군, 특발성 폐섬유종, 화상의 2차 급성 폐 손상, 비심장성 폐부종, 수혈-관련 호흡 저하, 및 폐공<br />

기증을 제한없이 포함하는 폐순환 장애를 겪고 있는 대상체에 약학적 담체 중에 MASP-2 억제제의 치료학적 유<br />

효량을 포함하는 조성물를 투여함으로써 폐순환 장애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MASP-2 억제제는 전신 예컨대<br />

동맥, 정맥, 경막내, 두개내, 근육 내, 피하 또는 다른 비경구 투여, 및 잠재적으로 비-펩티드성 억제제의 경<br />

구 투여에 의하여 대상체에 투여될 수 있다. MASP-2 억제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추가의 치료제, 예컨대 항-<br />

염증제, 항히스타민,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항생제와 조합할 수 있다. 투여는 증상이 호전될 때까지 임상<br />

의에 의하여 결정된 바와 같이 반복될 수 있다.<br />

체외순환<br />

공개특허 10-20<strong>12</strong>-0099680<br />

혈액이 환자 순환계 (체외순환 시스템 또는 ECC)로부터 전환되는 동안 수많은 의학적 과정이 있다. 이러한 과<br />

정은 혈액투석, 혈장교환, 백혈구분반술, 최외막형 산소공급기 (ECMO), 헤파린-유도성 최외막형 산소섭취 LDL<br />

침전 (HELP) 및 심폐순환 우회술 (CPB)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과정들은 혈액 또는 혈액 산물을 정상 세포성<br />

기능 및 항상성을 변화시키는 외래 표면에 노출시킨다. 선도적인 연구들 (Craddock et al.)에서는 보체 활성<br />

화가 혈액투석중 과립백혈구감소증의 가능한 원인으로서 확인하였다 (Craddock, P.R., et al., N. Engl. J.<br />

Med. 296:769-74, <strong>19</strong>77). <strong>19</strong>77년부터 현재까지의 많은 연구들의 결과는 혈액투석 또는 CPB 환자가 경험하는<br />

다수의 역효과는 보체 시스템의 활성화에 의하여 유발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Chenoweth, DE., Ann. N.Y.<br />

Acad. ScL 516:306-313, <strong>19</strong>87; Hugli, T.E., Complement 3:111-<strong>12</strong>7, <strong>19</strong>86; Cheung, A.K., J. Am. Soc.<br />

Nephrol. 1:150-161, <strong>19</strong>90; Johnson, R.J., Nephrol. Dial. Transplant 9:36-45 <strong>19</strong>94). 예를 들면, 보체 활성<br />

능은 신장 기능 회복, 감염 감수성, 폐순환 역기능, 이환율, 및 신장 기능 상실 환자의 생존률에 관한 혈액투<br />

석기의 생체적합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Hakim, R.M., Kidney Int. 44:484-4946, <strong>19</strong>93).<br />

혈액투석막에 의한 보체 활성화는 약한 C4a 생성에 기인한 대체 경로 기작에 의하여 발생한다고 널리 알려져<br />

있다 (Kirklin, J.K., et al., J. Thorac. Cardiovasc. Surg. 86:845-57, <strong>19</strong>83; Vallhonrat, H., et al.,<br />

ASAIO J. 45:113-4, <strong>19</strong>99), 그러나 최근의 연구들은 고전적 경로가 관여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였다<br />

- 23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