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7.2013 View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0183]<br />

[0184]<br />

[0185]<br />

[0186]<br />

[0187]<br />

[0188]<br />

(Pickering, M. C, 2002)는 보체 조절내의 인자 H이 중요성을 확인하는 MPGN-유사 증상을 나타낸다. 기타 보<br />

체 성분 결핍은 신장 질환과 관련이 있으며, 이차적으로 전신성 홍반 루푸스 (SLE)의 발달과 관련이 있다<br />

(Walport, M. J., Davies, et al., Ann. N.Y. Acad. ScL 815:261-81, <strong>19</strong>97). C1q, C4 및 C2의 결핍은 면역 복<br />

합체 및 세포자멸성 물질의 결함있는 제거에 관한 기작을 통하여 SLE 발달을 매우 쉽게한다. 다수의 이러한<br />

SLE 환자에 있어서, 사구체를 통한 면역 복합체의 침착에 의하여 특성화된 루프스 신장염이 발병한다.<br />

보체 활성화와 신장 질환의 연결에 관한 추가의 증거는 환자 내의 보체 성분에 대한 자가항체의 확인에 의하<br />

여 제공되며, 이들 중 일부는 신장 질환에 관련된 것이다 (Trouw, L.A., et al., Mol. Immunol. 38: <strong>19</strong>9-206,<br />

2001). 다수의 이러한 자가항체는 용어 신장염 인자 (NeF)가 도입되어 이 활성을 적시하는 신장 질환과 고도<br />

로 상관관계에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임상적 연구들에서, 약 50%의 신장염 인자에 양성인환자가 MPGN을 발달<br />

시켰다 (Spitzer, R.E., et al., Clin. Immunol. Immunopathol. 64:177-83, <strong>19</strong>92). C3NeF은 대체 경로 C3 전<br />

환효소 (C3bBb)에 대한 자가항체이며, 이 전환효소를 안정화시켜, 대체 경로 활성화를 증진시키게된다 (Daha,<br />

M. R., et al., J. Immunol. 116:1-7, <strong>19</strong>76). 이와 같이, 고전적 경로 C3 전환효소 (C4b2a), 소위 C4NeF에 특<br />

이성을 지닌 자가항체는 이 전환효소를 안정화시키고, 따라서 고전적 경로 활성화를 증진시키게 된다 (Daha,<br />

M.R. et al., J. Immunol. <strong>12</strong>5:2051-2054, <strong>19</strong>80; Halbwachs, L., et al., J. Clin. Invest. 65:<strong>12</strong>49-56,<br />

<strong>19</strong>80). 항-C1q 자가항체는 SLE 환자내의 신장염과 관련되어 있으며 (Hovath, L., et al., Clin. Exp.<br />

Rheumatol. <strong>19</strong>:667-72, 2001; Siegert, C, et al., J. Rheumatol. 18:230-34, <strong>19</strong>91; Siegert, C, et al.,<br />

Clin. Exp. Rheumatol. 10:<strong>19</strong>-23, <strong>19</strong>92), 이러한 항-C1q 자가항체의 역가 증가가 보고되어 신장염 발적을 예<br />

측하게 된다 (Coremans, et al., Am. J. Kidney Dis. 2 (5:595-601, <strong>19</strong>95). SLE 환자의 사후 신장에서 용출된<br />

면역 침착물은 이러한 항-C1q 자가항체의 축적을 나타낸다 (Mannick, M., et al., Arthritis Rheumatol. 4<br />

(9:1504-11, <strong>19</strong>97). 이러한 모든 사실은 이러한 자가항체 병리학적 역할을 적시한다. 그러나, 항-C1q 자가항<br />

체를 보유한 모든 환자가 신장 질환을 발달시키는 것은 아니며, 또한 일부 건강한 개체도 낮은 역가의 항-C1q<br />

자가항체를 보유한다 (Siegert, C. E., et al., Clin. Immunol. Immunopathol. 67:204-9, <strong>19</strong>93).<br />

보체 활성화의 대체 및 고전적 경로와 함께, 렉틴 경로가 신장 질환에 있어서 중요한 병리학적 역할을 할 수<br />

있다. 증가된 수준의 MBL, MBL-유관 세린 프로테아제 및 보체 활성화 산물은 수개의 다른 신장 질환, 예컨대<br />

헤노흐-쉔라인 자반 신장염 (Endo, M., et al., Am. J. Kidney Dis. 35:401-407, 2000), 한랭글로블린 사구체<br />

신염 (Ohsawa, L, et al., Clin. Immunol. 101:59-66, 2001) 및 IgA 신경병증 (Endo, M., et al., Clin.<br />

Nephrology 55:185-<strong>19</strong>1, 2001)으로 진단된 환자로부터 얻은 신장 생검 물질을 면역조직화학 기법에 의하여 검<br />

출하였다. 따라서, 보체와 신장 질환사이의 결합이 수십년간 알려져왔음에도, 어떻게 보체가 정확하게 이러한<br />

신장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데이터는 완전하지 않다.<br />

본 발명의 한 양태은 따라서 약학적 담체 중에 MASP-2 억제제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조성물를 이러한<br />

장애를 겪고 있는 대상체에 투여함으로써 사구체간질증식성 사구체신염, 막사구체신염, 막증식성 사구체신염<br />

(사구체간질모세관 사구체신염), 급성 감염후 사구체신염 (염쇄구균감염후 사구체신염), 한랭글로블린 사구체<br />

신염, 루프스 신장염, 헤노흐-쉔라인 자반 신장염 또는 IgA 신장병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신장 증상<br />

의 치료에 관한 것이다. MASP-2 억제제는 전신, 예컨대 동맥, 정맥, 근육 내, 피하 또는 다른 비경구 투여,<br />

또는 잠재적으로 비-펩티드제의 경구 투여에 의하여 대상체에 투여될 수 있다. MASP-2 억제제는 만성 증상을<br />

조절 또는 치료하기 위하여 확장된 시간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급성 외상 또는 손상의<br />

전, 도중 및/또는 후에 단일 또는 반복 투여될 수 있다.<br />

피부 장애<br />

건선은 수백만의 사람이 영향받는 만성, 쇠약화 피부 증상이며, 유전적이고도 환경적인 요인에 영향을<br />

받는다. 국소제 및 UVB 및 PUVA 광요법이 일반적으로 건선의 일선 치료로 고려된다. 그러나, 일반화되거나 또<br />

는 더 확장된 질환은, 전신 요법은 1차 치료로서 또는, 어떠한 경우에는,UVB 및 PUVA 요법을 강화하기 위하여<br />

사용된다.<br />

공개특허 10-20<strong>12</strong>-0099680<br />

다양한 피부 질환 예컨대 건선의 주요 병인은 보체 시스템의 관여를 포함하는 면역 및 전염증 프로세스의 역<br />

할을 지지한다. 더욱이, 보체 시스템의 역할은 중요한 비특이적 피부 방어 기작으로서 확립되었다. 이들의 활<br />

성화는 정상 숙주 방어 유지를 도울 뿐만 아니라 염증 및 조직 손상을 매개하는 산물의 생성을 유도한다. 보<br />

체의 전염증 산물은 옵소닌 및 세포- 자극 활성 (C3b 및 C3bi)을 지닌 C3의 거대 단편, 저분자량 아나필라톡<br />

신 (C3a, C4a, 및 C5a), 및 막 공격 복합체를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 C5a 또는 이들의 분해 산물 C5a des<br />

Arg는 이것이 염증 세포상에서 강력한 화학주성을 발휘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매개체가 되는 것 같다. C5a<br />

아나필라톡신의 피부내 투여는 면역 복합체-매개 보체 활성화를 통하여 발생하는 피부 과민성 혈관염에서 관<br />

- 29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