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7.2013 View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0750]<br />

[0751]<br />

[0752]<br />

[0753]<br />

[0754]<br />

[0755]<br />

[0756]<br />

[0757]<br />

[0758]<br />

[0759]<br />

[0760]<br />

[0761]<br />

[0762]<br />

결과는 렉틴 경로에 의한 보체 활성화가 신장 I/R 손상의 병태생리학에 현저히 기여하며, MASP-2-/- 마우스가<br />

더 빠른 신장 기능 회복을 보여준다는 가설을 강하게 지지한다.<br />

실시예 32<br />

이 실시예는 트롬빈 활성화가 생리학적 상태에서 렉틴 경로 활성화 다음에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br />

MASP-2의 관련 범위를 증명한다. 정상 래트 혈청에서, 렉틴 경로 활성화는 트롬빈 활성화 (트롬빈 침착으로<br />

평가됨)와 동시에 보체 활성화 (C4 침착으로 평가됨)를 이끈다. 도 28a 및 28b에서 볼 수 있듯이, 이 시스템<br />

에서 트롬빈 활성화는 MASP-2 차단 항체 (Fab2 포맷)에 의해 억제되며, 보체 활성화 (도 28a)와 유사한 억제<br />

농도-반응 커브 (도 28b)를 나타낸다.. 이들 데이터는 외상에서 발생하는 것 처럼 렉틴 경로의 활성화는<br />

MASP-2에 전체적으로 의존하는 과정에서 보체 및 응고 장애 시스템 둘 다의 활성화를 이끌 것으로 제안한다.<br />

추론에 의하면, 미뤄 생각한 결과, MASP-2 차단 항체는, 예를 들어, 파종성 혈관내 응고 같은, 주요 외상의<br />

경우에서 치사로 이어지는 특징 중의 하나인 과도한 전신의 응고 장애의 경우를 완화하는데에 효험이 있는 것<br />

을 증명할 수도 있다.<br />

실시예 33<br />

이 실시예는 DIC에서 렉틴 경로의 역할을 평가하기 위해 MASP-2-/- 결핍 및 MASP-2+/+ 충분 마우스에서 파종<br />

성 혈관내 응고 ("DIC")의 국부적 슈왈츠만 반응 모델을 사용하여 발생된 결과를 제공한다.<br />

배경/이론적 근거:<br />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MASP-2의 봉쇄는 렉틴 경로의 활성화를 억제하고 아나필라톡신 C3a 및 C5a 둘 다의<br />

발생을 감소시킨다. C3a 아나필라톡신은 시험관 내에서 강력한 혈소판 응집체인 것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그<br />

것들의 생체 내에서의 수반은 덜 정의되고 상처 회복에서 혈소판 물질 및 플라스민의 방출은 단지 이차적으로<br />

보체 C3와 관계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MASP-2 (-/-) 및 야생형 (+/+) 마우스에서 파종성 혈관내 응고<br />

를 발생시키기 위해 C3 활성화의 연장된 향상이 필요한지를 알기 위해 렉틴 경로의 역할을 분석하였다.<br />

방법:<br />

이 연구에 사용된 MASP-2 (-/-) 마우스는 실시예 27에 설명된 바와 같이 발생되었다. 국부적 슈왈츠만 반응<br />

모델이 이 실험에 사용되었다. 국부적 슈왈츠 반응 (LSR)은 선천적 면역 시스템의 세포 및 채액성 요소들로부<br />

터 잘 특징지어진 기여를 하는 리포다당류 (LPS) 유발 반응이다. 보체에서 LSR 의존성은 잘 확립되어 있다<br />

(Polak, L., et al., Nature 223:738-739 (<strong>19</strong>69); Fong J.S. et al., J Exp Med 134:642-655 (<strong>19</strong>71)). LSR<br />

모델에서, 마우스는 TNF 알파 (500 ng, 음낭내)로 4 시간 동안 프라이밍화되었고, 그 다음 마우스를 마취시키<br />

고 고환거근의 생체 내 현미경 관찰을 준비했다. 원활한 혈류 (1-4 mm/s) 에서 후모세혈관 정맥 (15-60 μm<br />

직경) 망을 관찰에 의해 선택하였다. 동물을 호중구, 또는 혈소판을 선택적으로 표지하기 위해 형광 항체로<br />

처리하였다. 이어서 혈관 망을 스캔하고 모든 혈관의 이미지는 나중 분석을 위해 디지털방식으로 기록하였다.<br />

미소순환의 기초 상태를 기록한 후, 마우스는 한 번의 LPS (100 μg), 단독으로 또는 하기 나열된 시약들과<br />

함께 정맥 주사를 맞았다. 같은 혈관 망을 1 시간 동안 매 10분마다 스캔하였다. 형광단의 특이적 누적은 바<br />

탕 형광을 감해서 확인하였고 이미지를 문턱 치화함으로써 향상시켰다. 반응의 정도는 기록된 이미지로부터<br />

측정하였다. 슈왈츠맨 반응의 일차적인 척도는 합계 데이터이다.<br />

본 연구는 알려진 보체 경로 혈액감소제, 코브라 베놈 팩터 (CVF) 또는 말단 경로 억제제 (C5aR 대항물질) 중<br />

어느 하나에 노출된 MASP-2 +/+충분, 또는 야생형 마우스를 비교하였다. 결과 (도 29a)는 CVF 뿐만 아니라<br />

C5aR 대항물질이 둘 다 맥관 구조에서 응집체의 나타남이 방지되었다는 것을 증명한다. 게다가 MASP-2-/- 결<br />

핍 마우스 (도 29b)는 또한 국부의 슈왈츠맨 반응의 완전한 억제를 증명하였고 렉틴 경로와 수반을 지지한다.<br />

이 결과들은 명백하게 DIC 발생에 있어 MASP-2역할을 증명하고, DIC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 MASP-2의 사용을<br />

지지한다.<br />

실시예 34<br />

이 실시예는 쥐 심근 허혈/재관류 모델에서 MASO-2 (-/-) 마우스의 분석을 설명한다.<br />

배경/이론적 근거<br />

공개특허 10-20<strong>12</strong>-0099680<br />

관상동맥 허혈성 손상 후 염증 재관류 손상에 MASP-2의 기여를 평가하기 위해, MASP-2 (-/-) 및 MASP-2 (+/+)<br />

마우스를 랑겐도르프 분리-살포 마우스 심장 모델에서 Marber et al., J. Clin Invest. 95:1446-1456 (<strong>19</strong>95)<br />

- 95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